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Gaijin entertainment 국제 기술팀 소속, 기술이슈 담당자인 Object187입니다. 


설명에 앞서 저희 기술팀에 이미 AN/APG-76 Multi-Mission Radar System, MMRS에 대한 보고가 접수되어 개발자에게 전달되었습니다. 

따라서 AN/APG-76에 대한 추가적인 이슈보고 (https://community.gaijin.net/issues/p/warthunder)는 현시점에서 필요없습니다. 



기본 설명:


안테나 복사패턴에서 최대가 되는 방향을 포함하는 Lobe(돌출부)를 Main Lobe(주엽)이/라 한다. / 이하 사진참고 

Minor lobe(부엽)는 주엽 옆에 생성되는 성분을 의미한다. 이 Minor lobe에는 Side lobe(측엽)도 포함된다.  따라서 주엽이외는 부엽에 해당된다.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2086

사진출처




용어설명: 




 펄스반복주파수 Pulse Repetition Frequency, PRF 

이하 설명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중 하나일겁니다.  이하 3개의 PRF 대역이 있습니다. 


1-1. Low Pulse Repetition Frequency, LPRF

1-2. Medium Pulse Repetition Frequency, MPRF 

1-3. High Pulse Repetition Frequency, HPRF 


펄스 도플러 레이더에서 탐색주파수로 주로 사용하는 파장은 Medium PRF 대역입니다.

High PRF 대역은 게임내에서 흔히 펄스모드 탐색모드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입니다. 

표적을 추적할때는 주로 LPRF 파장을 사용하여 추적합니다. 


그런데 통상적이라는말은 "게임내" 에서 "특정 스팩트럼 범위이상" 의 기체에 적용되는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파형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자면 이하와 같습니다. 


MPRF 파형을 사용하는 레이더의 표적 반사 신호는거리와 속도 방향의 모두에서 모호성(ambiguity)이 존재하며, 표적을 공간 탐색할 때 보통 M-of-N 체계의 PRF 집합을 사용하여 모호성을 해결한다. (M-of-N 체계의 탐색PRF 집합 운용은 서로 다른 N개의 PRF들을 가지는파형을 연속적으로 송신하고, M개 이상의 PRF에서 탐지된표적 자료를 이용하여 모호성을 해결하며, 적당한 PRF들의 MPRF 파형을 사용하는 항공기 레이더에서 탐색/추적을 위한 실시간 PRF 선택 조합으로 이루어진 PRF 집합의 선택을 요구한다.)


HPRF 파형은 표적의 관심 도플러 속도 영역이 모호성 없이 탐지 및 추출이 되도록 하는 PRF(Pulse Repetition Frequency) 범위를 사용하는 파형이다. 


M-of-N 체계의 탐색PRF 집합 운용은 서로 다른 N개의 PRF들을 가지는파형을 연속적으로 송신하고, M개 이상의 PRF에서 탐지된표적 자료를 이용하여 모호성을 해결하며, 적당한 PRF들의 MPRF 파형을 사용하는 항공기 레이더에서 탐색/추적을 위한 실시간 PRF 선택1051

조합으로 이루어진 PRF 집합의 선택을 요구한다.


레이더에서 특정대역하나만으로 모든것을 수행하기는 힘듭니다. 3개의 PRF 중복 주파수 대역은 각자 강점을 보이는 영역을 가집니다. 





이하 참조 문서 링크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510649



먼저 현 게임내 항공기의 레이더 탐지범위기준은 표준표적( 5sq.m ) 을 기반으로 레이더 Lock-on 범위가 설정됩니다. 



예시로 현 게임내F-16A MLU의 AN/APG-66V3의 경우 

5m^2 의 RCS(레이더 반사면적)을 가진 표적을 56km에서 탐지 및 Lock-on 가능합니다. 

또한 AN/APG-66V3는 I 밴드 레이더로서 MPRF와 LPRF를 모두 지원합니다. 


현재 AN/APG-66V3의 Main Lobe 노칭폭은 60m입니다. 


IAF F-4 Kurnass 2000의 APG-76는 현재 커뮤니티에서 나오는 언급처럼 대지상 전용레이더가 아닙니다. 

현실에서 AN/APG-76은 Multi-mission radar system, MMRS(다중 임무 레이더)이고, Ku/J 주파수 대역(밴드)을/를 (Ku/J 밴드는 MPRF 밴드를 매인 주파수로 사용합니다.) 사용하는 합성개구레이더로서 지상표적 및 항공표적에 모두 대응이 가능한 레이더로 개발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탐색모드의 노치폭은 20m~30m(레이더 설정으로 조정가능) 

추적모드의 노치폭은 2.5m입니다. 


 AN/APG-76은 작동을 위해 MPRF가 필요한 Synthetic Aperature Radar, SAR 모드가 있는 레이더이므로 LPRF 작동 모드를 갖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즉 펄스 탐색모드 사용이 불가합니다. 


AN/APG-76은 최소 2.5m/s의 속도로 움직이는 2m^2 크기의 표적을 75km에서 락-온이 가능합니다. 

즉 헬기와 같은 저속비행체 락-온이 가능할뿐더러 표적기의 상대속도가 2.5m이상이면 추적이 가능합니다. 즉 빔기동에서 표적기는 적기와 완벽한 3/9시 방향에 위치하지 않는이상 락-온이 풀리지 않습니다.




또한 레이더의 특징에 따라서 Multipath 현상 (게임내에서 저고도 비행하는 표적기의 락온이 에코로 인하여 땅속으로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해가 힘드신 분들을 위한 요약

1. All-Aspect PD레이더입니다. 따라서 빔기동이 거의 안먹힙니다. 

2. 저고도 비행 표적(헬리콥터 & 저공비행 항공기) 추적 및 탐색가능 

3. 레이더 안정성 F-15E의 AN/APG-70 동급이상. 또한 출력 및 탐색능력 또한 F-15E보다 약간 못한수준 

4. APG-76 이후 넘버링(개발된) 레이더는 APG-77 AESA 레이더입니다. 따라서 기계식 레이더중 최고의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슈플렛폼에서 처리된 보고서들 목록:  

https://community.gaijin.net/issues/u/36457034/activity




저희 회사 이슈플렛폼에 한국어로 버그 및 이슈를 보고해주셔도 제가 처리가능합니다. 

이전 포럼처럼 영문으로  보고서 작성하는 수고를 덜수 있게 되었으니 많은 이용바랍니다. 현재 역사적 보고서(고증 이슈) 제출처도https://community.gaijin.net/issues 커뮤니티 이슈플렛폼으로 이관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