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바트 물리학을 전공할 계획인 자로서 

원신의 세계가 만약 행성이라면?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를 구할 수 있을까?

라는 호기심에 실험을 시작하였다.


먼저, 우리의 희생양이 되어줄 장훈이 형을 소개하겠다.

다이루크의 키를 2m라 가정하고

키에 비례한 대략적인 높이를 통해

6m, 12m, 18m, 500m 지점에서 자유낙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

먼저 6m

프레임 단위로 끊어보면 대략 0.88초


12m

대략 1.21초


18m

대략 1.49초



여기까지 하고 

이렇게 낮은 높이에서 해도 의미가 없겠구나 싶었다.


그러므로 500m 지점이라고 알려진 설산 꼭대기로 가서 운지를 진행했다.



약 7.9초 걸렸다




계산

--------------------------------------------------------------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에 공기 저항을 포함하여 알짜힘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p는 공기의 밀도. 이건 지구와 같다고 가정하여 1.2(kg/m^3)

C는 항력 계수 (공기 저항 계수)

A는 물체의 단면적

서서 떨어지는 사람의 항력 계수는 0.8, 단면적은 1m^2로 가정

v는 알다시피 속도



여기서 잠깐, 

아니 가속도를 알아야 속도를 구하는거 아님?

가속도를 구하는데 무슨 속도라는 변수를 상수처럼 사용함? 

이라고 의문점을 갖는 원붕이들을 위해 속도는

로 사용하겠다. (참고: 2as = v^2), (여기서 가속도 a 는 추후 g와 동일)

 

그럼 F는 mg - 0.96sg


여기까지 계산한 뒤

다시 6m로 넘어가서

0.88동안 6m를 간 셈이므로 

이 거리 공식에 대입하면

대략 

g = 15.58m/s^2 

이 나오게 된다.


하나만으로 부족하니

12m 에서도 계산하면

g = 16.43m/s^2


18m에선 

g = 16.21m/s^2

이 나오게 된다.


500m에선

g = 16.02m/s^2


------------------------------------------------------------------------------------------


사실

다 끝나고 보니

F = mg - 0.96sg


얘는 구할 이유가 없었다..

(이걸 쓰게 되면.. 충격량과 순간속도, 공기저항에 의한 마찰, 높이에 따른 체력 소모

이런 것까지 복잡하게 들어가게 된다..)





자 그럼 이제 행성들과 비교를 한번 해보자.


수성금성지구화성
중력 가속도
3.7  [0.38g] 8.87  [0.91g] 9.81 [1g]3.71  [0.38g] 
밀도5.435.255.523.93
질량(상댓값)0.0550.81510.107


가장 지구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 금성과 비교했을 때, 중력 가속도가 16에 근사한 값이 나오려면 

최소 지구 질량의 1.6배는 되는 행성이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