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 건틀렛은 다른 RTS 카드게임들과 비교하면 사실상 배치순서가 거의 정해져 있는편에 가까움


일단 리더로 원하는 카드 하나 집고 시작하는것도 그렇고


오퍼레이터 출시 이후에는 첫 오퍼레이터 스킬을 빨리 터뜨리는게 메리트가 워낙 크다보니 


오퍼레이터 조건 위주로 패순환을 하는게 일반적임 


그래도 이런 게임에서 흔히 나오는 패순환 일반론에 대해 다뤄보고자 함 



1. 일단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카사 건틀렛은 오퍼레이터의 발동이 1순위임 


존재자체로 박정자 시그마를 씹어먹는 개씹씹사기 캐릭터가 나오지 않는한 


이 공식은 안깨질거 


그리고 그런거 나와도 공식을 깨뜨리기보다 걍 적당히 맞는오퍼 붙여서 쓰겠지 



2. 값싸고 + 소모성이 높은 카드 위주로 던져주는게 유리함 


값싸다 = 코스트가 낮다 (대부분 업유닛, 리더캐들)


소모성이 높다 = 참피거나 일부러 최전방에 던지는 카드들 (대표적으로 분탕, 스피라, 민우 등)


이런 유닛을 먼저 순환시켜주는 가장 큰 이유로는 


(1) 소모된 유닛이 다시 손에 잡히는 타이밍을 더 빠르게함


(2) 패가 말리더라도 덱의 핵심이 되는 키카드를 빠르게 손에 집을수 있기 때문임 (=서치)


공익 미러전을 예로 들개슴니다 


누구나 스나 -> 공익 순서로 오프닝을 할거고 


초반에는 어차피 공익피가 안빠졌으니 박정자 타이밍은 1~2카드 뒤로 미루는게 나음 


그래서 렌저를 뒤에 붙이고 분탕을 앞에내서 상대 렌저딜을 좀 막아준다 치겠슴 


그러면 렌저-분탕보단


분탕-렌저 순으로 순환해주는게 분탕 2호기를 손에 집기 더 유리해진다 이거거든요 


(물론 그 렌저가 2코이하 업유닛일 경우는 렌저부터함)


무우우울론 그렇다고 무조건 분탕을 먼저낼건또 아니고 


렌저를 먼저내서 서로 공익피를 좀 깎다가 분탕으로 커버치면서 박정자를 터뜨리는 그림도 나쁘지 않음 


그리고 하나 더 첨언하자면 분탕을 내 공익앞에 던져주자면 라인은 가능한 땡겨져있는게 낫겠죠?



3. 유닛상성과 코스트 교환에 대한 이해 


카사는 개씹사기 밸붕캐들이 널려서 이거참 언급을 해야되나 싶긴한데 일반론이니 걍함


4코라고 다 4코가 아니고 2코라고 다 2코가 아님


유닛간 상성에 의해 밸류를 최대한 뽑아먹을수 있는 타이밍이 존재함 


상대가 각서윤을 뙇 떨어뜨렸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때 2번에 언급한 것처럼 리더캐를 먼저 순환시키거나 분탕을 놔도 되겠지만 


만약 내 패에 스피라가 잡혀있다면?


각서윤과 코스트 교환비가 가장 좋은 스피라를 먼저 순환시켜주는게 이득인거임 


일반적으로 각서윤 스피라가 1:1을 붙었을때 솔킬은 못내지만 점프 두번은 뺼수있고 


나는 6코스트에서 점프가 한번 빠질때마다 2코 빼는식으로 계산하는편임


3코짜리 스피라로 4코 이득을 보면 남는장사고 


상대 각서윤과 내 스피라의 패순환타이밍을 엇비슷하게 맞출수 있다는 것도 강점임 


또 각서윤같은 경우는 염동소총 하나둘 띄우고 특수기 싸대기때리고 궁쓰고 지랄하기 시작하면 


밸류가 6코스트에서 7, 8 이렇게 올라가는 미친련이라 얘를 빨리 처리하지 못했을때의 기회비용도 생각해야됨


이런식으로 만약 내가 내는캐릭이 다이다이를 친다음 개피가 되더라도 


상대가 내는 코스트보다 같거나 적은 코스트로 맞교환이 된다면 주저없이 내주도록함 


언젠가 서포터만 전문적으로 고로시하는 캐릭이 나올지도 모르는데 


나는 그게 4코라도 하랍하고 맞교환만 되면 걍 바로던짐 



4. 오퍼레이터 스킬에 대한 이해 


지난주 아르티박정자덱을 예시로 들면 


서폿이 거의 릴리, 에블린, 하랍 이렇게 셋으로 고정이었음 


패가 꼬이지 않는한 99% 아르티+렌저(대부분 미니)+디펜 이렇게 오프닝을 했고


디펜이 특수기 한대 뽷 맞으면 그때 서폿을 내서 박정자를 터트리는 식으로 진행됨 


이때 위에 언급된 서폿 셋중 어떤캐릭을 먼저 돌리는게 이상적일까?


이건 볼것도 없이 에블린>릴리>하랍 순임 


하랍의 경우 박정자의 디버프면역 때문에 혼란이 들어가지 않고 나름 최전선에 가까운 자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죽기 쉬움


릴리도 마찬가지로 박정자가 터지는 순간 수면이 씹히는데다가 특수기 딜이 박정자 회복에 상쇄돼서 쿨 한타임을 날리는 셈임 


때문에 에블린으로 디펜더 피통을 최대한 회복시켜주는 동시에 궁극기 쿨타임도 떙기고,


또 얘가 은근 물몸이라 나는 2번에서 언급한 소모성 유닛에 속한다 생각함 


에블린 2호기를 빠르게 가져오기 위해 위 세 서폿중에서는 얘를 먼저 돌려주는게 최선임


만약 상대가 박정자덱이 아니다? 


그러면 상황에 따라 릴리나 하랍이 나을수도 있음 


저번주에 엄청 보였던 알비온 러쉬덱은 디펜+스커 + 렌저@로 들어오는데 


이때 렌저@를 릴리로 재우면 우리 디펜을 굉장히 오래 살릴수 있고 


러쉬덱한테서 오래 버틸수록 서폿덱은 승률이 올라갈수밖에 없음 유지력부터 차이가 극심하니깐 


쉽게 정리하면 


-박정자덱 상대로는 디버프계열 캐릭의 배치를 뒤로 미루는게 나음

 

-그외 상대로는 가장 디버프가 잘 먹히는 타이밍에 배치



5. 유닛 궁극기에 대한 이해 


궁극기가 또 다른 RTS에는 잘 찾기 힘든건데


이 궁극기를 누가 먼저 쓰냐에 따라 밸류가 크게 바뀔수 있음 


대표적으로 퀸궁을 예시로 들면


궁 제대로 한번 떨어졌을때 후열 2~4마리 뒤지는건 한순간임 


이게 코스트로 합산하면 10코가 넘을때도 있으니 엄청나지


이런 극소수의 케이스는 위에 언급한거 다 좆까고 먼저배치해서 궁쿨땡기는게 이득임 


각서윤 각수연도 여기 해당이 됐었는데 


디펜패치로 예전만큼 다쓸어버리는 밸류는 안나오는거 같음 



--------


몬가 몇개더 있었는데 갑자기 생각이 안남 


나중에 2탄쓰던지함


반박시 니말이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