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폐쇄식 고속도로 요금소 통행대수 1~50위


20년 전에는 어땠을까를 알아보자

우회선이 많이 개통된 지금이랑 조금 다른 곳들도 있지만 상위권은 대동소이함

참고로 고속도로 번호는 2001년 바뀐 기준대로임


1. E1 경부선 / 서울TG 200,424대/일

2. E15 서해안선 / 서서울TG 144,464대/일

3. E35 중부선 / 동서울TG 113,595대/일

4. E50 영동선 / 군자TG 106,224대/일

5. E10 남해선 / 북부산TG 99,753대/일

6. E1 경부선 / 수원IC(현 수원신갈IC) 84,746대/일

7. E451 구마선(현 중부내륙지선) / 서대구TG(현 서대구IC) 83,577대/일

8. E104 남해제2지선 / 서부산TG 80,825대/일

9. E55 중앙선 / 대동TG 79,219대/일

10. E50 영동선 / 동수원IC 65,175대/일

11. E1 경부선 / 부산IC 62,604대/일

12. E451 구마선(현 중부내륙지선) / 화원TG(중부내륙선 폐쇄식화로 없어짐, 인근 화원옥포IC 신설) 61,079대/일

13. E104 남해제2지선 / 장유IC(통합) 50,105대/일

14. E16 울산선 / 울산TG 48,260대/일

15. E1 경부선 / 대전IC 48,170대/일

16. E1 경부선 / 천안IC 47,853대/일

17. E1 경부선 / 북대구IC 45,703대/일

18. E1 경부선 / 오산IC 43,326대/일

19. E10 남해선 / 동김해IC 43,264대/일

20. E1 경부선 / 동대구IC(현 경부선상 동대구JC) 41,993대/일

21. E25 호남선 / 동광주TG 41,141대/일

22. E1 경부선 / 경주IC 41,087대/일

23. E50 영동선 / 서안산IC 40,975대/일

24. E50 영동선 / 안산IC 39,352대/일

25. E25 호남선 / 광주TG 38,086대/일

26. E1 경부선 / 안성IC 37,689대/일

27. E10 남해선(당시, 현 남해제1지선) / 마산TG 36,840대/일

28. E551 중앙지선 / 남양산IC 32,347대/일

29. E1 경부선 / 양산IC 32,112대/일

30. E1 경부선 / 기흥IC 31,174대/일

31. E251 호남지선 / 유성IC 31,084대/일

32. E50 영동선 / 용인IC 30,111대/일

33. E1 경부선 / 경산IC 30,053대/일

--- 3만대선(현 50위선) ---

34. E50 영동선 / 북수원IC 29,041대/일

35. E50 영동선 / 부곡IC 28,368대/일

36. E102 마산외곽선 / 산인JC 27,670대/일

37. E50 영동선 / 군포IC 26,134대/일

38. E10 남해선 / 서김해IC 25,883대/일

39. E35 중부선 / 곤지암IC 25,389대/일

40. E10 남해선 / 사천IC 25,279대/일

41. E35 중부선 / 경안IC(현 경기광주IC) 25,015대/일

42. E10 남해선 / 동창원IC 23,986대/일

43. E10 남해선 / 진주IC 23,257대/일

44. E50 영동선 / 양지IC 23,115대/일

45. E1 경부선 / 구미IC 22,799대/일

46. E15 서해안선 / 서평택IC 22,371대/일

47. E25 호남선 / 전주IC 22,228대/일

48. E55 중앙선 / 칠곡IC 21,945대/일

49. E15 서해안선 / 발안IC 21,528대/일

50. E1 경부선 / 영천IC 21,416대/일


이 당므으로 이천-강릉-진례-비봉-서대전 순으로 이어지고 56위인 청주(20,579대/일)까지가 2만대선임.

참고로 당시 유명했던 평면교차 남장수IC도 2,011대/일을 기록했고, 최저는 E25 논산천안선의 탄천IC로 2002년 말에 개통해서 1년을 꼬박 영업했음에도 749대/일을 기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