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도핑으로 딸딸이를 줘패는 각청의 모습



목차

0. 서론

1. 물리 각청의 스킬 구성

 1 - (1) 일반 공격 : 운래 검법

 1 - (2) 원소 스킬 : 성신 회귀

 1 - (3) 원소 폭발 : 천가 순유

2. 심화 운용

 2 - (1) 일반 공격을 이용한 스테미나 극복 

 2 - (2) 점프를 이용한 스테미나 절약

 2 - (3) (매의 검 보유자 한정) 원소 폭발을 이용한 매의 검 패시브 발동

3. 세팅 추천

 3 - (1) 무기

 3 - (2) 성유물

4. 마치며






0. 서론

원신 오픈한지 1년 다되어 가는데 번개 각청은 공략도 많고 정보의 질도 좋은 반면,

물리 각청은 정보도 적고 사람들이 너무 예능픽으로 생각하는 거 같아서 써봅니다.

물론 주관적인 의견이 많을 수도 있으니 감수하고 봐주시길 바랍니다.


근데 예능픽은 맞습니다.






일단 이건 본인 물리각청 스펙이고,

사진은 없지만 평EQ 모두 왕관 박았습니다.

처음 나온 5성이라 그런지 애정있게 키웠네요.



1. 물리 각청의 스킬 구성

각청은 빠르고 날렵한 플레이 스타일을 가진 한손검 딜러로, 타 딜러들에 비해서 공격속도가 빠르며 스킬의 경직도가 높은 편입니다.

물리 각청으로 운영 시, 제한적인 스테미나와 높은 경직도 때문에 운영 난이도는 조금 높은 편입니다.


스킬 구성 자체는 모두 잘 알고 있을거라 판단하고 자세히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1 - (1) 일반 공격 : 운래 검법


일반 공격은 계수가 낮지만 빠르게 때립니다,

강공격은 다른 애들과 다르게 스테미나를 5pt 더 소비(총 25pt소모)하지만, 계수도 높고(10레벨 기준 152%+170%) 공격속도도 빠릅니다.

물리 각청은 이런 강공격 하나 보고 쓰는 것이기 때문에 스킬 강화 1순위 입니다.


장점은 강하고 빠르게 데미지를 줄 수 있다는 점.

단점은 스테미나 소모량이 크기 때문에 시전할 수 있는 횟수에 제한이 있다는 점, 기술의 경직도가 높아 가벼운 적은 쉽게 날라간다는 점.



1 - (2) 원소 스킬(E) : 성신 회귀


E를 한번 쓰면 화면에서와 같이 앞으로 뇌설을 던집니다.

여기서 E를 한번 더 누를 경우 뇌설이 있는 위치로 날아가며 광역 데미지를 주고, 강공격을 할 경우 뇌설이 폭발하며 광역 데미지를 줍니다.


번개 각청일 경우 'E-E'를 통해서 스테미나 소비 문제를 어느정도 커버할 수 있고 기동성이 좋아지지만,

물리 각청인 경우엔 초전도와 물리 데미지를 위한 'E-강공격'이 강제되기 때문에 번개 각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동성이 좋지 않습니다.

게다가 1돌 이후에는 'E-강공격'보다 'E-E'가 더 데미지가 잘나오기 때문에 번개 각청에게만 좋은 기술입니다.

따라서 스킬 강화는 제일 마지막인 3순위 입니다.


장점은 빠르게 순간 이동이 가능한 점, 'E-강공격'을 이용해 초전도를 자신이 원할 때 걸 수 있다는 점.

단점은 'E-강공격'이 강제되어 기동성이 떨어진다는 점, 타 원소 반응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점.


참고로 물리 각청은 'E-강공격'으로 창백 4옵션을 발동시킬 수 있습니다.



1 - (3) 원소 폭발(Q) : 천가 순유


각청이 잠시 무적 상태가 되며, 광역으로 번개 원소 피해를 줍니다.

추가적으로 Lv4 돌파 시, 시전 시 치명타 확률과 원소 충전 효율이 각각 15%씩 증가하게 됩니다.


번개 각청은 이 스킬이 알파이자 오메가로써 각청 딜량의 핵심 포인트 이지만, 물리 각청에겐 생존기이자 유틸기일 뿐입니다.

하지만 광역으로 번개 원소를 부여한다는 점 덕분에 초전도를 광역으로 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킬 강화는 E보다 높은 2순위 입니다.


장점은 시전 시 무적인 점, 치명타 확률과 원소 충전 효율 버프를 받을 수 있다는 점, 스킬 순환이 다른 애들에 비해 빠르다는 점, 광역으로 초전도를 걸 수 있다는 점.

단점은 경직도가 높아 적이 날아갈 수 있다는 점, 데미지가 저조하다는 점.



2. 심화 운용

물리 각청의 기본 운용법은 'E-강공격'을 이용해 상대에게 초전도를 걸고 강공격으로 빠르게 제압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제한적인 스테미나 때문에 금방 무너집니다.

따라서 물리 각청을 운용하는 데 있어 이런 제한적인 스테미나를 어떻게 활용하고 극복하느냐가 핵심입니다.


2 - (1) 일반 공격을 이용한 스테미나 극복


강공격만 사용하는게 아닌, 일반 공격을 섞어 공격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순간 화력 자체는 강공격이 강한 것이 맞지만, 일반 공격은 공격속도가 빠르고 경직도 적으며, 4타부턴 강공격보다 계수 합이 높기 때문에 스테미나가 없을 때 딜 사이클을 끊고 싶지 않을 경우 사용합니다.


일반 공격 4회 후 강공격으로 끊어줍니다.



2 - (2) 점프를 이용한 스테미나 절약


점프를 시전해 모션을 캔슬하여 스태미나를 아끼는 방법입니다.

체력은 낮은데 적의 수가 많은 잡몹전 같은 경우나 적이 잘 날아가는 타입인 경우 강공격 후에 대쉬를 하게되면 스테미나 소모량이 너무 커 스테미나가 금방 바닥나게 됩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며, 강공격을 캔슬하거나 적을 계속 추노하는데 드는 스테미나를 아낄 수 있어 주로 사용하게 되는 방법입니다.


주로 강공격을 시전 한 후에 점프를 하는 식으로 사용합니다.

스테미나를 극한으로 아끼기 위해 일반 공격 4회 후 점프를 해서 끊어주기도 합니다만 비효율적이어서 추천은 해드리지 않습니다.



2 - (3) (매의 검 보유자 한정) 원소 폭발을 이용한 매의 검 패시브 발동

피격 시 발동하는 매의 검(이하 '매검'으로 표기) 패시브를 각청의 원소 폭발을 이용해 발동시키는 방법입니다.

매검 패시브의 데미지는 무시할 수 없는 정도의 데미지입니다.

따라서 이를 원소 폭발을 사용해 발동시킴으로써 무적상태가 됨 동시에 데미지를 어느정도 가져가는 방향으로 운용하게 됩니다.


이 방법은 보호막을 적용한 상태에서도 발동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호막이 적용된 상태에서나 대쉬를 통한 회피 상태일 때는 직접적인 데미지를 입지 않기 때문에 패시브가 발동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피격당할 타이밍에 원소 폭발을 사용하면 매의 검 패시브가 발동, 원소 폭발 데미지를 줌과 동시에 매검 패시브를 발동하게 됩니다.

북두의 E와 조금 비슷한 방식으로 운용하면 되겠습니다.




3. 세팅 추천

앞에 있는 숫자가 순위를 의미하진 않습니다.

주관이 많이 들어갔습니다.

잘못된 점 있으면 몰?루


3 - (1) 무기 추천

1. 매의 검

물리 각청의 종결 무기 입니다.

매의 검 패시브를 통해 공격력(1재련 기준 20%)과 생존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순간적으로 상대에게 높은 데미지(1재련 기준 공격력의 200%)를 줄 수 있습니다.

무기의 기본 공격력도 또한 가장 높을 뿐더러 부옵션도 물리 피해 보너스이기 때문에 물리 각청에게 매우 적합한 무기입니다.


장점은 한손검 무기 중에서 가장 높은 기본 공격력, 부옵션으로 달려있는 물리 피해 보너스, 추가로 공격력 20% 증가, 안정성 향상

단점은 피격 시 발동하는 패시브


참고로 패시브의 데미지는 물리 피해 보너스를 적용 받습니다.



2. 반암결록

부옵션으로 치명타 확률을 종결시킬 수 잇으며, 패시브로 부족한 기초 공격력을 메꿔주는 강력한 무기입니다.


장점은 높은 치명타 확률에 따른 세팅의 압도적인 편의성, 다양한 캐릭터가 쓰는 범용성 좋은 무기

단점은 5성 치고 저조한 기초공격력(90렙 기준 542), 그로 인한 공격력%로 얻는 이득의 감소


근데 이거 있으면 그냥 번개 각청 하시면 됩니다.



3. 참봉의 칼날

부옵과 패시브로 매우 큰 공격력%를 얻을 수 있는 무기입니다.

기초 공격력도 높은 편(90레벨 기준 608)이고 보호막 존재 시 패시브의 효과가 2배가 됩니다.


장점은 강력한 공격력%, 보호막 존재 시 2배의 패시브 효과, 높은 기초 공격력

단점은 보호막이 없을 시 공격력 급격히 감소, 그에 따른 운영의 난이도


근데 각청도 단무지는 좀....



4. 칠흑검

참암 프로토타입과 함께 추천하는 4성 무기중 하나입니다.

5재련 기준 일반 공격과 강공격의 피해량이 40% 증가하며, 일반 공격과 강공격이 치명타 시에 HP를 공격력의 100%만큼 회복하게 됩니다.

기초 공격력도 90렙 기준 510이라 4성 라인 중에서는 준수한 편이고 부옵션이 치명타 확률이기 때문에 세팅하기가 편합니다.


장점은 부옵션이 치명타 확률에 따른 세팅의 용이성, 평타에 피해량 증가 패시브, 패시브로 인한 매의 검보다 높은 안정성

단점은 기행 무기(12000원), 고제련 요구, 세팅 후 드러나는 저조한 공격력



5. 참암 프로토타입

부옵션이 물리 피해량 증가이고 패시브로 일반 공격과 강공격으로 가격 시, 공격력 및 방어력을 올려주는(5제련 시 6초간 8%씩 최대 4중첩) 옵션을 가지고 있는 무기입니다.

추가로 4성 무기 중에서 기초공격력이 가장 높은 무기(90레벨 기준 565)입니다.


장점은 스토리를 진행하면서 얻을 수 있는 무기, 높은 기초공격력, 부옵션이 물리 피해량 증가

단점은 단조 무기에 따른 입수 및 제작의 난이도, 원형의 낭비



3 - (2) 성유물 추천

1. 검투사 2 or 시메 2 / 창백 2 or 기사도 2

범용성 매우 좋은 조합입니다.

검투사와 기사도는 이제 성유물 조합으로 쉽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접근성이 매우 좋은 조합입니다.

과거에 종결이었던 세팅이지만 창백셋이 나온 이후로 밀려버린 세트입니다.

창백4와 비교하여 부옵이 같을 경우 최종적인 데미지는 밀립니다.



2. 창백 2 / 기사도 2

베넷과 같은 공뻥 요원이 있으면 1에 비해 좋은 선택지 입니다.

공격력은 오르면 오를수록 효율이 급격히 저조해지기 때문에 세트 옵션을 모두 물리 피해 보너스로 맞춘 세팅입니다.

이것도 1과 똑같이 최종적인 데미지는 창백 4에 비해 밀리긴 합니다.



1과 2의 장점은 압도적인 범용성과 접근성(특히 1), 맞추기 쉬운 종결셋입니다.

또한 창백 4와 달리 E를 쿨타임마다 계속 써야한다는 점이 없어서 원소반응을 선택적으로 발동 가능합니다.

얼음 공명을 이용할 경우 얼음 원소에 방해를 많이 주지 않아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조합입니다.



3. 창백 4

물리 성유물 관련해서 최고의 데미지를 뽑을 수 있게 해주는 옵션을 가졌습니다.

각청은 'E-강공격'을 통해 창백의 4옵션을 터뜨릴 수 있기 때문에 물리 딜러로써 매우 잘 맞는 선택지입니다. 

하지만 적이 다수의 잡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나 강공격 한번에 죽을 정도로 약할 경우(뇌설 폭발을 못맞춤), 크기가 너무 작거나 순간이동을 할 경우(E를 피함)엔 100% 활용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4옵을 최대로 발동시키지 못할 경우 1과 2보다 데미지가 떨어진다는 단점 또한 존재합니다.



4. 기사도 4

4옵션에 '강공격으로 적을 죽일 시 50% 추가 피해량'이 있기 때문에 잡몹전에서 1, 2, 3보다 매우 강력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하지만 연월같은 보스전 위주에선 한없이 약해지는 세팅이라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4. 마치며


비록 요즘 나오는 딜러들에 비해선 많이 약하고 물리 세팅이라 운용하기 힘들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연월에서 밥값은 하는 좋은 5성 딜러라고 생각합니다.


글 좀 길게 쓰니까 두서없이 썼네요..

다음엔 물리 라이덴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세 줄 요약

1. 물리각청은

2. 재밌다

3. 밥값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