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brain)의 발생

 

임신 3주 외배엽에서 신경판을 형성

임신 4주 : 신경판 → 신경관 형성

신경관 : 앞쪽; 대뇌, 뒤쪽; 척수로 분화. 중심부분의 공간은 뇌실과 척수 중심관

발생 4주 말 일차뇌소포 : 배아의 뇌는 3군데 확장

※ 신경관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3개의 확장부분: 일차뇌소포

※ 일차뇌소포 형성기는 짧다

머리굽이에서 앞뇌(forebrain), 중간뇌(midbrain), 마름뇌(hindbrain), 구분

목굽이 태생 26일에 마름뇌와 숨뇌 경계

발생 6주경 이차뇌소포 : 5뇌소포 3굽힘기

이차뇌소포

외관상 2개 큰 덩어리(앞 뇌와 마름뇌)와 3개의 큰 부분으로 형성.

사이뇌는 매우 느리게 발달, 빠르게 커지는 끝뇌에 의해 쌓여 한 덩어리 처럼 보임.

※ 이차뇌소포는 변화하지 않은 중간뇌를 합하여 확장이 5개 형성.

 

 

무뇌증(Anencephaly)

뇌조직이 결손

발생할 떄 신경관의 앞신경구멍 (anterior neuropore)이 닫히지 않아서 관내강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선천 기형을 뇌없음증(무뇌증) 이라고 한다

뇌와 머리덮개뼈가 형성되지 않아 태아들은 대부분 사산되거나 생푸 즉시 사망한다

눈은 형성 되지만 시각신경이 없다

 

 

뇌실계통

신경관 속공간 : 뇌실막세포 및 뇌척수액.

가쪽뇌실 : 대뇌반구 안

셋째뇌실 : 사이뇌 사이

넷째뇌실 : 숨뇌, 다리뇌, 소뇌 사이

뇌실사이구멍 : 가쪽뇌실과 셋째뇌실 사이

중간뇌수도관 : 셋째와 넷째뇌실 사이

척수: 중심관

 

물뇌증(수두증): Hydrocephalus

뇌척수액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증가

뇌척수액 과다 생산, 순환 폐쇄, 흡수 장애, 선척적인 기형(대부분), 후천적인 뇌염, 수막염, 중간뇌수도관 협착증, 등

뇌척수액 과다 > 주로 백질에 손상

손상신경로

겉질숨뇌로(corticobulbar tract), 겉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파괴되어 운동기능이 단계적으로 소실, 보행장애, 균형장애, 감정, 기억, 지능 손상

신경계통의 세포 구성

신체의 모든 조지과 기관은 세포로 구성

신경계통: 신경세포 + 신경아교세포

신경세포: 정보처리와 신호전달, 흥분을 발생시켜 이를 신경충동의 형태로 전도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기능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

신경아교세포: 주변 신경세포의 절연, 지지, 보호역활 및 공급 담당

신경 세포의 전달: 축삭둔덕에서 활동전위가 발생하면 활동전위가 축삭을 따라 축삭종말에 도달

신경세포(신경원; neuron)의 구조

구성: 세포체, 가지돌기, 축삭.

물리적, 화학적 자극에 반응하는흥분성, 전도성을 지닌 기능적 단위.

정보전달 역할

신경세포체의 특징

신경세포의 대사 중추로 핵과 세포질 포함, 생존에 필요한 효소뿐만 아니라 신경 전달물질 합성, 신경세포의 신호를 통합하는 일종의 생화학 공장, 수많은 입자들이 매우 빠른 속도로 생성, 대사, 소멸된다

대사율이 높아 산소와 포도당 지속적으로 공급, 영양상태 좋으면 100년 동안 기능 유지

세포체(cell body) 

구성: 원형질과 핵(대사와 합성).

소기관: 사립체, 골지체, 중심소체, 용해소체 등 핵을 중심으로 배열

대부분 신경세포는 연접접촉, 연접 통하여 다른 신경세포에서 정보 받고, 정보 전달

가지돌기(dendrites; 신경돌기)

모든 신경세포의 세포체로부터 세포체의 일부가 돌출되어 나오는 것

가지돌기(원형질돌기): 짧은 여러 개의 돌기

다른 신경세포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여 세포체로 전달

즉, 세포체 쪽으로 들신경성(구심성)으로 전달

축삭(신경돌기)

구성: 말이집(수초), 신경집(신경초), 신경집세포(슈반초)로 구성

기능: 정보(활동전위)를 세포체에서 축삭종말로 보내서 다른 신경세포나 근육세포 전달.  

종말단추(terminal button): 여러 개의 분지, 축삭종말은 단추 모양으로 확장이 되어 끝나는데 그 끝을 종말단추라고 한다. 종말단추에는 신경전달물질 담고 있는 많은 연접주머니 있다.

말이집이 있는 축삭: 말이집신경섬유(myelinated nerve fiber)

말이집이 없는 축삭: 민말이집신경섬유(unmyelinated nerve fiber)

 

신경세포의 기능

흥분을 발생시켜 신경충동의 형태로 전도하는 특성.

정방향 전도: 세포체에서 신경충동이 발생되며, 축삭 방향으로 전도

역방향 전도: 신경충동이 축삭의 말초부위에서 세포체로 향하여 전도, 세포체에서 소멸되는 전도


 

 

 

신경세포의 종류

구조적 분류 : 모양과 돌기의 수에 따라 

홑극신경세포: 세포체에서 하나의 돌기 

> 한 개의 돌기가 세포체에서 나와 곧바로 두 개의 가지로 갈린다. 거짓홑극신경세포(pseudounipolar)라 부른다. 

양극신경세포: 세포체에서 두 개 돌기, 주로 특수감각 전달 세포들

뭇극신경세포: 한 개의 축삭과 여러 개의 가지돌기. 주로 운동신경세포와 자율신경세포

기능적 분류

감각신경세포: 들신경세포(감각자극 지각)

운동신경세포: 날신경세포(운동반응 관여)

사이신경세포: 감각신경세포와 운동신경세포 서로 연결(통합기능)


감각신경세포 

감각신경세포(들신경세포)

감각정보를 말초에서 중추 혹은 하위 추에서 상위중추로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세포

신경절은 거짓홑극 신경세포 형태로 일차감각신경세포의 세포체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이 세포체들은 연접을 이루어지지 않는다

 

운동신경세포(날신경세포)

날신경 세포 중 신체의 뼈대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세포

세포체의 위치에 따라 위운동신경세포 (상위운동신경세포, upper motor neuron), 아래운동신경세포 (하위운동신경세포, low motor neuron) 나눈다

어떠한 운동을 일으키려면 위운동신경세포와 아래운동신경세포가 필요하다. 

위운동신경세포는 대뇌의 운동곁질에서부터 척수의 앞뿔이나 뇌줄기의 아래운동신경세포 연결한다.

아래운동신경세포는 척수의 앞뿔이나 뇌줄기에서 근육까지 연결하는 신경세포를 연결한다.

사이신경세포

중추신경계에 있으며, 신경계 전반에서 하나의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정보를 전달한다.

신경아교 

많은 신경세포들을 구조적으로 보조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수가 계속 증가하고 수적인 면에서 신경세포보다 10배 정도 많다.

인간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 미지수, 신경전달 속도, 신경재생 및 신경세포의 신진대사에 기여함으로써 인간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별아교세포

아교세포 중에서 가장 크다. 가장많은 돌기를 가진 특징. 신경세포를 지지하는 장치.

중추신경계에서 가장 많이 존재. 

특정 신경전달물질대사에 사용되고 세포외액의 칼륨농도를 완충시키며 전해질 균형에 중요한 역할, 허혈, 외상의 아교세포 반흔을 형성

희소돌기아교세포

별아교세포에 비해 매우 적음 

다른 아교세포들에 비해 짧고 작은 수의 돌기

중추신경계통을 이루는 신경섬유의 말이집 형성 관여, 말초신경계에서 신경집세포 역할

> 따라서 축삭을 통하여 전달되는 싱경충동의 전도속도를 증가

미세아교세포

세포체가 작으며 특이하게 중배엽에서 발생

세포 수는 적으나 뇌 전체에 분포

포식작용을 하며 물질운반과 파괴, 제게 및 병적 대사물의 청소기능

> 즉, 중추신경계의 청소세포

뇌실막세포

뇌와 척수의 뇌실계통의 내벽을 형성하는 상피세포로 핵이 둥금

뇌척수액을 생성하는 맥락얼기의 상피세포의 맥락상피세포도 일종

신경집세포

말초신경계통의 말이집형성 관여, 하나의 축삭 말이집형성에 관여. 말초신경을 이루는 축삭의 영양과 말이집형성에 관여. 신경섬의 재생에 선도적 역할

 

신경연접 (Neuronal synapse)

하나의 신경세포 축삭 말단이 다른 신경세포, 근육세포 및 샘세포와 만나 한 세포의 흥분을 다른 세포로 전달하는 부위.

화학적 연접: 30-50mm 정도의 연접틈새로 화학물질이 이동하여 정보를 전달. 

전기연접: 연접틈새가 3.5mm 매우 좁고 틈새이음을 통해 세포에서 세포로 직접 전류가 흘러 정보 전달

연접부위의 구성

연접부위 세 개의 기본 구성 요소 

연접이전막(연접단추, 이 속에 연접주머니 위치) 

연접이후막(신경전달물질의 화학 분지와 결합하기에 알맞은 구조의 수용기 위치) 

연접틈새

신경전달물질

연접이전막에 수많은 연접주머니 위치.

크기 30-140nm 다양.

연접주머니 속에서 연접틈새로 방출되는 물질(신경전달물질).

이 물질들은 축삭의 전기적 활동, 즉, 활동전위에 의해 발사, 

신경전달물질은 연접틈새로 나와 연접이후막에 수용기와 결합, 세포막전위 변화 일으킴.

방출된 신경전달 물질은 수용기 분자 성질에 따라 흥분, 억제 작용

 

연접의 전달과정 

활동전위가 연접이전종말에 도달함 > 연접이전종말은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함 > 캴슘이온이 연접이종말로 들어감 > 신셩전달물질이 연접이후막수용체와 결합 > 연접주머니는 연접이전막으로 이동함 > 세포막통로의 모양이 바뀌게 되고 이온은 연접이후 세포로 들어감


아직 2주차 밖게 정리 못했음...

곧 시험인데 ㅈ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