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지도]

대한민국의 도

全羅南道 / South Jeolla Province

도청 소재지: 광주시 농성구 상무유덕로 42 (유촌동)

하위 행정구역: 2시 8현 15군

인구: 4,740,385명

면적: 12,768.36km²

인구 밀도: 371.26명/km²


1. 개요

호남 지방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도(道)로, 대한민국의 도 가운데 부속 도서(島嶼)의 수가 가장 많은 도이다.


2. 역사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전라북도는 1부(목포) 22군(무안, 나주, 화순, 곡성, 담양, 여수, 함평, 영광, 광주, 광양, 고흥, 보성, 강진, 해남, 장성, 구례, 장흥, 완도, 진도, 순천, 영암, 제주) 체제가 되었다.

1915년: 제주군이 제주도(濟州島)로 개편되었다.

1935년: 광주군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광주군 잔여 지역은 광산군(光山郡)으로 개편되었다.

1946년: 전라남도 제주도(濟州島)가 제주도(濟州道)로 승격되면서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다.

1949년 8월 13일: 여수군 여수읍, 순천군 순천읍이 각각 여수부, 순천부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여수군, 순천군 잔여 지역은 각각 여천군(麗川郡), 승주군(昇州郡)으로 개편되었다.

1949년 8월 15일: 전국의 모든 부가 시로 개편되면서 목포부, 여수부, 순천부는 각각 목포시, 여수시, 순천시로 개편되었다.

1960년

 - 나주군 동부 지역(남평면·금천면·다도면·봉황면·산포면)이 남평군으로 복군되었다.

 - 제주도 북제주군 추자면이 완도군으로 편입되었다.

 - 여천군 삼산면(現 거문면)이 고흥군으로 편입되었다.

 - 영광군 대마면 복평리·성산리가 전라북도 고창군으로 편입되었다.

 - 함평군 엄다면·학교면이 무안군으로 환원되었다.

1963년: 나주군 나주읍이 나주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나주군 잔여 지역은 금성군(錦城郡)으로 개편되었다.

1972년

 - 해남군 해남읍이 해남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해남군 잔여 지역은 해진군(海珍郡)으로 개편되었다.

 - 금성군 영산포읍이 나주시로 편입되었다.

1975년: 보성군 벌교읍이 벌교시로 승격되었다.

1979년

 - 장흥군 장흥읍이 장흥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장흥군 잔여 지역은 관산군(冠山郡)으로 개편되었다.

 - 완도군 군외면 흑일리가 해진군 송지읍으로 편입되었다.

 - 맥포리·용포리를 제외한 무안군 삼향면 전역이 목포시로 편입되었다.

 - 해진군 계곡면 신평리, 황죽리가 강진군 도암면으로 편입되었다.

1981년: 광양군 광양읍이 광양시로 승격되었다.

1986년

 - 담양군 담양읍이 담양시로 승격되었다. 담양군 잔여 지역은 담주군(潭州郡)으로 개편되었다.

 - 광산군 전역과 장성군 남면·진원면이 광주시로 흡수되었다.

 - 영암군 삼호면 난전리·산호리·삼포리·용당리·용양리가 목포시로 편입되었다.

1995년

 - 고흥군 대서면·동강면, 보성군 조성면, 승주군 낙안면·외서면·별량면이 벌교시로 통합되면서 낙안현이 신설되었다.

 - 나주시와 금성군, 해남시와 해남군, 장흥시와 관산군, 담양시와 담주군, 순천시와 승주군, 여수시와 여천군, 광양시와 광양군이 나주현, 해남현, 장흥현, 담양현, 순천현, 여수현, 광양현으로 도농통합되었다.

 - 곡성군 서부 지역(옥과면·겸면·오산면·입면)이 옥과군으로 복군되었다.

2005년: 전라남도청이 광주시 금남구 충장동에서 광주시 농성구 유촌동으로 이전되었다.

2012년: 여수현에서 세계박람회가 개최되었다.(2012 여수 세계박람회)


3. 생활권

광주시와 순천현을 기준으로 서부와 동부로 나눌 수 있다.

굵은 글씨로 된 지역은 해당 생활권의 중심도시이다.

3.1. 서부

 * 광주시

 * 목포시

 * 나주현

 * 해남현

 * 장흥현

 * 담양현

 * 옥과군

 * 남평군

 * 보성군

 * 화순군

 * 강진군

 * 영암군

 * 무안군

 * 함평군

 * 영광군

 * 장성군

 * 완도군

 * 진도군

3.2. 동부

 * 낙안현

 * 순천현

 * 여수현

 * 광양현

 * 곡성군

 * 구례군

 * 고흥군


4. 사법

4.1. 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이 전라남도를 포함한 호남 전역을 관할하고 있다.

4.2. 지방법원

광주지방법원이 전라남도 전역을 관할하고 있다.


5. 행정

주요 행정기관은 행정의 중심지인 광주에 집중되어 있다.

5.1. 산림청

남원현에 본부를 두고 있는 서남지방산림청이 전라남도 전역을 비롯한 호남 지역과 경상남도 서부 지역을 관할하고 있으며, 전라남도에서는 영암국유림관리소순천국유림관리소가 서부지방산림청에 속해 있다.

5.2. 국토관리청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이 전라남도를 포함한 호남 전역을 관리하고 있다.

5.3. 세무서

전라남도 광주시에 본부를 두는 광주지방국세청이 전라남도를 포함한 호남 전역을 관리하고 있다.

5.4. 고용노동청

전라남도 광주시에 본부를 두는 광주지방고용노동청이 전라남도를 포함한 호남 전역을 관리하고 있다.


6. 군사

대한민국 육군 제31보병사단이 광주시 오치구 오치동에 주둔하고 있다.


7. 방송

7.1. 한국방송공사(KBS)

 * KBS광주방송총국

 * KBS목포방송국

 * KBS순천방송국

7.2. 문화방송(MBC)

 * 광주문화방송

 * 목포문화방송

 * 여수문화방송

7.3. 서울방송(SBS)

 * 광주방송(KBC): 전라남도 전역을 가청권으로 하고 있다.

7.4. 동양방송(TBC)

동양방송의 준키국인 호남방송의 본사가 광주시에 있으며, 호남 지역 전역을 가청권으로 하고 있다.

 

8. 교육

8.1. 거점국립대학

 * 전남대학교

8.2. 국립대학

 * 광주교육대학교

 * 목포대학교

 * 목포해양대학교

 * 순천대학교

8.3. 전문대학

 * 광주과학기술원

 * 한국폴리텍5대학

8.4. 사립대학

8.4.1. 4년제

 * 조선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호남대학교

 * 남부대학교

 * 광신대학교

 * 호남신학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목포가톨릭대학교

 * 세한대학교

 * 한려대학교

 * 영산선학대학교

8.4.2. 전문대학

 * 광주보건대학

 * 조선이공대학

 * 조선간호대학

 * 기독간호대학

 * 서영대학교

 * 동강대학교


9. 교통

9.1. 철도

9.1.1. 고속철도

[전라남도 고속철도 지도]

 * 호남고속철도: (정읍역) - 광주송정역 - 목포역 - (시종점)

9.1.2. 일반철도

[전라남도 일반철도 지도]

 * 호남선: (정읍)~장성~송호

 * 전라선

 * 전남선: 목포~나주~화순~광양

 * 남해선: 해남~광양~(하동)

 * 광주선

 * 능주선: 남평~능주~득량

 * 고흥선: 벌교~고흥~도양

 * 해남선: 해남~해남화원

 * 광주공항선: 노안~광주남평공항

9.1.3. 도시철도

 * 광주 도시철도: 현재 5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 목포 경전철

9.1.4. 광역철도

 * 전남권 광역전철: 호남선 정읍~영암 구간과 광주선 전 구간, 전남선 나주~남평 구간, 광주공항선 전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9.2. 도로

9.2.1. 고속도로

[전라남도 고속도로 지도]

9.2.1.1. 남북축

 * 호남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순천전주고속도로

9.2.1.2. 동서축

 * 남해고속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 무안순천고속도로

 * 광주승암고속도로

 * 부안옥과고속도로

 * 고창담양고속도로

9.2.2. 일반국도


[전라남도 일반국도 지도]

9.2.2.1. 남북축

 * 1번 국도

 * 13번 국도

 * 15번 국도

 * 17번 국도

 * 19번 국도

 * 23번 국도

 * 27번 국도

 * 29번 국도

9.2.2.2. 남북축

 * 2번 국도

 * 18번 국도

 * 22번 국도

 * 24번 국도

9.3. 항공

밑줄 친 공항은 민군공용공항이다.

 * 광주공항: 2007년 광주남평국제공항이 개항되면서 폐항되었다. 현재 광주공항이 있었던 부지에는 전남혁신도시가 개발되어 있으며, 동시에 舊 광산군 지역(송정구, 수완구)과 舊 광주시 지역(금남구, 농성구, 봉선구, 오치구)이 연담도시화가 되어 있다.

 * 광주남평국제공항: 2007년 광주시 송정구에 있었던 광주공항이 남평군으로 이전되면서 개항되었다.

 * 여수공항

 * 흑산공항

9.4. 페리

도서(島嶼)가 많은 전라남도 특성상 육지와 섬을 이어주는 여객선의 수가 많다.

 * 목포연안여객터미널

 * 여수연안여객터미널

 * 목포항국제여객터미널: 중화민국 상해직할시(上海直轄市)와 절강성 영파시(寧波市)로 가는 국제여객선이 운행되고 있다.


10. 하위 행정구역

[전라남도 행정구역 지도]

10.1. 시

10.1.1. 광주시

전라남도 최대 도시이자 호남 지역 제1의 도시.

전라남도의 행정·경제·교통을 담당하고 있으며, 전라남도의 지리적 중심지 역할을 맡고 있다.

한때 함경북도 청진시, 전라북도 전주시와 같이 직할시로의 승격 논의가 있었지만 전라남도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0.1.2. 목포시

전라남도 최대 항구도시이자 전라남도 제2의 도시.

전라북도 군산현과 함께 호남에서 규모가 큰 항구도시로, 일제강점기 개항장으로 지정된 이후 대화(對華, 華는 중화민국을 의미한다.)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10.2. 현

10.2.1. 나주현

광주시의 위성도시로, 광주시의 광주송정역과 함께 전라남도의 중심역인 나주역이 있다.

10.2.2. 해남현

호남 지역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현으로, 경작지 비중이 높다.

송지면 송호리가 도서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해 있다.

10.2.3. 장흥현

바이오식품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식품 면에서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10.2.4. 담양현

담양군의 특산물인 죽세공품이 유명하며, 광주시의 위성도시이다.

10.2.5. 낙안현

시내동 지구이자 중심지인 벌교와 조선시대의 중심지인 낙안으로 생활권이 나누어져 있다.

10.2.6. 순천현

전라남도 동부 지역에서 행정·교통·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중심 도시이다.

10.2.7. 여수현

2012년 여수엑스포 개최 이후 여수를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였으며, 남중해안권의 중심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10.2.8. 광양현

제철소 주택단지가 있고 순천의 위성도시 역할을 하는 시내동 지구(舊 광양읍)와 이주단지와 전남 최대의 공업지구인 광양제철소가 있는 골약으로 나누어져 있다.

10.3. 군

10.3.1. 곡성군

섬진강을 중심으로 하는 관광업이 발달하였다.

10.3.2. 옥과군

전라북도 순창군과 가까워 전라북도와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10.3.3. 구례군

지리산을 끼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관광업이 발달하였다.

10.3.4. 남평군

전라남도 최대의 공항인 광주남평국제공항이 있다.

10.3.5. 고흥군

외나로면(舊 봉래면)에 대한민국 최대 우주센터인 나로우주센터가 있다.

10.3.6. 보성군

보성군의 특산물인 보성 녹차가 유명하다.

10.3.7. 화순군

도암면에 천불천탑으로 유명한 운주사가 있다.

10.3.8. 강진군

다산 정약용이 유배 생활을 할 때 지냈던 다산초당이 유명하다.

10.3.9. 영암군

무등산, 지리산과 함께 전라남도의 명산으로 알려진 월출산이 유명하다.

10.3.10. 무안군

전국에 있는 항구와 어항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10.3.11. 함평군

함평의 지역축제인 함평나비축제가 유명하다.

10.3.12. 영광군

영광의 특산물인 영광굴비가 유명하며, 홍농읍에 한빛 원자력 발전소가 있다.

10.3.13. 장성군

호남선의 길목에 위치해 있어 전라남도의 입구 역할을 하고 있다.

10.3.14. 완도군

완도의 특산물인 완도 김이 유명하다.

10.3.15. 진도군

전라남도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섬인 진도로 이루어진 곳으로, 진도의 특산종인 진돗개가 유명하다.

 

11. 여담 및 원 역사와의 차이점

 * 해당 세계관의 광주라는 지명은 전라남도 광주시 한 곳 밖에 없다. 원 역사의 경기도 광주시(廣州市)는 경안현(京安縣)으로 존속하고 있다.

 * 해당 세계관에서 신안군은 존재하지 않으며, 안좌읍(원 역사의 신안군 안좌면) 원 역사의 신안군 압해읍·지도읍·임자면·증도면을 제외한 신안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무안군청 압량출장소가 있다.

 * 한때 순천현(順天縣)과 한글 지명이 똑같은 순천시(順川市)가 평안남도에 있었으나, 1995년 행정구역 개편 때 순천시(順川市)가 순주군(順州郡)과 정융부로 도농통합되면서 ‘순천(順川)’이라는 지명은 해당 세계관에서는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