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밑에 요약본 써둠

단일 노선 중 세계에서 가장 긴 트램(노면전차)인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이 본격 착수된다.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 승인 28년 만이자 트램 방식 결정 10년 만이다. 게다가 수소트램과 완전 무가선 상용화는 국내에서 처음 이뤄지는 것이어서 다른 지방자치단체들이 추진 중인 트램 건설의 롤 모델이 될 것으로 보여 관심이 집중된다.

대전시는 다음달 트램 제작을 발주한다고 4일 밝혔다. 국내외 기업 모두 참여할 수 있다.

이번에 발주하는 트램은 34편성이다. 1편성은 5개 모듈을 이어 만든다. 즉 열차처럼 5개 객차를 이어 1편성을 구성하는 것이다. 1편성 길이는 35m로 좌석 40석을 포함해 모두 305명이 탑승할 수 있다.

시는 오는 5월 철로 건설 사업도 발주한다. 2호선 트램은 대덕구 중리 사거리에서 법동을 거쳐 신탄진 연축까지 3.9㎞ 지선을 포함해 총 38.1㎞로 정거장 45개, 차량기지 1개가 있는 순환선으로 건설된다.

트램이 개통되면 출퇴근 등 러시아워 때 8분, 다른 시간대에는 10분마다 운행될 예정이다. 염 팀장은 “트램은 최고 시속 60㎞이지만 ‘50·30’ 시내 속도에 맞춰 운행할 예정”이라며 “철로는 기존 시내 도로 위에 건설하는데 처음에는 전용 노선으로, 정착된 후에는 자동차와 함께 혼용으로 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은 1호선(지하철)이 착공된 1996년 기본계획이 세워졌다. 자기부상열차로 추진되다 2014년 트램으로 변경됐다.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고, 친환경적이며, 기존 도로를 이용해 자기부상열차보다 건설·운영비가 적게 들고, 교통약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다.

시는 트램 철로 착공에 대비해 시민 불편 해소 대책을 서두르고 있다. 철로는 도로 중앙 2개 차선에 상하행선으로 만들어진다. 왕복 6차로의 경우 중앙선 양쪽 1차선에 건설돼 버스와 승용차 등은 나머지 4차로를 이용한다. 시민들은 인도와 도로 가운데 정거장 사이의 횡단보도를 건너 트램에 탑승한다.

문제는 왕복 4차로 이하 시내 도로다. 시는 인도·자전거도로 폭을 줄여 차로를 더 확보할 계획이다. 공사 중에는 인도와 차도 사이에 안전시설도 설치한다. 인도에 부직포를 깔아 불편을 덜어 줄 방침이다.

한규영 트램건설과 계획조정팀장은 “1호선 지하철이 전체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의 5.8%를 차지하는데 트램이 개통되면 1·2호선 합쳐 8.3%로 높아진다”면서 “그만큼 승용차 이용이 줄어들어 대중교통 수요를 좀더 높이는 효과가 있다. 최첨단 수소트램이어서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높다”고 했다. 그는 “2호선은 국비와 자치단체 예산으로 만드는 국내 첫 트램”이라며 “대전이 트램을 선도하는 도시인 만큼 다른 지역 트램 사업의 본보기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램은 현재 전국 22개 도시에서 모두 35개 노선(총길이 456.33㎞) 건설이 추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https://m.go.seoul.co.kr/news/newsView.php?cp=go&id=20240205012001

요약:
3월에 차량 제작 발주 넣고 5월에는 철로 건설이랑 정류장, 차량 기지 발주

차량은 5량 1편성에 정원은 305명.(2량 1편성인 인천 2호선 정원이 206명인 거 생각하면 길이만 길 뿐 수용성은 그리 크진 않은 듯.)

출퇴근 러시아워 때는 8분, 평시 10분마다 운행 예정이며 대전시 도로 속도 제한으로 인해 최고 속도는 못 낼 예정.

철로는 기존 도로 위에 깔리고 초창기엔 트램 전용 선로로, 이후 정착 되면 자동차랑 혼용 예정.

자기부상열차보다 건설 운영비가 적게 듦.(레전드 개소리 10년 전 자기부상열차로 착공하는 거랑 지금 트램 착공하는 거랑 건설비 비슷함.)

왕복 6차선에서는 중앙선 2차선에서 상하행으로 트램 운행하고 4차선에서는 차선 절반을 트램이 잡아먹는데 4차선은 인도랑 자전거 도로 없애서 차선 늘릴 예정.

1호선이 전체 대중교통 분담률이 5.8%이지만 2호선 개통 이후엔 8.3%로 증가 예정.(정류소 45개에 순환선인 것치곤 분담률이 크게 증가하진 않는 듯.)

결론: 3월~5월 사이에 트램 본격 착공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