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필터를 처음 적용하고 지도를 보니 생각지 못하게 잘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게 좀 디테일 하다.

참고로 전문성 없는 인터넷 ㅈ문가가 쓴 것이니 감안해 주길 바란다.









우리는 지도를 볼 때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 하는데


이게 우리나라의 어느 산의 지도다 잘 보면 산에 선이 자글자글하게 있는데 이 선이 산의 높낮이와 경사를 알려주는 선이다. 


좀 더 확대해서 보면 빨간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이 산의 정상이다 저 정상을 중심으로 주위의 선으로 높낮이와 경사를 알려준다 이 선끼리 거리가 좁을수록 경사가 심하고 넓을수록 경사가 완만하다.


이제 원신의 지도를 한번 보자.

이게 우리가 평소에 보던 지도인데 잘 보면 선 같은게 보이지 않는가?이를 필터로 더 선명하게 다시 보면


선이 더 확실하게 보인다. 아까 경사가 심할수록 선이 좁게 있고 완만할수록 선이 넓게 있다고 했다.  원신 지도도 실제로 선이 좁은 곳에 가면 경사가 심할까?


한번 수메르의 이곳을 보자

빨간 동그라민 부분을 보면 선 사이사이가 좁은데 지도로 볼 때 저기는 경사 심한 곳이다 그리고 실제로  저기에 가보면


이렇게 경사가 가파르 다는 걸 볼 수가 있다.

반대인 경우도 몬드에서 예를 들어보면



 선이 넓게 퍼져 있는데 저기도 실제로 가보면 


경사가 완만하다.



실제 지도에서 쓰는 저 선을 등고선이라 하는데 원신 지도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원신은 지도를 엄청 입체적으로 그려서 굳이 등고선을 그리지 않아도 다 알아볼 듯 한데 굳이 이런 사소함을 챙겼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실 1년동안 하면서 몰랐는데 이번에 필터를 적용하면서 지도를 보니 고딩 때 지질학 수업이 생각나서 적었다.

혹시 나보다 지도에 대해 더 자세한 사람이 이 글을 볼 때 불편하다면 미안하다. 나도 지도는 고등학교 지질학 수업 할 때 빼고는 본 적도 없는 ㅈ문가다 반박 시 니 말이 전부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