孤山縣 本百濟烏山縣 景徳王攺名 今禮山縣

고산현(孤山縣)은 본디 백제의 오산현(烏山縣)이니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의 예산현(禮山縣)이다.



고(孤)는 외롭다를 뜻하므로 오산(烏山) = 고산(孤山)의 오(烏)는 현대 한국어 를 나타낸 표기임을 알 수 있음. 고려 태조가 예산(禮山)으로 바꿨는데, 오례산(烏禮山)에서 중국식 지명처럼 두 글자로 맞추기 위하여 하나를 날려 표기하였다고 추측 가능


그러면 후기 고대 한국어로 오례산(烏禮山)은 *orimori[오리모리] 또는 *orimoro[오리모로]였을 터, 이 *ori[오리]가 중세에 , 즉 wóy[오이]가 된 것임을 알 수 있지. 현대 한국어로 재구하면 외메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군 지역에(통합 이전)


都山縣 夲狄山縣 景德王攺名 今未詳

도산현(都山縣)은 본디 적산현(狄山縣)이니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은 미상이다.


적(狄)은 오랑캐를 뜻하는데, 오랑캐는 올량합(兀良哈)에서 비롯한 외래어고 원래 전통적인 읽기는 되(되놈 등)임. 는 후기 중세 한국어로도 twǒy[도이]였음. 여진족 해적이 일본에 쳐들어간 도이(刀伊)의 입구(入寇)의 도이(刀伊)가 이


현대 한국어에서 뒤(後)는 후방을 뜻하지만 중세에는 북쪽이라는 뜻도 가졌는데, 뒤(後)되(狄)는 동원임. 북쪽에 사는 놈들 이런 것이겠지


이 북쪽은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거나 악센트 등을 따져 *tori[도리]로 재구 가능한데, 위의 예산군의 예와 같이 도산(都山)도 당시에 *torimori[도리모리] ~ *torimoro[도리모로]로 읽었다고 추측할 수 있음. 현대 한국어로는 되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