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계산에서(이 글은 지움)

왜차큐 경우의 수 = 72 x 71 x 70 x 69 / 4 x 3 x 2 x 1 = 1,028,790가지

1잠금 경우의 수 = 71 x 70 x 69 / 3 x 2 x 1 = 57,155 가지

여기까지는 맞다


그런데 유효의 경우의 수를 잘못 계산했음

예를 들어 8개 중 3개의 옵션을 반드시 뽑을 경우

[8개 중 3개를 뽑는 경우의 수] x [앞에서 뽑히지 않은 옵션의 경우의 수] 를 계산해야 하는 거였다.

여기서 앞에서 뽑히지 않은 옵션 이 원하는 옵션이면 전송 없는 4유효, 아니면 전송 해서 4유효 가 되는 것. 당연히 앞에서 뽑히지 않은 옵션의 경우의 수는 무조건 69다.

왜차큐라면 ( 8 x 7 x 6 / 3 x 2 x 1 ) x 69 가지 = 3864가지 가 되어야 했다.

기존 계산대로면 56가지밖에 없었던 것. 이러니 확률이 나락이지.

별 생각 없다가 이걸 n회로 늘려보고 나서야 오류라는걸 깨달았다.


큐브의개수\유효옵개수45678
10.026828%0.067069%0.134138%0.234742%0.375587%
20.053648%0.134093%0.268096%0.468933%0.749763%
30.080461%0.201072%0.401875%0.702574%1.122534%
40.107267%0.268007%0.535474%0.935666%1.493905%
50.134066%0.334896%0.668894%1.168211%1.863881%
60.160858%0.401740%0.802135%1.400211%2.232467%
70.187642%0.468540%0.935197%1.631666%2.599669%
80.214420%0.535295%1.068081%1.862577%2.965492%
90.241190%0.602005%1.200786%2.092947%3.329941%
100.267953%0.668670%1.333314%2.322776%3.693021%
110.294708%0.735291%1.465663%2.552065%4.054737%
120.321457%0.801867%1.597835%2.780816%4.415095%
130.348198%0.868398%1.729830%3.009030%4.774099%
140.374933%0.934885%1.861648%3.236708%5.131755%
150.401660%1.001327%1.993289%3.463852%5.488068%
1잠금0.362173%0.724346%1.207243%1.810865%2.535211%


바뀐 확률표다. 물론 1잠금의 가치가 왜차큐보다 높지 않은건 그게 그거다(당연히 모두 69만 곱했기 때문)


참고로 이 그래프는 유효 옵션을 8가지라고 했을 때 왜차큐를 500번 질러서 그 중 한번이라도 3유효 이상이 뜰 확률이며, 500번째 안에 성공할 확률은 84.7634% 정도다.

그런데 유효 옵션 개수당 성공률이 너무 차이가 나서 유효 옵션이 적을수록 그래프가 직선에 가까워진다.

7가지일 경우 69.1208%, 6가지일 경우 48.8875%, 5가지일 경우 28.4989%, 4가지일 경우(보조장비 출화감중 정도다) 12.5547% 정도로 팍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