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브 학회에서는 최근 불어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위 자료는 불어 알파벳을 읽는 표기법이다.

불어의 경우 복잡한 발음 부분이 많다.  예컨데, 불어에 존재하는 연독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 출처 - 나무위키 )

*연독 이외에도 구개수음이라는 독특한 발음이 존재하며, 또한 영어처럼 단어와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



끝 자음이 묵음인 한 단어를, 처음 글자가 모음이나 무음 h인 다른 단어가 뒤따를 때 그 묵음이 발음되는 것을 연독현상(리에종)이라 한다.

보통 일상적 대화일수록 연독은 필수적인 경우만, 격식을 갖춘 대화라던가 공적인 자리에선 연음을 듬뿍듬뿍 사용한다. 괜히 친구와 말하거나 편한 자리에서 말하는데 연독을 너무 많이 쓰면 되려 잘난척 하는 것처럼 보여 재수없으니 필수적인 연독만 할 것.

예를 들어 '늙은'이라는 의미의 단어 vieil(뷔에이) 뒤에, '남자'란 의미의 단어 homme(옴므)가 뒤따를 때, 묵음이었던 'l'이 발음이 되어 '뷔에일롬므'와 같이 발음이 된다. 프랑스어에서 연음은 우리나라에서 띄어 말 하기 또는 예사와 된소리의 구별처럼 매우 중요한데, 이 연독현상에는 몇 가지 규칙이 있다.

(1) 반드시 연독을 해야 하는 경우
관사와 명사, 관사와 형용사, 형용사와 명사 사이

    대명사 주어와 동사, 동사와 대명사 주어, 보어 대명사와 동사 사이

      동사와 속사 사이

        조동사와 과거분사 사이

          부사와 형용사 사이

            전치사와 그 보어((대)명사) 사이

              관용어구, 복합어

                1음절 부사+형용사/부사

                  합성명사/숙어


                  (2) 연독을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경우

                  (3) 연독을 하지 말아야 하는 경우

                    의미상 서로 관련이 없는 단어 사이

                      쉼표나 마침표가 있는 곳

                        일반명사 주어와 동사 사이

                          등위접속사 et 뒤, 간투사 oui 앞

                            수사 huit/onze 앞, cent[예외] 뒤[2]

                              유음의 h(h aspiré) 앞[3]

                                2음절 이상의 부사+형용사

                                단수형 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