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북도의 자치현

龜城縣 / Gwiseong City

현청 소재지: 귀주대로 12 (귀성동)

광역자치단체: 평안북도

하위 행정구역: 9법정동 1읍 8면

인구: 255,976명

면적: 1241.6km²

인구 밀도: 206.2명/km²


1. 개요

평안북도의 현.

고려 시대 때 귀주라 불린 지역으로, 1차 여요전쟁 때 서희(徐熙)가 소손녕과의 담판에서 얻은 영토인 강동 6주 중 하나이고, 강감찬(姜邯贊)이 귀주 대첩에서 큰 승리를 거둔 곳이다. 그리고 여몽전쟁 때 박서(朴犀)와 김경선(金慶孫)이 항전한 곳이기도 해 고려의 북방 정책과 연관이 있는 도시이다. 현재 의주로 이어지는 통로가 있기 때문에 군사 분야에서도 중요한 지역으로 꼽힌다.


2. 역사

1960년

 - 평안북도의 읍면의 모든 동들이 리로 전환되었다.

 - 서산면 남평리, 대성리가 귀성면으로 편입되었다.

 - 사기면 은봉리, 인곡리, 지경리, 화암리가 관서면으로 편입되었다.

 - 서산면 평지리가 노동면으로 편입되었다.

 - 방현면 길하리, 발산리가 이현면으로 편입되었다.

1966년: 귀성군 귀성면이 귀성읍으로 승격되었다.

1972년: 귀성군 귀성읍이 귀성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귀성군 잔여 지역은 귀주군(龜州郡)으로 개칭되었다.

1979년: 서산면이 입석읍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귀성시와 귀주군이 귀성현으로 도농통합했다.


3. 경제

귀주성과 고려시대 유적지를 이용한 관광업과 군인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업이 현의 경제를 이루고 있다. 또한 군부대가 소재한 덕분에 군수 산업도 발달하였다.


4. 교통

4.1. 철도

[귀성현 철도 노선도]

4.1.1. 일반 철도

 * 평북선: (봉명역) - 방현역 - 김소월역 - 입석역 - 귀성역 - 백운역 - (대안역)

 * 영변선: (서성역) - 동산역 - 귀성역 - (시종점)

4.1.2. 광역전철

 * 정주권 광역전철: (봉명역) - 방현역 - (시종점)

4.2. 도로

[귀성현 도로 노선도]

4.2.1. 일반 국도

 * 61번 국도(평안북도 정주부 하단구 소암동 ~ 평안북도 삭주군 삭주읍 대대리)

 * 64번 국도(의주시 송장구 운천동 ~ 함흥시 지경구 흥상동)

4.2.2. 고속도로

 * 개천의주고속도로: (태천 나들목) - 귀성 나들목 - 천마 나들목 - (고령삭 나들목)


5. 문화유산 및 관광

[귀주성]

 * 귀주성(龜州城): 좌부동 소재. 고려시대 북방 정책의 중심지로, 994년(고려 성종 13년) 서희가 축성하고 1702년(조선 숙종 28년) 개축하여 1704년에 완공되었다. 벽동읍성, 정주읍성, 영변읍성과 함께 평안북도 4대 읍성에 속하는 유적이다.

 * 귀주국립박물관: 좌부동 소재. 2018년에 여요전쟁 1000주년을 기념해 여요전쟁을 주제로 대규모 전시회를 개최한 적 있다.

 * 김소월 문학촌: 서산읍 옥인리 소재. 김소월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여 2002년 9월 7일에 김소월의 문학과 사상을 기리기 위해 개관한 문학촌이다. 내부에 김소월의 생가가 복원되어 있다.

 * 김소월묘: 방현면 하단리 소재.


6. 군사

1군단 25사단의 본부가 백운동에 위치해 있다.

백운동의 주민 대부분은 군인들과 그들의 가족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택가는 군인들이 모여 사는 군인아파트로 이루어져 있다.


7. 하위 행정구역

<귀성현 법정동, 읍, 면 지도>

[귀성현 법정동, 법정리 지도]

7.1. 시내동 지구

관할 법정동: 좌부(左部), 우부(右部), 고양(高陽), 백운(白雲), 상단(上端), 원흥(院興), 이구(犂邱), 차유(車踰), 청룡(靑龍), 하단(下端)

인구는 198,684명.

7.2. 읍

7.2.1. 입석읍(立石邑)

관할 리: 입석(立石), 남평(南坪), 대성(大星), 신덕(新德), 염잠(廉岑), 옥인(玉仁)

인구는 22,891명.

7.3. 면

7.3.1. 관서면(館西面)

관할 리: 소관(昭關), 대우(大牛), 북남송(北南松), 서고성(西古城), 송림(松林), 신풍(新豊), 어궁(御宮), 은봉(殷峰), 인곡(寅谷), 조악(造岳), 지경(地境), 화암(花巖)

인구는 3,598명.

7.3.2. 노동면(蘆洞面)

관할 리: 중방(中坊), 내양(內陽), 백석(白石), 상승(上勝), 운계(雲溪), 운흥(雲興), 청룡(靑龍), 평지(坪地), 풍산(豊山)

인구는 5,367명.

군사 용도로 쓰이는 귀성비행장이 백석리에 있다.

7.3.3. 동산면(東山面)

관할 리: 차복(車福), 금곡(金谷), 남산(南山), 덕화(德化), 백석(白石), 부풍(富風), 선흥(仙興), 양지(陽地), 용덕(龍德), 용퇴(龍退), 용풍(龍豊), 풍덕(豊德)

인구는 5,765명.

7.3.4. 방현면(方峴面)

관할 리: 하단(下丹), 변산(辨山), 와룡(臥龍), 창(滄), 청송(靑松)

인구는 3,976명.

정주와 가까워 정주 생활권에 속한다.

문학인 김소월이 생을 마감한 곳이다.

7.3.5. 사기면(沙器面)

관할 리: 향산(香山), 구암(九巖), 독송(獨松), 석현(石峴), 송백(松栢), 신시(新市), 왕당(旺堂)

인구는 2,715명.

7.3.6. 오봉면(五峰面)

관할 리: 양지(陽地), 남양(南陽), 내양(內陽), 봉덕(鳳德), 사기(士氣), 선모(仙帽), 엄교(嚴橋), 용연(龍淵), 인봉(仁鳳), 조양(朝陽)

인구는 2,598명.

7.3.7. 이현면(梨峴面)

관할 리: 원창(院倉), 길상(吉祥), 길하(吉下), 대안(大安), 마성(磨星), 발산(鉢山), 용산(龍山), 진조(眞鳥), 택인(擇仁), 하단(下丹)

인구는 2,517명.

7.3.8. 천마면(天摩面)

관할 리: 탑(塔), 관(館), 노곡(蘆谷), 대성(大城), 동암(東巖), 송수(松水), 신두(新頭), 신음(新音), 안창(安倉), 연창(延昌)

인구는 7,865명.

귀성현청 서부출장소가 탑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