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 프레임표를 보는방법을 궁금해하는 사람이 있어서 써봤음




앱을 보거나 사이트를 확인하면 뭔가 숫자가 개많고 그럴텐데 여기선 5개 정도만 설명을 할거임.


발생 (startup) , 지속 (active) , 경직 (recovery) , 히트 (on hit) , 가드 (on block)


오늘의 예시는 G의 서서 중P 로 설명하겠음 발생 6 지속 3 경직 12 히트 +7 가드 +3 인 기본기이다





발생은 누른 버튼의 공격판정이 언제 발생하는지 써놓은거다


G의 서중손을 예로들자면 발생이 6프레임이니까 1~5 프레임까지 공격 준비동작이고 6프레임부터가 실제로 내공격이 상대에게 맞을수있는 구간이라는것이다.


이 구간에서 상대가 먼저누른 공격에 맞는다면 카운터가 발생한다. 발생이 느린 공격들은 그만큼 카운터쳐맞는 구간이 널럴하다는 뜻.


지속은 내가 내민 공격이 얼마나 유지되는지 적어둔거임. 발생이 6프레임이니까 6,7,8 총 3프레임 동안은 공격판정이 유지되서 누군가 여기에 머리통을 들이밀면


맞는다 이말이야.


경직은 내가 내민 공격을 회수하는 동작이다. 주먹을 뻗은게 끝나고 다시 원래자리로 돌아가는 시간이다. 이 시간동안은 가드도 공격도 잡풀도 뭣도 안되므로


완전히 무력한 시간이다. 이 회수프레임을 캐치해서 상대를 패주는것이 윕퍼니시 라고 하는 테크닉이다.


밑에 그림을 보자

정리하자면 G의 서중손은 버튼을 눌렀을때부터 동작이 끝나기까지 총 20프레임이 걸린다는걸 알수있다.


?? 6프 3프 12프 더하면 21프레임 아닌가요? 할수도 있는데 발생프레임 6프레임째부터 공격판정의 1프레임째가 나오기때문에 1프레임 겹쳐서 다 더하고 1빼야함.




이제 가드와 히트를 알아보자.


밑에 그림은 근접공방중 G의 서중손을 고우키가 쳐맞았을때 상황이다.



고우키는 G의 서중손을 맞으면 총 22프레임을 아파한다. 그리고 G는 공격발생부터 회수까지가 15프레임이므로


회수동작이 끝나고 자유시간에 7프레임동안 아파하는 고우키를 다시 때려줄수 있다. 발생 7프레임 이하의 타격을 넣으면 고우키는 또다시 아파해야하는것이다


하지만 아파하는동안은 잡기무적이다. 잡기헛치고 외 않되 시ㅣ발 하지맙시다.


가드경직도 원리는 마찬가지이다. 서중손을 가드하면 총 18프레임을 가드모션을 취하게 되는데 그럼 경직 15프레임 후에도 자유시간 +3프레임이 남는다.


하지만 피격모션과는 다르게 가드모션중에는 다른 타격기 가드가 가능하다. 잡기무적은 당연하고. 그러니 내가 +3인 기본기 가드시키고 


이어서 3프레임 발생 기술을 날리더라도 가드당한다. 막히고 대가리깨지니까 하면안된다.



그렇다면 깔리는 공격은 뭘까.


기상중에는 완전무적이다. 그렇다면 상대 기상무적이 끝나고 쳐맞기딱좋은 상태일때 내 공격판정 마지막프레임을 걸쳐놓게 깔아두면 어떻게될까?


G 서중손을 지상에서 쳐맞으면 카운터가 아니라면 어느시간에 맞든 22프레임동안 경직은 확정이다. 하지만 6프레임째에 맞췄을때는 2프레임동안 판정을 


유지시키고 회수했다면 이런경우에는 고우키가 쳐맞자마자 회수를 시작하기 때문에 총 13프레임만에 회수가 끝나게된다!


그럼 나의 이득프레임은 9프레임이 되고 더 다양한 루트로 고우키를 패줄수 있게되는것이다.


가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최대 +5프레임까지 막고만 있는 고우키를 감상할수있다.


랭매에서도 이런 원리를 이용해서 서중손에서 카운터없이 앉강손을 넣는 유리안같은 애들을 많이 볼수 있다.


모든 타격기들은 기본적으로 위의 원리로 프레임 이득 손해가 나뉜다. 저기서 가드모션이나 피격모션이 짧아지면 손해가 커지는거고 딜캐여부가 결정되는것이다.


가끔 막고나서 '왜 딜캐 안되냐 좆망겜' 하는 경우가 있는데 공격이 깔려서 손해가 적어졌을수 있으니 리플확인을 습관화 해보자.


다들 랭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