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

대한민국의 표준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2000년 제정.


주요 특징:

발음에 따라 적는 것이 원칙

한국인의 언어 감각에 맞는 표기

기본 로마자와 -를 제외한 다른 글자나 기호를 사용하지 않음


자음:

ㄱ, ㄷ, ㅂ, ㄹ은 받침으로 올 때는 k, t, p, l로 적음

ㄱ, ㄷ, ㅂ 다음에 ㅎ이 오면 ㅎ을 h로 살려 적음

된소리되기는 반영하지 않고 적음


모음:

ㅢ는 ㅣ로 발음되더라도 ui로 적음


예시:

서울 Seoul

부산 Busan

의성 Uiseong

애오개 Aeogae

압구정 Apgujeong

석호 Seokho

발해 Balhae

청주 Cheongju

무릉 Mureung



2.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McCune-Reichauer Romanization)

미국 학자 맥 매큔과 에드윈 라이샤워가 국어학자 최현배, 김선기, 정인섭의 도움으로 1939년에 고안한 표기. 한반도 바깥에서 가장 많이 쓰이며 북한에서는 이를 변형한 표기를 사용함.


주요 특징:

발음에 따라 적는 것이 원칙

영어를 비롯한 구미 언어 구사자의 언어 감각에 맞는 표기

기호와 부호를 적극 활용함

 

자음:


모음 사이 또는 모음과 ㄴ, ㅁ, ㅇ 사이의 ㄱ, ㄷ, ㅂ, ㅈ은 g, d, b, j로 적음.

ㄱ, ㄷ, ㅂ 다음에 ㅎ이 오면 ㅎ을 h로 살려 적음

ㄱㄲ, ㄷㄸ, ㄷㅆ, ㄷㅉ, ㅂㅃ는 kk, tt, ss, tch, pp로 적음

'쉬'의 ㅅ은 sh로 적음

초성의 ㄹ 또는 ㅎ 앞에 오는 ㄹ은 r, 그 외의 ㄹ은 l로 적음


모음:

'ㅏ에', 'ㅗ에'는 aë, oë로 적음


예시:

서울 Sŏul

부산 Pusan

의성 Ŭisŏng

애오개 Aeogae

압구정 Apkujŏng

석호 Sŏkho

발해 Parhae

청주 Ch'ŏngju

무릉 Murŭng



3.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McCune-Reichauer Romanization)

1940년대 미국 예일 대학교의 새뮤얼 마틴과 동문들이 고안한 표기. 실용적인 용도보다는 한국어 학자들이 학문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주요 특징:

발음을 무시하고 철자에 따라 적는 것이 원칙

기본 로마자를 제외한 다른 글자를 사용하지 않음

중세 한국어 표기가 가능하여 한국어학 연구에 적합함


자음:

* 중세 한국어 '놀애(놀 + -개)'와 같이 ㄱ이 약화되어 ㅇ이 된 것들의 표기 (nwolGay)

ㅅ계 합용병서, ㅂ계 합용병서, ㅄ계 합용병서는 각각 자음 앞에 s, p, ps를 붙임


모음:

ㅗ, ㅚ, ㅠ는 현대 한국어를 적을 때는 o, oy, yu로, 중세 한국어를 적을 때는 wo, woy, ywu로 적음

현대 한국어의 ㅜ는 ㅁ, ㅂ, ㅃ, ㅍ 뒤에서는 wu가 아닌 u로 적음


예시:

서울 sewul

부산 pusan

의성 uyseng

애오개 ayokay

압구정 apkwuceng

석호 sekho

발해 palhay

청주 chengcwu

무릉 mul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