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호두 픽업을 하고 호두와 관련된 정보글, 질문글이 넘쳐나고 있음.


나 또한 21년 10월 원신에 입문하면서 처음으로 뽑은 한정캐릭터가 호두였고 그때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육성한 호두 오우너로 오늘 호두의 무기와 세팅을 정리해보고자 함.



아래엔 숫자들이 눈깔 돌아갈 정도로 많고 이해하기 위해선 두뇌자원을 상당히 많이 소모해야 할 것이니 자기 자신이 호두 오우너로써 호두의 세팅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고 싶다면 아래의 계산결과들을 스스로 이해하도록 노력해 보고, 본인이 그정도까지 이해하고싶진 않거나 이해하려고 노력해봤으나 너무나 많은 숫자에 뇌정지가 온다면 그냥 아래로 내려 정리를 읽길 바람.


1. 계산 방법

2. 계산 과정

3. 계산 결과

4. 해석

5. 정리


ㄴ 필요한거 컨트롤+F



 이 글은 호두의 무기와 세팅을 다루지만, 궁극적으로 어떤 캐릭터이든 이 글에 나오는 계산과 해석에 따라 딜량을 늘리는 방법은 동일함을 머릿속에 꼭 기억할 것.





1. 계산 방법


 

공식





(기초공+공%+e버프+깡공)*강공계수*피증*치명계수*원마보정*기타보정
강공계수, 기타보정은 상수이므로


(기초공+공%+e버프+깡공)*치명계수*원마보정 값으로 비교

참고:  원신 데미지 공식 총정리 - 원신 채널 (arca.live) 

 

성유물 마녀 고정

*물공명 적용
주옵 체%, 원마 / 불피증 / 치확, 치피*치피뚝 = 적사지, 결투
무기만 장착 / 성유물 체력% 주옵 적용*그 외는 전부 치확뚝



성유물은 다음과 같은 세팅을 가정함


점수기준: 25옵급(준종결), 30옵급(종결), 35옵급(극종결)

참고:  원신 성유물 점수 계산기 (엑셀) (v2) - 원신 채널 (arca.live) 

1옵당 옵션가치는 4가지 값의 평균으로 계산함

여기서 말하는 25옵급 = 성유물 계산기 25점 스펙 (체력,원마,치확,치피 유효, 공격력 보정적용 유효)

단, 아래의 계산에서 공격력%, 깡공 옵션은 모두 없는것으로 처리함


체시계, 원마시계를 따로 계산


총 옵션 중 66.6%에 해당하는 옵션을 치명타 옵션이라고 가정, 나머지 33.4%를 체력과 원마에 배분

배분비율은 2:1, 1:1, 1:2의 3가지 비율로 각각 계산함


따라서 점수3가지*시계2가지*옵션비3가지로 성유물 세팅은 총 18가지를 가정하게 됨


(※ 치명타 66.6% 비율은 필자가 허구언날 원신 옵티마이저 돌려서 최종적으로 얻은 필자의 호두 최적화 세팅의 치명비율에 가까운 수치)



무기는 다음의 8가지를 계산함


호마의 지팡이 명함

호마의 지팡이 풀재

화박연 1재련 (풀스택)

적색 사막의 지팡이 명함  (풀스택)

용학살창 풀재

천암장창 풀재 (리월 4인팟)

결투의 창 풀재 (1:1)

날카로운 바람의 서신 (옵션 발동)



여기에 호두의 원소전투스킬 레벨이 10인 경우와 13인 경우까지 하여


총 288가지 경우를 전부 계산함





2. 계산 과정



기초 데이터는 다음과 같음




여기에서 무기와 시계만 적용하여 아래의 표를 얻음






25, 30, 35점에서 치명점수를 제외한 나머지를 체력과 원마의 비율에 따라 나눔




치명점수는 아래 방정식에 따라 최적값을 계산함


치피d 치확r
d+b=2r+2a
2a+b=c (c=치명자원)
b=c-2a

b=2r+2a-d
2b=2r+c-d
b=(2r+c-d)/2


25옵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됨




치확:치피 = 1:2로 깔끔하게 계산된 모습임



그리고 잊지 말아야 할 중요한 것

체력한계


호두의 원소스킬은 체력을 공격력으로 전환시키는 버프이며 그 최대치는 기초공격력의 400%임

이를 모든 무기에 대해 계산함




이제 이 방법들을 이용해 위의 288가지 모든 경우를 계산함





3. 계산 결과


※ 노란색 칸은 호두의 최대체력이 체력한계를 초과한 경우로, 공격력버프 한계값으로 보정한 칸임

※ 적사지는 35옵급에서 치명타확률이 100%를 초과하게 되어, 해당 값을 보정함. (치확을 1로 바꾸고 초과된 수치의 2배만큼 치피에 가산)

빨간 숫자가 상대딜량이다.



25옵급









30옵급











35옵급










4. 해석



4-1. 체시계와 원마시계의 비교


각각 옵션수준에서 최대값인 [체시계+1:2]와 [원마시계+2:1]의 e10 딜량을 비교해보면 원마시계의 딜량이 높다.


25옵: 원마시계가 4.12% 우세

30옵: 원마시계가 3.46% 우세

35옵: 원마시계가 2.90% 우세


하지만 극종결로 갈수록 그 격차는 점점 줄어든다.


또한 계산에서는 체력과 원마를 2:1, 1:1, 1:2의 3가지 비율로만 계산했지만, 실제 옵션을 맞출때 체력시계를 맞춘 뒤 체력부옵션을 거의 챙기지 않고 원마부옵션을 극단적으로 챙기거나, 그 반대의 경우를 고려한다면 각각의 실제 딜량은 더욱 높아질 것이며 각 세팅에서의 격차는 더욱 줄어들어 이상적인 수준까지 가면 체시계와 원마시계는 거의 똑같아진다.



(피드백에 따른 추가내용)


 호두는 기본적으로 증발딜러고 거의 모든 타격에 증발을 꽂아넣을 수는 있지만 현실적으로 증발을 완벽하게 제어할 순 없으며 대략 호두가 넣는 딜량의 80%가 증발딜이 된다. 따라서 나머지 20%는 원마옵션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비증발딜을 고려했을 때 위의 원마시계의 우세는 완전히 사라지는 정도가 된다.


결론을 내자면, 부옵을 시계주옵의 반대쪽으로 잘 맞춘다면 원마시계나 체시계나 종결가면 똑같으니 원마시계에 집착하지 마라.


그리고 절대 체력 무시하지마라. (원마시계여도 왠만하면 3만 넘기는걸 목표로)




4-2. 부옵션의 배분


체력시계를 장착한 뒤 2:1, 1:1, 1:2의 결과를 보면 원마의 비중이 높을수록 딜량이 증가한다.

원마시계를 장착한뒤 각각의 결과를 보면 체력의 비중이 높을수록 딜량이 증가한다.


위의 사실은 그냥 원신 좀 치는 사람이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수치를 구체적으로 비교해보면 각각의 효율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원마에 옵션을 몰아줬을때는 딜량이 거의 비슷하게 나오나, 체력에 옵션을 몰아줬을때는 딜량의 편차가 크다.

따라서 다음의 결론을 도출한다.


- 원마시계를 장착한 경우(기초원마를 어느정도 확보한 경우) 원마는 얼마나 더 얻든 크게 강해지진 않는다. 원마부옵을 체력부옵으로 바꾸면 어느정도 유의미한 딜상승이 있다.

- 체력시계를 장착한 경우(기초원마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 원마를 높일수록 딜량이 크게 증가한다.



4-3. 동 세팅에서 옵션수에 따른 딜량의 격차


최대딜량을 뿜어내는 원마시계+2:1의 비율로 비교한다.


25옵 최대딜: 27257.7

30옵 최대딜: 30289.2

35옵 최대딜: 33601.5


30옵은 25옵보다 11.12% 강하다.

35옵은 30옵보다 10.93% 강하다.

35옵은 25옵보다 23.27% 강하다.


성유물 점수별 딜량 차이가 대략 저정도겠구나하고 이해하면 된다.




4-4. 부옵션의 수와 특정옵션 몰아주기의 비교


각 경우에서 최대딜량은 원마시계+2:1의 딜량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계산되며, 체력시계+2:1의 딜량비율이 가장 낮은것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25옵의 최대딜과 30옵의 최저딜, 그리고 30옵의 최대딜과 35옵의 최저딜을 비교해볼 수 있다.


호마의 지팡이 명함에 원소전투스킬 10레벨을 기준으로 한다.


25옵 최대딜: 27257.7

30옵 최저딜: 28272.7

→ 30옵이 3.72% 강하다.


30옵 최대딜: 30289.2

35옵 최저딜: 31460.5

→ 35옵이 3.86% 강하다.


 따라서 부옵션 수를 크게 늘릴 수 있다면, 옵션밸런스를 맞추는 것 보다 부옵션 자체를 늘려 성유물의 밸류를 높이는 것이 더 좋은 딜량 확보에 유리하다.


여기서 추가로, 4-3에서의 비율과도 비교해보자.


 위의 계산에서 효율이 가장 좋은 세팅과 그 세팅보다 부옵이 5개 많지만 효율이 가장 나쁜 세팅을 비교했을때 부옵이 많은 것이 약 3.8%정도 강했다. 일반적으로 부옵 5개차이로 최종딜량이 11%가 차이난다고 생각하면 대충 부옵 2개당 2.2%라고 근사시킬 수 있고, 세팅의 차이로 부옵5개의 격차를 7.3%가량 좁히는걸 생각하면, 세팅의 밸런스로 부옵 3.5개 정도의 효율을 더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내 계산에선 2:1부터 1:2까지 비교했으므로 실제 상황에서 부옵 밸런스가 더욱 벌어질 수 있음을 고려하면 엉망으로 맞춘 세팅과 잘 맞춘 세팅은 부옵 4개 이상급 차이까지 벌어질 수 있다고 예측해볼 수 있겠다.


즉,


- 성유물의 교체로 부옵션의 수를 3개 이상 늘린다면 옵션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도 보통 더 강해진다.

- 성유물의 부옵션 수가 1~2개정도 늘어나지만 옵션 밸런스가 망가진다면, 그냥 밸런스 좋은 낮은 점수의 성유물이 더 좋을 수도 있다.




4-5. 무기 성능 분석


전투력측정기인 용학살창을 100%로 놓고 나머지를 비율로 계산한다.

원소스킬은 모든 경우에 10레벨 기준이다. (e10딜량)





- 모든 경우에서 당연히 호마의 지팡이가 최강이다.

- 화박연은 용학살창과 비비는것 같지만, 저것은 풀스택 기준이며 일반적으로 스택쌓기가 어려운 점을 생각하면 그냥 용학살창 끼는게 낫다.

- 적사지는 원마가 높은경우 상당히 좋다. 다만 이것도 풀스택 기준이며, 체력시계라면 스택을 쌓기전엔 용학살창 아래인 것을 알 수 있다.

- 천암장창은 리월 4인팟이면 용학살창을 이긴다.

- 결투의 창 역시 용학살창과 비빈다. 1:1이 아닌 다수전이라면 용학살창보다 살짝 아래다.

- 날카로운 바람의 서신은 나름 0.9 용학살창으로 생각보다 준수한 딜량을 보여준다.



4-6. 체력한계


체력한계표를 다시 보자.




 호마의 지팡이를  풀재하는 경우, 위의 계산결과표를 보면 체력시계를 장착했을 때 체력한계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이건 일반적으로 다들 예측 가능한 사실이라 신기하진 않고, 중요한건 용학살창과 결투의 창이다.


 용학살창은 체력시계를 장비하는 것이 더욱 강한데, 이 경우 30옵급 종결스펙부터 체력한계에 슬슬 도달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기초공격력이 낮은 용학살창과 결투의 창을 사용할 땐 e10레벨 기준 체력 35783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심할 것.


 다만 호마의 지팡이의 경우, 체력한계를 초과하더라도 무기에 달린 체력비례 공버프는 여전히 적용되므로 체력한계를 초과한다고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은 아니며 여전히 약간이나마 이득을 볼 수 있다.



4-7. 최적 원마


 표를 자세히 살펴보면 특정 부옵션이 우세할때가 아니라 1:1이 최대딜량이 나오는 경우가 몇 가지 있다. 체력시계를 장착한 용학살창의 경우, 25옵, 30옵, 35옵 모두 체력과 원마를 1:1로 배분한 경우가 최대딜량을 기록한다. 해당 스펙에서 용학살창의 원마는 300 근처이며, 대략 이 부근에서 원마와 체력의 효율이 역전됨을 짐작할 수 있다. 단, 체력은 체력한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는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물론 원마와 체력을 모두 늘릴 수 있다면 효율과 관계없이 고점이 올라가므로 최적원마에 너무 집착하지는 말 것. 어차피 그 영향은 미미하므로 체력한계나 조심하면서 모든 방면의 스펙을 골고루 올리는 것이 좋다.



4-8. 다른 성유물의 경우


시메와 도금은 따로 계산하지 않았으나, 계산을 저만큼이나 많이 했으면 대략 예측이 가능하다.


시메는 피증이 높지만 원마보정값이 작아 원마시계를 장착하는 쪽이 좀더 유리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도금은 원마를 230이나 주므로 원마시계를 장착하는 것은 용학살창의 계산결과를 봤을 때 상당히 비효율적이 될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도금셋을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체력 시계를 장착하고 원마가 가급적 300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부옵을 잘 조절해야 할 것이다. 용학살창이나 날바서 등 원마를 공급하는 무기를 장비한 경우 옵션 밸런스가 완전히 엉망이 되므로 도금은 피할것.


(피드백에 따른 수정)


 도금셋의 경우 비증발딜을 고려했을 때 원마 230선이 그 구간 정도에 걸친다고 한다. 원마무기(용학, 날바서)가 아닌 경우 원마시계를 장착하더라도 추가적인 외부 원마버프가 없다면 충분히 쓸만하며, 이 경우에는 물공명 등으로 체력을 꼭 보충해주는것이 좋다. 도금도 원마시계를 맞추는게 나쁜 선택이 아니다.




5. 정리



- 원마시계가 체력시계보다 강하지만, 고스펙으로 갈수록 그 격차는 줄어든다.

원마시계 맞추는것에 너무 집착하지 마라. 

동일부옵션 기준 체시계와 원마시계의 딜량차이는 2~4% 내외다.

비증발딜을 고려하면 두 시계의 차이는 사실상 없어진다.


- 시계 주옵션의 반대 부옵션을 집중젹으로 챙길수록 그 격차는 더욱 줄어든다. 

원마시계는 체력부옵 챙기고, 체력시계는 원마부옵 챙겨라.

부옵션이 훨씬 많아지는게 아니라면 가급적 옵션별 밸런스를 챙기는 것이 좋다.


- 체력시계를 장착하는 경우 체력한계를 조심해라.

호마봉의 체력한계는 e10기준 45687, e13기준  40000으로 풀재련이 아니면 굉장히 널널한 편.

용학살창, 결투의 창을 사용하는 경우 체력한계에 주의할 것. (35783)


- 원마의 한계효율은 300정도.

그 이상은 원마를 올리는 것 보다는 체력이나 치명타 등 다른 옵션을 올리는 것이 효율이 좋다.

다만 모든 옵션을 골고루 올리는 전반적인 스펙업은 여전히 고점이 올라가므로 상관 없다. (극종결스펙급)




- 무기 서열

화박연, 적사지는 전부 풀스택 기준이고 천암은 4인팟, 결창은 1:1이다.

전투력측정기는 용학살창 5재련. (100% 기준)




호마의 지팡이가 당연히 1등이다.


화박은 풀스택 채우기가 어려운걸 생각하면 용학보다 치명세팅이 편한거 말곤 장점이 없다.


사이노 전무인 적사지는 원마시계를 끼면 2등 무기가 된다.


용학살창은 원마시계보다 체력시계를 장비했을 때 확실히 더 강하다. 다만 체력한계를 조심해야 함.


천암장창은 리월4인팟(호야행종)이면 용학을 이긴다.


결창은 1:1이면 용학에 비비고 아니면 살짝 약하다.


날두는 0.9 용학. 원마시계 장비해도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