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부 지도]

[정주부 지도(시내동 지구, 읍, 면 경계 추가 ver.)]

평안북도의 부

定州府 / Jeongju City

현청 소재지: 덕언구 정원대로 180 (대성동)

광역자치단체: 평안북도

하위 행정구역: 2구 53법정동 2읍 3면

인구: 601,131명

면적: 552.36㎢

인구 밀도: 1088.3명/㎢

 

1. 개요

평안북도의 부이자 평안북도 제1의 도시로, 과거 평안북도청 소재지이자 대한민국의 핵심 노선인 경의선과 한반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수풍댐이 있는 청수시 방면으로 가는 평북선이 분기하는 교통 거점에 위치해 있어서 성장한 도시이다.

 

2. 역사

1914년: 정주군과 곽산군이 정주군으로 통폐합되었다.

1931년

 - 정주군 고읍면(古邑面)이 고덕면(古德面)으로 개칭되었다.

 - 정주군 임해면(臨海面)과 해산면(海山面)을 임포면으로 병합되었다.

1950년: 평안북도청이 신의주시에서 정주군 정주읍로 이전되었다.

1952년: 정주군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되면서 정주군에서 분리되었다. 정주군 잔여 지역은 정원군(定遠郡)으로 개편되었다.

1960년

 - 평안북도 읍면의 모든 동들이 리로 전환되었다.

 - 정원군 하단면, 고안면 구 신안면 지역이 정주시로 편입되었다.

1972년

 - 덕언면 구 덕달면과 이언면 지역이 정주시로 편입되었다.

 - 중앙동2가에 있었던 평안북도청이 방천동으로 이전되었다.

1975년: 덕언면 잔여 지역인 구 아이포면 지역이 정주시로 편입되었다.

1979년

 - 정주시가 달천강을 경계로 서구동구로 분할되었다.

 - 갈산면 광동리, 익성리가 고덕면으로 편입되었다.

1987년: 정원군 고안면이 봉명읍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 정주시와 정원군이 정주부로 도농통합되었다.

 - 舊 정주시 서구와 동구가 정원구덕언구로 개칭되었다.

 - 고덕면이 월훈읍으로 승격되었다.

1998년: 舊 곽산군 지역이 곽산군으로 복군되면서 정주부에서 분리되었다.

2001년: 덕언구 갈산면에 정주국제공항이 개항되었다.

2006년

 - 평안북도청이 덕언구 방천동에서 영변현 팔원읍으로 이전되면서 기존의 평안북도청은 평안북도청 서부출장소로 격하되었다.

 - 정주부청이 성내동2가에서 대성동으로 이전되었다.

 - 갈산면 도서 지역이 애도면으로 분리되었다.


3. 경제

서비스업이 정주의 전형적인 산업으로, 정주부청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과거에는 신의주시(現 의주직할시 상반구·광성구·고진구)에 있었던 평안북도청이 정주로 이전하면서 서비스업의 규모가 현재보다 컸으나, 평안북도청이 영변현으로 이전되면서 서비스업의 규모가 감소하였다.

농어촌 지역은 서비스업과 농업으로 먹고살고 있다.

전자는 舊 곽산군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하였고, 후자는 장도와 애도의 수산업과 정주부 본토에 있는 읍면 지역의 원예 농업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3.1. 특산물

덕언구 납청면 청정리에서 생산되는 납청 유기가 있다. 이 특산물의 이름을 따서 되게 얻어맞거나 눌려 납작해진 사람이나 물건을 납청장으로 비유하고 있으며 해당 단어는 국어사전에까지 올랐다.


4. 교통

4.1. 철도

정주부의 중심역인 정주역은 대한민국의 4대 노선에 속하는 경의선과 대한민국 최대의 수력발전소인 수풍댐이 있는 청수시로 가는 평북선이 분기하고, 경의고속철도를 비롯한 모든 열차가 정주역에 정차하고 있어 평양직할시의 평양역, 의주직할시의 신의주역에 이어서 관서에서 규모가 크고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현재 정주역에 롯데백화점 민자역사가 지어져 있으며, 정주부 시내동 지구를 지나는 철도 구간인 덕언~하단 구간은 지하로 지어졌다.

4.1.1. 고속철도

[정주부 고속철도 지도]

 * 경의고속철도: (신안주역) - 정주역 - (신의주역)

4.1.2. 일반철도

[정주부 일반철도 겸 광역철도 지도]

 * 경의선: (영미역) - 운전역 - 월훈역 - 덕언역 - 정주역 - 하단역 - (곽산역)

 * 평북선: (시종점) - 정주역 - 심원역 - 봉명역 - (방현역)

 * 정주공항선: (시종점) - 덕언역 - 정주공항역 - (시종점)

4.1.3. 광역전철

4.1.3.1. 정주권 광역전철

 * 본선: (곽산역) - 하단역 - 정주역 - 덕언역 - 월훈역 - 운전역 - (영미역)

 * 방현지선: (시종점) - 정주역 - 심원역 - 봉명역 - (방현역)

 * 정주국제공항선: (시종점) - 덕언역 - 정주공항역 - (시종점)

4.2. 도로

[정주부 도로 지도]

4.2.1. 고속도로

 * 경의고속도로: (영미 나들목) - 덕언 나들목 - 정주 나들목 - (곽산 나들목)

4.2.2. 국도

 * 1번 국도

 * 61번 국도

4.3. 공항

밑줄 친 공항은 민군공용공항이다.

 * 정주국제공항: 갈산면 일해리 소재. 공중전투사령부 휘하의 전투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는 민군공용 공항이다.

4.4. 페리

 * 일해항(逸海港): 덕언구 갈산면 일해리 소재. 애도로 가는 페리가 있다.

 * 애도항(艾島港): 덕언구 애도면 애도리 소재. 애도에서 유일하게 육지로 가는 페리가 있는 항구이다.

 

5. 교육

사립학교들 가운데 기독교 계열 학교법인이 세운 학교의 수가 많다.

5.1. 남강학원(南岡學院)

남강 이인환이 세운 오산학교가 해당 학교 법인의 전신으로, 이후 이인환의 호인 남강에서 이름을 따와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 남강고등학교: 이 학교 출신으로는 언론인 함석헌(용천), 소월 김정식(귀성), 시인 백석(정주), 화가 이중섭(숙천)이 있다.

 * 남강대학교

5.2. 보성학원(保成學院)

1907년 9월 25일, 선천군에서 창립된 학교법인이다. 원래는 선천을 근거지로 두고 있었으나, 이후 1950년대에 정주로 이전하였다.

 * 보성여자중학교

 * 보성여자고등학교

 * 보성여자대학교

5.3. 국립대학

 * 평북대학교

 * 평북교육대학교

5.4. 사립대학

 * 정주대학교

 * 인제대학교: 의사 백인제가 설립한 의과계열 사립대학교로, 부속대학병원으로는 인제대학교 정주백병원이 있다.

 * 한국폴리텍대학 정주캠퍼스


6. 문화유산 및 관광

 * 연훈루(延薰樓): 하단구 성내동 소재. 정주객사(定州客舍)라고 써진 현판이 있다.

 * 정주읍성(定州邑城): 하단구 성내동 소재. 홍경래가 최후를 맞이한 곳이다.

 * 심원사(深遠寺): 하단구 봉명읍 봉명리 소재. 보현사의 말사이다.

 * 정주문학촌(定州文學村): 하단구 서주동 소재. 길창덕, 김억, 백석, 선우휘와 같은 평안북도 출신의 문학인들의 성지로 알려져 있는 관광지로, 평북 출신 문학인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거주하고 있다.

 * 남강 이인환 기념관: 덕언구 납청면 청정리 소재. 민족대표 33인에 속하는 독립운동가 남강 이인환을 기념하는 기관으로, 남강고등학교의 학교 법인인 남강학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 남강 이인환 생가: 덕언구 갈산면 익성리 소재. 남강 이인환 기념관과 마찬가지로 남강학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 백석문학촌: 덕언구 월훈읍 익성리 소재. 시인 백석 탄생 100주년을 맞이해 2012년 7월 1일에 개관한 문학촌이다.

 * 대감도 저어새 서식지: 덕언구 애도면 대감리 소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7. 문화

7.1. 관서 문학의 중심지

영변이 관서 문학의 성지로 알려져 있다면, 정주는 평양과 함께 관서 문학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

정주에는 앞에서 언급한 평안북도 출신의 문학인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거주하고 있는 정주문학촌이 있으며, 정주부에서는 1960년부터 매년 12월 31일에 올해의 평안북도 문학인을 뽑는 평북문학대상이 개최되고 있다.

7.2. 종교

선천군과 함께 기독교 신자 비중이 높은 지역으로, 평안북도 최대의 교회인 정주교회가 이곳에 있다. 동시에 기독교계 사이비 종교인 세계평화가정통일연합회의 중심지인 천정궁이 교주 문선명의 출신지인 덕언구 덕성동(당시에는 정주군 덕달면 덕성동)에 있다.


8. 다른 지역과의 관계

8.1. 선천군

정주부의 위성도시로, 이 지역의 주민들이 정주권 광역전철을 통해 출퇴근이나 통학을 하는 등 정주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정주부와 같은 기독교 도시라는 문화를 공유하고 있어 평안북도의 기독교 단체를 중심으로 한 문화교류가 활발하다.

8.2. 곽산군

정주부의 위성도시로, 선천군과 마찬가지로 이 지역의 주민들이 정주권 광역전철을 통해 출퇴근이나 통학을 하는 등 정주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과거에 행정구역 상으로 정주에 속한 적 있다.

8.3. 귀성현 방현면

정주부 정원구 방현면이라고 해야 할 정도로 귀성현에서 정주부와 매우 가까운 지역으로, 정주권 광역철도 방현지선의 종점인 방현역이 방현면에 있다.


9. 방송

9.1. 한국방송공사(KBS)

의주직할시, 용천부를 제외한 평안북도 남서부 지역을 관할하는 KBS 정주방송총국의 본사가 정원구 대성동2가에 있다.

9.2. 문화방송(MBC)

의주직할시, 용천부를 제외한 평안북도 남서부 지역을 관할하는 정주문화방송의 본사가 정원구 덕산동3가에 있다.

9.3. 서울방송(SBS)

평안북도 전체를 관할하는 SBS 네트워크 민영방송인 정주방송(JBC)의 본사가 덕언구 침향동에 있다.

9.4.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준키국인 관서방송 가청권에 속한다.


10. 사법

법원은 의주직할시, 용천부를 제외한 평안북도 남서부 지역을 관할하는 정주지방법원이 존재하며, 상위 고등법원은 평양고등법원이 평안북도 전체를 관할하고 있다.


11. 군사

포항부, 곽산군과 함께 해병대의 요람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북 지역의 해병대 훈련병, 해병대 사관후보생들이 정원구 보산동에 있는 해병대 교육훈련단에서 훈련을 받고 있다.


12. 하위 행정구역

[정주부 행정구역 지도]

12.1. 정원구(定遠區)

12.1.1. 시내동 지구

 * 관할 법정동: 성내동2(城內洞2), 성내동1·3가(城內洞1·3街), 성외(城外), 서주동1·2·3·4·5·6·7가(西州洞1·2·3·4·5·6·7街), 덕산동1·2·3가(德山洞1·2·3街), 중앙동1·2·3가(中央洞1·2·3街), 남양(南陽), 남호(南湖), 독장동1·2가(獨將洞1·2街), 보산(寶山), 상단(上端), 서호(西湖), 소암동1·2·3가(小巖洞1·2·3街), 하단(下端), 화산(華山)

인구는 212,186명.

정주부의 행정 중심지이자 문화 중심지이다.

12.1.2. 읍

12.1.2.1. 봉명읍(鳳鳴邑)

 * 관할 법정리: 봉명(鳳鳴), 독장(獨將), 송포(松浦), 심천(深川), 연봉(延鳳), 용포(龍浦), 탄우(灘隅)

인구는 18,784명.

귀성, 삭주, 청산 방면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다.

12.2. 덕언구(德彦區)

12.2.1. 시내동 지구

 * 관할 법정동: 대성(大成), 대산(大山), 대양(大陽), 덕성(德星), 방천동1·2·3·4·5·6가(防川洞1·2·3·4·5·6街), 석산(石山), 신창(新倉), 송정동1·2·3·4가(松亭洞1·2·3·4街), 안흥동1·2·3·4가(安興洞1·2·3·4街), 어호(漁湖), 원봉(圓峰), 육성(六星), 증봉(甑峰), 침향(沈香)

인구는 329,469명.

정주부의 행정 중심지이다.

12.2.2. 읍

12.2.2.1. 월훈읍(月暈邑)

 * 관할 법정리: 월훈(月暈), 갈현(葛峴), 관해(觀海), 광동(光東), 덕원(德元), 운평(雲坪), 익성(益城), 일신(日新)

인구는 25,310명.

12.2.3. 면

12.2.3.1. 갈산면(葛山面)

 * 관할 법정리: 정양(鼎陽), 서남(瑞南), 용흥(龍興), 일해(逸海), 흥록(興麓)

인구는 2,710명.

해안 평야지대로 그 앞바다엔 애도면에 속하는 애도, 윤소리도, 붕배도, 운무도와 같은 섬들이 있다.

현재 대성동에 위치한 오산고등학교의 발상지이다. 일해리에 정주국제공항과 애도로 가는 일해항이 있다.

12.2.3.2. 납청면(納淸面)

 * 관할 법정동: 청정(淸亭), 동창(東倉), 신오(新五), 옥야(玉野), 원동(院東), 원서(院西), 춘산(春山)

인구는 5,001명.

원래 지명은 마산면(馬山面)이었으나, 납청시장에서 이름을 따서 현재의 지명으로 개칭되었다.

면소재지 청정리에 있는 납청(納淸)시장이 유명하며, 방짜 유기(鍮器)도 유명하고 한편으로 이 곳의 국수는 잘 쳐서 질긴다고 한다.

12.2.3.3. 운전면(雲田面)

 * 관할 법정리: 운전(雲田), 강서(江西), 대흥(大興), 운산(雲山), 운학(雲鶴), 운흥(雲興)

인구는 6,529명.

원래 지명은 대전면(大田面)이었으나, 면사무소 소재지인 운전리에서 이름을 따와 현재의 지명으로 개칭되었다.

12.2.3.4. 애도면(艾島面)

 * 관할 법정리: 애도(艾島), 갈도(葛島), 대감(大甘), 운무(雲霧)

인구는 1,142명.

정주에서 가장 유명한 해양 관광지로, 민박집과 횟집이 많다.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접근성이 낮아 갈산면에서 출발하는 페리를 통해 애도로 들어올 수 있다. 어업과 숙박업이 섬의 경제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고립된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닫힌 사회가 문제가 되고 있으며, 외지인을 경계하는 풍토가 있다.


13. 여담

 * 해당 글에서 나온 이인환(李寅煥)이라는 인물은 우리에게 이승훈(李昇薰)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다. 후자는 이인환의 자(字)인 승훈(昇薰)에서 따온 것이다.

 * 정주 출신 시인 백석은 원 역사와 똑같이 자신의 고향인 정주에서 활동하였으며, 김소월과 함께 관서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고 유명한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 해당 세계관은 분단이 되지 않아서 인제대학교와 백병원은 김해와 부산에 존재하지 않으며,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한 백병원은 서울(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정주(인제대학교 백중앙의료원), 평양(인제대학교 평양백병원), 의주(인제대학교 의주백병원), 안주(인제대학교 안주백병원)에 있다.

 * 백인제는 벽동의 공병우, 용천의 장기려와 함께 관서의 3대 명의(名醫)로 알려져 있으며, 백인제는 장기려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백인제는 자신의 고향인 정주에서 활동한 반면, 그의 제자 장기려는 평양에서 활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