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5


그는 너무 많은 것을 보았다. 붉게 물든 풀밭, 하늘로 치솟는 연기 기둥, 진흙과 피로 뒤덮인 자신의 손. 그것은 그의 피가 아니었다. 어쩌면 그랬을지모른다. 그는 몰랐다. 그가 아는 유일한 것은 자신이 집에 없고, 시체들에 둘러싸여 있고, 갑자기 그의 앞에 어마마마께서 나타나셨다는 것뿐이었다.

    "어마마마?" 칼빈은 말을 더듬었다. 이 혼란스러운 와중에 그녀는 여기서 무엇을 하고 있었던 걸까? 그녀의 머리카락은 먼지가 많고 화약이 스며드는 공기에 오염되지 않아 매끄러웠다. 그녀의 옷과 피부는 그와는 달리 깨끗했다. 마치 하늘에서 사자가 그를 만나러 내려온 것 같았다. 그는 무릎을 꿇고 수년간 자신을 키워준 여인을 올려다보았다.

    “칼빈.” 그녀가 속삭였다. 그녀는 무릎을 꿇고 아들을 안았고, 아들은 몸을 떨며 울기 시작했다. 그녀 드레스의 부드러운 비단 실이 칼빈의 피부 위로 흐르는 것 같았다. 남자는 어머니를 끌어안고 어머니의 어깨에 얼굴을 묻고 흐느꼈다.

    몇 초 후에 그의 어머니가 다시 일어섰다. 그녀의 옷은 칼빈을 뒤덮은 진흙으로 더러워지지 않았다. 붉게 물든 손에는 핏자국도 없었고, 그녀의 어깨에는 눈물로 젖은 자국도 없었다. 그러다가 그녀는 등장하자마자 빠르게 사라졌고 불타는 지평선의 풍경이 그녀의 모습을 대체했다.

    “어마마마.” 칼빈이 소리쳤다. "어마마마! 소자를 떠나지 마옵소서!” 다 큰 남자는 옆으로 쓰러져 공 모양으로 몸을 웅크리고 어머니를 찾으며 통곡했다.

    타닥거리는 숯불 소리, 부드러운 돌풍, 그리고 19세 남자의 울음소리 외에는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았다.


그는 몇 달 후 전쟁에서 돌아왔지만 그의 마음 속에는 전쟁이 집으로 따라왔다. 그는 아무것도 느낄 수 없었다. 그의 아버지인 황제는 그의 귀환을 열병식으로 축하했지만 칼빈은 그가 겪은 일을 자랑스러워할 수 없었다. 그는 열병식에 참가한 신입 및 새로 모집된 군인들을 불쌍히 여겼다. 그들은 스스로 경험하기 전까지는 자신들이 자원한 것이 무엇인지 결코 이해하지 못했고, 결코 이해할 수 없었다.

    칼빈이 그의 어머니를 다시 만났을 때, 그녀는 현장에서 그녀가 입었던 것과 똑같은 드레스를 입고 있었다. 그의 눈은 다시 눈물을 흘렸지만 눈물 한 방울도 흘리지 않았다.

    "어마마마, 소자를 왜 떠나셨습니까?" 그는 침을 삼켰다. 그는 여전히 자신에게 의문을 품고 있었다. 그의 어머니가 정말 전장에 있었나?

    “무슨 말씀이십니까, 태자?” 그녀는 아들을 껴안으며 물었다.

    “마마께선 소자를 떠났어요.”

    “제가 절대 태자를 떠나지 않을 거라는 걸 태자도 아시잖아요.”

    확신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칼빈은 여전히 버림받은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녀가 그를 버렸을까, 아니면 그가 모두를 버렸을까? 그는 그것이 후자라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는 죽은 전우들을 들판에 남겨두고, 존엄성을 버리고, 영혼을 버렸다. 그러나 그는 그것들을 되찾기 위해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땅은 이미 잃어버린 것들을 흡수했다.


수십 년 후, 황제가 붕어하고 칼빈이 황위에 오르자 그는 복수를 다짐했다. 그의 적이나 그의 신에게 복수하지 말고 인류에게 복수하자. 그는 인류가 시작된 이래로 계속되어 온 끝없는 갈등에 병들어 있었다. 사람이 어떻게 자신과 같은 사람을 죽일 수 있겠나? 그것은 비논리적이었다. 그것은 미쳤다.

    칼빈은 전쟁이라는 개념을 전체적으로 끝내기로 결정했다. 센타우라 대륙은 늘 자기 자신과 전쟁을 벌여왔다. 수많은 국가들이 대륙의 북쪽과 남쪽을 이루고 있었고, 그들은 모두 당연히 확장을 목표로 하는 제국이었다. 국경은 매년 한 국가의 이익과 손실로 인해 항상 바뀌었다. 그러나 그러한 이득과 손실은 항상 인명 손실을 동반했다.


    종(種)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는 생각이 칼빈을 화나게 했다. 그는 전쟁이 서로 다른 사상, 관념, 정치 간의 갈등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만약 그가 어떻게든 센타우라 전체를 하나의 이념으로 통합한다면 앞으로 몇 년 동안 많은 평화가 있을 것이라고 그는 생각했다. 그러나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의 적들을 제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대륙에는 자신을 제외한 9개의 제국이 있었고, 그들 모두가 그들의 신념을 포기하도록 설득할 수는 없었다.


원문

1875


    He had seen too much. Plains of grass colored red, plumes of smoke rising into the sky, and his own hands covered by a film of mud and blood. It wasn’t his blood. Maybe it was — he didn’t know. The only things he did know were that he wasn’t at home, he was surrounded by bodies, and his mother had suddenly appeared in front of him.

    “Mother?” Kalvin stuttered. What was she doing here, in the midst of this chaos? Her hair was smooth, unadulterated by the dusty, gunpowder-infused air. Her clothes and skin were clean, unlike his; it was as if a messenger from the heavens had come down to meet him. He dropped to his knees, looking up at the woman who had raised him for years.

    “Kalvin,” she whispered. She knelt down and embraced her son, who began to shiver and cry. The soft silk threads of her dress seemed to flow over Kalvin’s skin. The man hugged his mother back, burying his face into her shoulder and sobbing.

    After a few seconds, his mother stood up again. Her clothes had not been dirtied by the mud that covered Kalvin. There were no blood marks from his red-stained hands, nor were there any wet spots from his tears on her shoulder. Then she faded away just as fast as she appeared, and a view of the burning horizon replaced her image.

    “Mother,” Kalvin cried. “Mother! Don’t leave me!” The grown man fell on his side, curling into a ball and wailing for his mother.

    There was no sound but the crackling of embers, the soft gusts of wind, and the cries from the 19-year-old man.


    He returned from the war a few months later, but the war followed him home in his mind. He couldn’t feel anything — his father, the emperor, celebrated his return with a parade, but Kalvin could not be proud of what he went through. He pitied the fresh and newly recruited soldiers who marched in the parade. They would never and could never understand what they volunteered for, not until they experienced it for themselves.

    When Kalvin saw his mother again, she was wearing the same dress that he had seen her wear in the field. His eyes watered up again, but he did not let a single tear fall.

    “Why did you leave me?” he gulped. He was still questioning himself, was his mother really there in the field?

    “What do you mean, Kalvin?” she asked as she hugged her son.

    “You left me.”

    “You know I would never leave you.”

    Even with assurance, Kalvin still felt abandoned. Did she abandon him, or did he abandon everyone? He began to think it was the latter. He left his dead comrades in the field, he left his dignity, and he left his soul. But he knew he couldn’t go back to retrieve them; the land had already absorbed what was lost.

    

    Decades later, when the emperor passed away and Kalvin rose to the throne, he vowed to get revenge. Revenge not against his enemies, nor his god, but humanity. He was sickened by the endless conflicts that had taken place since the beginning of mankind. How could a man kill another like himself? It was illogical. It was insane.

    Kalvin decided he wanted to end the concept of war as a whole. The continent of Centaura had always been at war with itself; numerous countries made up the north and south of the landmass, and they were all empires whose goals, naturally, were to expand. Borders always changed every year, caused by the gains and losses of any one nation. But with those gains and losses, it was always a guarantee that lives were lost.

    The thought of a species killing itself is what angered Kalvin. He knew that war was caused by conflicts between different ideas, ideologies, and politics. If he were to somehow unite all of Centaura under one ideology, there would be much peace for the years to come, he thought. Bu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that meant having to subdue his opponents; there were nine empires on the continent excluding his own, and he couldn’t possibly convince them all to surrender their beliefs.


이렇게 전쟁이 또 다른 전쟁을 만들었네. 전쟁의 공포를 마주한 사람이 공포스러운 전쟁을 없애기 위해 전쟁을 일으키다니 참 역설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