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헌법은 전례없는 정치적 토론을 거친 후 채택됐다. 시베리아 동부에서는 60만 명이 헌법 초안에 대한 토론에 참여했으며, 6천 건 이상의 개정안이 제시됐다. 소비에트 우크라이나에서는 1,150만 명이 토론에 참가했으며, 2만 7천 건의 개정안이 제시됐다. 소련 전역에서는 2천 5백만 명의 인민들이 토론에 참가했으며, 9만 5천 건의 개정안이 채택됐다.


일련의 회의들은 지역평의회와 구 평의회, 주 평의회에서 활기찬 토론을 촉진했다. 하지만 트로츠키는 이 당시에 다음과 같이 썼다. "헌법 초안이 1936년 6월에 소련 인민들의 '고려'에 부쳐진 것은 틀림없이 사실이다. 하지만 세계의 6분의 1을 차지하는 이 나라에서 중앙위원회의 정책을 두려움 없이 비판할 수 있는 공산주의자나, 집권당의 제안을 거부할 수 있는 비당원 시민을 단 한 사람이라도 찾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헌법 초안에 대한 토론은 '행복한 삶'에 대한 감사인사로 점철된 제안서들을 스탈린에게 보내는 요식행위에 불과했다." (배반당한 혁명, 243쪽) 헌법 제정을 둘러싼 회의들에서 제시된 9만 5천 건의 제안서는 이 놀라운 거짓말에 대한 충분한 대답이 될 것이다.


(...) 소련 전역에 걸쳐, 모든 공장과 기관들에서 광범위한 토론들이 개최됐고, 노동조합의 간부들과 모든 종류의 대표자들은 사업에 대한 보고를 개진했다. 보고는 긴 시간동안 이루어졌고, 몇몇 보고자들은 가차없는 비판에 처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간부들에 대한 선거가 실시됐다. 기존의 틀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거나 구성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 실패한 수많은 간부들은 파면됐다. 이러한 회의들에서 공산당원들은 그 어떤 특권도 누리지 못했다. 노동자들은 간부들을 평가하듯이 그간의 사업들에 기초하여 당원들을 평가했다.


동일한 과정은 공산당에서도 일어났다. 새 헌법에 기초한 선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당원들은 비판의 권리를 확실하게 행사했다. 모든 당 위원회들에 대한 최근의 선거에서, 공장의 초급당위원회에서 지구당위원회, 주당위원회, 그리고 민족공화국들의 중앙위원회에 이르기까지 모든 당 조직에서 당 지도자들과 주요 당위원회들의 최근 사업에 대한 토론이 장기간에 걸쳐 주의깊게 이루어졌다. 당원들은 주도면밀하지 못한 사업작풍에 대해, 평당원들에 대한 일부 당 간부들의 고압적이고 권위적인 태도에 대해 불만을 꺼리낌 없이 표출했다. 평의회에서, 공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했던 당원들은 가차없는 비판의 대상이 됐다. 일례로, 모스크바 시에서 열린 토론들에서 모스크바 지역평의회의 의장은 사업상의 실패를 은폐하려 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공격받았다. 당위원회의 구성원으로 노동자들에게 인기가 전무했던 공장의 지배인들은 노동자들의 신랄한 비판을 받은 후 투표를 통해 파면당했다.


당위원회의 선출 방식은 당 기관에 지명된 모든 후보자들에 대한 전면적인 검증과 평가를, 자유로운 투표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최초의 지명은 제한 없이 토의를 통해 이루어졌고, 과거의 행적과 당에 대한 헌신, 당원들과 비당원들에 대한 태도를 기준으로 각 후보자들에 대한 정치적 검증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검증이 충분히 이루어졌을 때, 당원들은 몇 차례의 토론을 거친 후 비밀투표를 통해 각각의 후보자들에게 투표했다. 결과는 무능하고 자기만족적이며, 형식주의적인 인자들의 파면과, 비타협적인 노동자들에 의한 당 기관의 교체였다. 모스크바에서 당 위원회의 신규 간부 및 임원들의 23%는 사상 최초로 선출됐으며, 도네츠 지역에서는 27.3%가, 키예프에서는 27.3%가 새로 선출됐다.


소련의 모든 선거구들마다, 의미심장한 회의들이 공장과 정부 기관, 집단농장, 붉은 군대의 부대들에서 열렸으며, 선거구별로 유세가 열리기 앞서 연방평의회와 민족공화국 평의회의 후보자들의 자격에 대한 검증이 논의됐다. 군중들은 가장 특출난 후보들을 선택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앞장섰다. 가장 특출난 후보라는 말에 담긴 함의는 당 지도자들과 유명한 정치연설가들뿐만 아니라, 사회주의 건설의 모든 분야에서 특출난 활약을 선보였던 노동자들까지 모두 포괄했다. 소련의 인민들은 오직 중앙과 지방 지도자들이 지명한 공산당 후보들만을 선택할 권리를 가지게 될 것"이라는 트로츠키의 낭설과는 달리(배반당한 혁명, 251쪽), 108명의 비당원들이 연방평의회에 등록됐고, 165명은 민족공화국 평의회의 후보자로 등록됐으며, "25세 미만의 공산주의청년단원들이 정치적 문제에 몰두할 권리를 박탈"당했다는 그의 주장과는 반대로, 연방평의회와 민족공화국 평의회에는 각각 39명과 58명의 후보자들이 등록됐다.


ㅡ J. R. Campbell, 《Soviet Policy and its Critics》, Victor Gollancz Ltd., 1939, pp. 144~146.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enin&no=1684&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