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원 평가 / 티어 분석 카테고리 보러가기]

* 각 캐릭터에 대한 평가는 카운터사이드 유저들 개인 혹은 집단의 평가입니다. 

* 캐릭터에 대한 유저의 평가는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하며, 정해진 답은 없으며 많고 많은 감상이라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선정 기준]

메인스트림 / 자유계약 / 다이브 / 그림자전당 / 레이드 등의 컨텐츠에서

딜러 / 탱커 / 서포터로서


= 전장 장악력 우수, 화력전이나 방어전이 매우 뛰어난 사원. 

= 전장 장악력은 떨어지나, 화력이나 방어가 우수한 사원. 혹은 반대로 화력,방어력은 떨어지나 장악력이 우수한 사원


B = 화력이나 방어로서 성능이 보통인 사원

C = 성능은 그럭저럭 쓸 수 있으나 개선이 필요한 사원

Need buff = 개성과, 화력 모두가 부족한 구조개선이 필요한 사원


Task force = 특수적인 상황이나 덱에서 활용(디버퍼/버퍼) 그러나 몇몇 상황에서는 고려가 필요한 사원

Tower/Siege = 타워 병과 / 시즈 병과. 특수한 상황에서 활용가능한 사원들


추가 기준으로 유저들의 아카라이브의 청문회를 참고하였으며, 육성을 아무도 안하였을 시

누구를 먼저 육성하여나 하는 지 우선순위를 고려하였습니다



[선정 의견]


[S]

ㆍ 유나 스프링필드 - 솔라 코덱스

- 뛰어난 회복력과 베리어 및 버프 해제 유틸을 지닌 특수기와 궁극기로 인한 안정적인 라인유지력 / 후열저격

ㆍ 힐데 - 타입 지그프리트

- 강력한 탱킹 능력과 추격 능력을 바탕으로 한 뛰어난 라인 장악력

ㆍ 유미나 - 울프즈 언체인드

- 출격기를 쓸 수 없는 것은 아쉬우나, 패시브 공격과 궁극기를 통해 커버하는 딜러

ㆍ 이수연 - 에이스 오브 윙즈

- 공중 추가 데미지와 레인저 병과 버프를 통한 우수한 라인 장악력 / 그림자 전당 3에서의 활용 등

ㆍ 에델 마이트너 

- PVE의 메인 적인 침식체와 솔저에 대한 추가 데미지, 소환수를 통한 라인 장악력까지 우수한 PVE의 만병통치약

류드밀라

- 공중 스나라는 생존력 메리트와 뛰어난 데미지와 유틸성을 가진 특수기와 궁극기 

알렉스

- 즉각 버프 해제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베리어 생성을 바탕으로 한 유지력

야누스

- 스텟 수치로 압도하는 공중 딜러 / 지상 탱커 올라운더

이프리트

- 상향 후 베리어 생성으로 인한 생존력 보장과 메카계의 김소빈이라 할 수 있는 우수한 DPS

샤오린

- 사랑받는 3타 관통 특수기, 확정 치명타, 지상을 쓸어버리는 궁극기


[A]

신지아

- 상향 후 우수한 버프와 데미지를 가진 인원 / 애매한 공격력

로자리아 드 프리데

- 뛰어난 공격력 스텟을 바탕으로 한 딜러 / 지상, 공중 동시 타격이 불가능한 다소 아쉬운 특수기. 짧은 사거리.

에스테로사 드 슈발리에

- 상향 후 다양한 버프와 지속 쉴드를 통한 라인 유지력과 데미지

하야미 사나에

- 준수한 사거리와 데미지를 가진 특수기와 궁극기 / 애매한 생존력, 시즈 대상 추가 데미지로 인해 건틀렛에서 더 활용

카일 웡

- 상향 후 추가 방벽 소환을 통한 라인 유지력, 추가 데미지 패시브 보유 / 애매한 공격력

카린 웡

- 대공, 대지를 통틀어 자리만 잡는다면 준수한 데미지를 선사하는 장거리 딜러 / 지나치게 긴 공격모션과 이로 생기는 딜로스

가은

- 스턴과 넉백을 가진 특수기를 활용한 라인 유지 / 애매한 공격력과 생존력

이유미

- 회피 패시브와 데미지 감소를 가진 궁극기를 활용한 생존력이 좋은 탱커 / 패시브가 끝난 후의 탱킹 문제, 낮은 공격력

엘리자베스 팬드래건

- 준수한 공격력과 넓은 범위를 동시타격하는 특수기 / PVE 특성 상 사용이 어려운 출격기, 어려운 생존

나나하라 치나츠

- 피해감소율 버프와 힐, 데미지 증가를 가진 공격적인 서포터

양하림

- 스킬충전속도, 배리어, 체력회복 등 유용한 기능을 다 가지고 있는 서포터

타이탄

- 메카덱의 심장, 메카덱의 로망, PVE 우수한 생존력 / 돌파력 부족


[B]

에스타크

- 상향 후 배리어 및 공격속도 감소 등의 버프, 후열 저격 스나이퍼 /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게 느껴지는 데미지

터미네이터

- 개편 후 CC면역, 방어력 상승 등의 패시브 / 그러나 그 대가로 하향된 방깎 능력

이수연

- PVE에서 힘을 못 쓰는 캐릭터라고 할 수는 없으나 신캐들의 등장으로 인한 애매한 데미지와 탱킹 능력

도미닉 킹 레지날드

- PVE에서 힘을 못 쓰는 캐릭터라고 할 수는 없으나 신캐들의 등장으로 인한 애매한 데미지와 탱킹 능력 

나나하라 치후유 

- 상향 후 많은 버프를 받았음. 방깎 등의 유틸성 (A로 상향 조정 의견) 

주시영

- PVE에서 힘을 못 쓰는 캐릭터라고 할 수는 없으나 신캐들의 등장으로 인한 애매한 데미지와 탱킹 능력

제인 도우

- 솔저덱 기용 시 A로도 기용이 가능한 사원. 우수한 회피 능력과 딜링 능력. 빠른 공격속도가 있어 솔저덱의 돌파력을 증가시켜줌 / 애매한 코스트, 생존력 

레지나 맥크래디

- 상향 후 늘어난 탱킹 능력과 유틸성 / 그러나 PVE에서 우선 순위로 두기엔 애매한 상향


[C]

오르카

- PVE에서 못쓴다고 할 수는 없는 인원임. 오히려 PVE에서 힘을 쓰는 패시브. 하지만 그럼에도 아쉬운 특수기와 1인 타격 궁극기

스트롱홀드 [솔저덱 기용시 A]

- 솔저덱 기용 시 A로도 기용이 가능한 사원. 하지만 단순 SSR의 성능으로 보았을 때, 구관방과 비교 시 코스트가 아쉬운 사원

ALT-1 링컨

- PVE에서 못쓴다고 할 수는 없는 메카닉 유닛이나, 타라스크 이프리트 등의 상향. 야누스의 등장으로 인해 입지가 많이 줄어든 사원. / 강력하다고 말할 수 없는 특수기

나유빈

- 버퍼로 기용하는 경우가 더 많은 인원. 그러나 애매한 딜링 능력과 생존이 아쉬운 사원

프레데릭 도마

- 회복력 감소 등으로 생각보다 자주 기용하는 인원이나 사거리 상향 등의 조정이 필요한 사원


[need buff]

관리국 검사

- N, R급 유닛들의 패시브를 SSR의 유닛의 패시브로 해놓음. 넉백 삭제 전에도 기용률이 낮았지만 그 후엔 더욱 낮아진 기용률


[Task force]

이지수

- 회복력 감소 패시브와 버프를 장시간 못받게하고, 라인을 돌파하는 궁극기가 뛰어난 사원. 그러나 S에 비해 우선 순위는 떨어짐

옌 싱 란체스터

- 특수기와 무적 궁극기를 활용한 PVE에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한 사원

서윤

- 본체의 능력보다 본체의 공격력 패시브를 받기 위해 더 기용이 많이 되는 사원

강소영

- 솔저덱의 버퍼로 기용

존 메이슨

- 개편 전에는 무한 EMP로 재미를 보았으나, 개편 후엔 배리어 삭제 EMP와 침식체 소환 능력으로 재미를 볼 수 있는 사원

ATF-35 썬더볼트

- 그림자 전당, 대공 유닛을 잡기 위해 가끔 기용하는 사원


[Tower/Siege]

시그마

- PVE 소대의 리더로 두어도 상관이 없는 사원

이디스 트윈즈

- PVE에서 사용하기엔 아직 환경이 마련되지 않은 사원

마리아 안토노프

- PVE 소대의 리더로 두어도 상관이 없는 사원 

AVAC-130 건쉽

- 그림자 전당 팔레스3에서 공군덱에서 가끔 활용을 하지만, 이디스와 마찬가지로 PVE에서 적극 사용하기엔 아직 환경이 마련되지 않은 사원

루미

- 적의 시선이나 스킬 방향을 틀기위해 기용되는 사원




https://arca.live/b/counterside/4946057

 * 해당 글의 최신화를 위해 올리는 글입니다


댓글로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뉴비들이 최대한 고려를 할 수 있도록 많은 의견 (예를 들어, 00는 어디에서 은근히 더 좋더라. 등)을 남겨주시면 12월 최신화 시에 참고하여 조정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