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게시판

당시 진나라의 왕은 영공(靈公)이었는데, 세금을 과하게 걷어 사치를 즐겼고, 기분에 따라 사람을 죽였으며, 기이한 행동을 하는 등, 폭정을 하였다. 이에 조순이 자주 간하여 영공의 잘못을 고치려 하였으나, 영공은 이를 듣기 싫어하여 연회를 베풀어 조순을 부른 뒤 숨겨두었던 군사들로 하여 죽이려 하였습니다. 이를 눈치챈 조순은 도망을 하였으나, 국경을 넘어 다른 나라로 들어가기 전에 그의 사촌 조천(趙穿)이 영공을 죽였다는 보고를 받고 다시 되돌아왔다.


이러한 상황을 지켜보았던 태사(太史) 동호(董狐)는 사건을 정리하여 기록하기를, ‘조순이 왕을 죽였다’라고 하여 조정에 보여주었습니다. 이를 본 조순은 사실이 아니라고 부정을 하였으나 동호는 ‘한 나라의 정경(正卿)의 지위에 있는 사람이 그 지위를 버리고 도망을 가려 했고, 다시 돌아와서도 왕을 죽인 역적을 내버려두었으니, 당신이 왕을 죽인 것과 같다’라는 말을 했다. 조순은 이 말을 듣고 한탄하며 동호의 말을 인정을 하였다.


동호지필은 태사 동호가 나라의 실세인 조순을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그대로 썼다는 이 이야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로, 춘추좌씨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乙丑 趙穿攻靈公於桃園 宣子未出山而復.

을축 조천공영공어도원 선자미출산이복.

을축(乙丑)일에 조천(趙穿)이 도원(桃園)에서 영공(靈公)을 공격하였고(죽였다는 뜻), 조순(趙盾)은 산을 넘지 않고 돌아왔다. 

宣子(선자): 趙盾(조순).


太史書曰 趙盾弒其君 以示於朝.

태사서왈 조순시기군 이시어조.

태사(太史) 동호(董狐)가 (궁정의 기록에) ‘조순이 그의 왕을 죽였다’라고 쓰고, 조정에 고시하였다.

太史(태사): 옛날 중국에서 기록을 담당하던 관리.


宣子曰.

선자왈.

조순이 말하였다.


不然.

불연.

“그러하지 않다.”


對曰.

대왈.

(태사 동호가) 대답하였다.


子爲正卿 亡不越竟 反不討賊 非子而誰.

자위정경 망불월경 반불토적 비자이수.

“당신은 정경(正卿)이면서, (나라를 돌보지 아니하고) 도망갔으나 국경을 넘지도 못하고, 돌아와서는 (왕을 죽인) 역적을 토벌하지도 않았습니다. 당신이 아니면 (왕을 죽인 사람은) 누구입니까?"


宣子曰.

선자왈.

조순이 말하였다.


嗚呼 我之懷矣 自詒伊慼 其我之謂矣.

오호 아지회의 자이이척 기아지위의.

“아, (시경에 이르기를,) ‘나를 생각함이 스스로 이 근심을 남겼구나.’(라고 하였는데) 그것은 나를 이르는 말 이로구나.”


동호지필(董狐之筆)은 여기에서 나온 말로 권력이나 세속에 휘말리지 않고 사실만 기재하는 것을 말한다.

바야흐로 이상적인 기자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글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