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의 현

茂山縣 / Musan City

군청 소재지: 현청로 12 (무산동)

광역자치단체: 함경북도

하위 행정구역: 5법정동 2읍 8면

인구: 96,892명

면적: 5,441.91km²

인구 밀도: 17.8명/km²


1. 개요

함경북도의 현으로, 대한민국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현이다.


2. 역사

1938년: 무산면이 무산읍으로 승격되었다.

1960년

 - 함경북도의 읍면들은 모든 동들이 리로 전환되었다.

 - 삼사면이 연암면, 유평면으로 분할되었다.

1963년: 무산읍이 무산시로 승격되었다. 무산군 잔여 지역은 첨사군(僉使郡)으로 개편되었다.

1975년: 성천동이 무산동으로 개칭되었다.

1979년: 동면이 차유읍으로 승격 및 개칭되었다.

1995년: 무산시와 첨사군이 무산현으로 도농통합되었다.

2001년: 삼장면 서부 지역에 석을리가 신설되었다.

2006년: 삼장면 석을리가 함경남도 혜산현 보천읍 포태리, 녹수리, 보태리, 통남리, 농산리, 산위리와 함께 백두산직할시로 통합되면서 동으로 승격되었다.

2009년: 서하면이 흥암읍으로 승격되었다.


3. 경제

무산읍을 중심으로 무산철광에서 자철광을 채굴하는 광업이 중심을 이루었으나, 채산성이 감소하면서 쇠퇴하였다. 지형이 산간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어 임업을 비롯한 1차 산업과 장백정간 관광업이 무산군의 경제를 이루고 있다.

3.1. 특산물

삼상면에서 생산되는 감자가 무산군의 특산물로 유명하다.


4. 교통

4.1. 철도

[무산현 철도 노선도]

철도가 무산현 주민들이 이용하는 교통수단 가운데 비중이 매우 높다.

4.1.1. 일반철도

4.1.1.1. 무산선

 * 정차역: (차령역) - 금패역 - 신참역 - 서풍산역 - 진화역 - 철송역 - 무산철광역 - 무산역 - (시종점)

일제강점기 무산철광의 발전으로 개통된 노선. 현재 철광의 쇠퇴로 인해 산업철도로써의 성격은 쇠퇴되고 무산읍 주민들이 청진이나 회령으로 가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4.1.1.2. 백무선

 * 정차역: (대택역) - 북계수역 - 도내역 - 상황토역 - 산양대역 - 서두역 - 연평역 - 연암역 - 굴송역 - 상단역 - 삼사역 - 천수역 - 하황토역 - 상경평역 - 하경평역 - 유평역 - 유곡역 - 나적역 - 신양역 - 소도역 - 연사역 - 신장역 - 연수역 - 문암역 - 연상역 - 흥암역 - 남촌역 - 독소역 - 무산역 - (시종점)

백암역, 대택역을 제외한 전 구간이 무산현을 지나고 있다. 한때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협궤철도였으나, 현재 전 구간이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4.1.1.3. 회무선(會茂線)

 * 정차역: (시종점) - 철송역 - 용천역 - 명신역 - (운연역)

해당 노선의 전신인 유선선(遊仙線)이 유선역에서 철송역까지 연장되면서 현재의 노선이 되었다.

4.1.1.4. 백두산선(白頭山線)

 * 정차역: (석을역) - 소홍단역 - 서두수역 - 삼선역 - 흥암역 - (시종점)

백두산 관광을 위해 세워진 노선이다.

4.2. 도로

[무산군 도로 지도]

4.2.1. 고속도로

 * 의주온성고속도로: (삼지연 나들목) - 삼상 나들목 - 서하 나들목 - 무산 나들목 - 명신 나들목 - (유선 나들목)

4.2.2. 국도

 * 10번 국도

 * 73번 국도

 * 81번 국도


5. 문화유산

국경 지대라는 특성상 국방 관련 유적들이 많이 남아있다.

 * 무산읍성(茂山邑城): 무산동 소재.

 * 독소고성(篤所古城): 독소동 소재.

 * 임강대고성지(臨江臺古城址): 흥암읍 임강리 소재.

 * 양영진(梁永鎭): 영북면 양영리 소재.

 * 천작성지(天作城址): 영북면 양영리 소재.


6. 국립공원

 * 장백정간 국립공원: 백두대간의 유일한 정간인 장백정간을 중심으로 하는 국립공원. 함경북도 경성현, 부령군, 무산군, 회령현과 경흥시에 걸쳐 있다.


7. 하위 행정구역

[무산현 행정구역 지도]

7.1. 시내동 지구

 * 관할 법정동: 무산(茂山), 남산(南山), 독소(篤所), 창렬(彰烈), 칠성(七星)

인구는 50,143명.

광업도시로 유명하며, 창렬동에는 한반도 유일의 노천철광이 있다. 1916년에 철광이 발견되어 무산이 읍으로 성장하는 데 큰 역할을 했지만 상기 이유로 사실상 오랫동안 방치해 두다가 일제 말기 전시정책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인구가 15만에 달할 정도로 번성하였으나, 광업의 쇠퇴로 인구가 청진으로 유출되었다.

읍내에 백무선과 무산선 철도가 지나가며 무산역과 독소역이 있다.

7.2. 읍

7.2.1 차유읍(車踰邑)

 * 관할 법정리: 차유(車踰), 강선(降仙), 풍산(豊山)

인구는 7,735명.

동쪽 부령군과의 경계에 차유령이 있다.

7.2.2. 흥암읍(興巖邑)

 * 관할 법정리: 흥암(興巖), 삼천(三川), 임강(臨江)

인구는 10,989명.

백두산선과 백무선이 분기하는 흥암역이 있다.

7.3. 면

7.3.1. 유평면(楡坪面)

 * 관할 법정리: 유평(楡坪), 창평(倉坪), 천수(天水), 호평(芦坪)

인구는 5,438명.

원래는 연암면과 함께 삼사면에 속하였으나, 행정구역 개편으로 삼사면이 분리되면서 생겨났다.

7.3.2. 연암면(延巖面)

 * 관할 법정리: 연암(延巖), 굴송(屈松), 도내(島內)

인구는 4,794명.

원래는 유평면과 함께 삼사면에 속하였으나, 행정구역 개편으로 삼사면이 분리되면서 생겨났다.

7.3.3. 삼장면(三長面)

 * 관할 법정리: 삼상(三上), 삼하(三下), 농사(農事)

인구는 5,091명.

삼하리와 면소재지인 삼상리가 면의 동쪽 끝 두만강과 서두수의 합류지점에 모여 있다면, 농사리는 두만강과 소홍단수의 합류지점에 있다.

7.3.4. 어하면(漁下面)

 * 관할 법정리: 허언(虛彦), 오봉(五峯) 온천(溫川)

인구는 1,279명.

7.3.5. 연사면(延社面)

 * 관할 법정리: 사지(四芝), 광양(廣陽), 서안(栖安), 석포(石浦), 수침(水砧), 신장(新章)

인구는 5,691명.

무산군청 연사출장소(연사면, 유평면, 연암면 관할)가 있다.

7.3.6. 연상면(延上面)

 * 관할 법정리: 상창(上倉), 문암(文巖), 박천(朴川), 연수(延水)

인구는 2,091명.

7.3.7. 영북면(永北面)

 * 관할 법정리: 지초(芝草), 노덕(鹵德), 서호(西湖), 양영(梁永)

인구는 1,095명.

7.3.8. 풍계면(豊溪面)

 * 관할 법정리: 명신(明臣), 계상(溪上), 계하(溪下), 송학(松鶴), 용천(龍川)

인구는 2,546명.

회령현 유선읍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