위키백과 캡처인데, 1944년 마포구 신설당시 개편전과 개편후 행정구역을 비교해놨음.

위키백과뿐 아니라 나무위키도 "서대문구와 용산구의 각 일부를 분리해서 마포구를 설치했다"고 서술함.

근데 당시 관보를 찾아보면 이거랑 다름.


먼저 1944년 마포구 분구 당시의 총독부령임.

쇼와 19년 조선총독부령 제350호 (1944년 10월 23일 조선총독부관보 1페이지):

서대문구의 항을 좌(左)와 같이 고친다.

명칭위치관할구역정(町)수
서대문구경성부
서대문구
합정
정동정, 서소문정, 봉래정4정목, 봉래정3정목, 화천정,
의주통2정목, 중림정, 합정, 죽첨정3정목, 대현정,
노고산정, 창천정, 연희정, 신촌정, 봉원정,
북아현정, 죽첨정2정목, 미근정, 의주통1정목, 죽첨정1정목,
평동정, 송월정, 교남정, 냉천정, 천연정,
옥천정, 관동정, 교북정, 홍파정, 행촌정,
현저정, 홍제정, 홍지정, 신영정, 부암정
35개
마포구경성부
마포구
아현정
아현정, 공덕정, 신공덕정, 도화정, 마포정,
토정정, 용강정, 염리정, 대흥정, 신수정,
구수정, 현석정, 신정정, 하중정, 창전정,
동교정, 서교정, 상수일정, 하수일정, 당인정,
합정정, 망원정, 율도정
23개

'정(町)수'는 내가 계산하기 편하려고 추가했음.

개편후 서대문구인 곳은 파란색, 마포구인 곳은 빨간색으로 표시했고

맨위의 표에서 개편전 용산구라 나왔던 곳은 밑줄 그었음.

근데 여기선 '서대문구' 항만 바뀌고 '용산구' 항에 대해서는 아무 언급이 없음.

혹시 밑줄친 곳도 원래 서대문구였기 때문 아닐까? 싶어서

1943년 구 최초 설치당시의 총독부령도 찾아봤음.


쇼와 18년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년 6월 9일 조선총독부관보 2페이지):

명칭위치관할구역정(町)수
서대문구경성부
서대문구
합정
정동정, 서소문정, 봉래정4정목, 봉래정3정목, 화천정,
의주통2정목, 중림정, 합정, 죽첨정3정목, 
아현정,
대현정, 노고산정, 창천정, 
동교정, 연희정,
신촌정, 봉원정, 북아현정, 죽첨정2정목, 미근정,
의주통1정목, 죽첨정1정목, 평동정, 송월정, 교남정,
냉천정, 천연정, 옥천정, 관동정, 교북정,
홍파정, 행촌정, 현저정, 홍제정, 홍지정,
신영정, 부암정, 
신공덕정, 공덕정, 염리정,
도화정, 마포정, 토정정, 용강정, 대흥정,
신수정, 구수정, 현석정, 신정정, 하중정,
창전정, 상수일정, 하수일정, 당인정, 서교정,
합정정, 망원정, 율도정
58개
용산구경성부
용산구
경정
서계정, 삼판통, 강기정, 연병정, 한강통1정목,
한강통2정목, 한강통3정목, 용산정1정목, 용산정2정목, 용산정3정목,
용산정4정목, 용산정5정목, 용산정6정목, 이태원정, 한남정,
보광정, 주성정, 동빙고정, 서빙고정, 이촌정,
청엽정1정목, 청엽정2정목, 청엽정3정목, 경정, 영정,
원정1정목, 원정2정목, 원정3정목, 원정4정목, 암근정,
산수정, 청수정, 미생정, 대도정, 금정
35개

아까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표시한 곳들이 1943년 당시엔 전부 서대문구였음.

밑줄친 곳도 1943년에는 용산구가 아니라 서대문구였음.

정 수를 더해봐도 '개편후 서대문구+개편후 마포구=35+23=58=개편전 서대문구'으로 동일함.


그렇다면 가능한 시나리오는,

1. 관보에 오류가 있었고 실제 해당 지역은 용산구였다.

2. 1944년 분구 전에 해당 지역이 서대문구에서 용산구로 이관돼서 용산구였다.

3. 위키백과와 나무위키가 참고한 원출처에 오류가 있었고 실제로는 서대문구였다.

4. 위키백과 또는 나무위키 편집자가 착각했고 실제로는 서대문구였다.

이 중 하나일거 같음.

(1번도 가능성은 있음. 오류가 있으면 추후에 정오(正誤)를 하는데 그게 어디 실렸는지 찾기 어렵다보니)

참고로 위키백과에서는 『서울육백년사』를 각주로 달아놨는데, 들어가보면

"마포구가 설치됐다"는 말만 있지 "어느 구와 어느 구에서 분리됐다"는 말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