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행무기는 전부 치확이 옵션으로 붙어있고 무기 효과가 무기군별로 다름.

옵션이 치확인 만큼 딜러에게 줄 무기라고 가정하고 작성하겠음.

대부분의 경우 5성 무기군에 전무나 대체품이 있으므로 해당 글은 4성 무기군 내에서 비교를 하고 기준은 5재련임.

따라서 평소 무뽑을 즐겨하거나 모든 딜러에게 5성무기를 달아줄 여력이 되는 원붕이들은 그냥 기행무기 아무거나 받으면 됨.

각 캐릭터 별로 따로 계산을 해본 것은 아니기 때문에 추측성 내용(무기 간 우위 등)은 얼마든지 틀릴 수 있음.

3성 혹은 4성 무기군에서 더 효율이 좋은 무기가 있을 경우(예를 들면 단조무기를 쓰는 호박 백출) 따로 쓰지는 않았지만 그 대상이 한정무기라면 별도로 작성해둠.




1. 기행검



E와 Q에 치확과 피증을 줌. 풀 스택시 E와 Q에 부여되는 수치는 치확 43.6%, 피증 32%. 적을 명중할 때 마다 스택이 쌓이는 방식이지만 한손검 캐릭터 대부분 다타형 스킬, 궁을 보유하고 있거나 단타형인 경우 상대적으로 딜 지분이 적기 때문에 큰 무리는 없어 보임. (예를 들어 아야카 E의 경우 무기효과의 치확 풀스택을 쌓을 수 없지만 딜 대부분이 Q에 몰려있고 Q는 다단히트기 때문에 상관 없음) 현재 E와 Q 명중 시 중첩 스택 쌓이는 것에 관련하여 오프필드에서 적용이 되는 지 여부가 명시되어 있지 않음. 아마 안될 것으로 추정됨


 - 행추: 야란과 함께 사용할 때 사용가능. 단독으로 쓸 때는 원충이슈로 못씀. 다만 무기효과가 오프필드에서 안터지면 치확 16% 손해보는 것을 감안해야함

 - 알하이탐: E와 Q의 딜 비중이 높고 치명타 밸류가 매우 높은 알하이탐의 4성 종결무기가 될 것으로 추정

 - 아야토: 기존 기행무기인 칠흑검이 더 좋음(평타 피증). 다만 4.0 이후 기행 무기군이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대체되는 방식일 경우 칠흑검 입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칠흑검 제외 4성 종결무기로 추정

 - 아야카: 기존 4성 단조무기인 아메노마와 선택존에 있음. 아야카는 성유물과 얼음공명으로 치확을 많이 확보할 수 있고 원충 이슈가 존재하는 캐릭터기 때문에 기행검과 아메노마 중 뭐가 더 좋은지는 실제로 나와봐야 알 것 같음.

 - 알베도: 진사의 방추 > 기행검 > 부식검(틀릴 수 있음). 방추랑 부식검은 더이상 입수할 수 없기 때문에 방추가 없으면 기행검을 재련해서 주면 된다. 다만 무기효과가 오프필드에서 안터지면 치확 16% 정도 손해볼 수 있음.

 - 각청: 4성 종결 무기로 추정됨. 용의 포효는 공퍼 41.3%, 피증 36%인데 반해 기행검은 치확 27.6%, EQ 피증 32%를 제공하고 EQ에 치확을 최대 16%까지 추가로 지원함. 촉진조합에서 주로 활약하는 각청의 입장에선 공퍼보단 치확 옵션을 더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임. 다만 용의포효 고재련 vs 기행검 저재련의 경우 따로 계산을 해봐야 함.




2. 기행대검



적이 아닌 착용 캐릭터 본인에게 원소가 부착되어야지 무기 효과가 발동함. 공뻥과 피증은 공존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무기효과를 발동시키기 위한 파티원으로는 베넷, 디오나, 바바라 등이 있고 자가 부착이 가능한 대검 캐릭터로는 도리, 북두 등이 있다.


무기풀이 씹창나있기로 유명한 대검인 만큼 4성 내 경쟁자는 주로 기행 전임자인 이무기가 되는데

이무기: 치확 27.6%, 가피증 50%(풀스택)

기행대검: 치확 18.4%, 공퍼 32%(불부착), 피증 24%(물, 얼음, 번개 부착)

이기 때문에 실드캐를 채용한다면 이무기, 데히야처럼 이무기 스택 유지가 어려운 친구들은 신규 기행대검을 쓰면 됨.




3. 기행창



파티 내 원소가 최소3가지 이상일 때 원마를 무려 240이나 지원해준다. 따라서 치확과 원마를 유효옵으로 사용하는 캐릭터가 쓰기에 좋고 원마가 유효옵이 아닌 이상 기존 결투의 창이 더 좋음. 다만 결창을 더이상 구할 수 없게되면 치확만 보고 채용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음.


 - 향릉: 어획이 원충 45.9%, 궁피증 32%, 궁치확 12%를 제공하고 기행창은 치확 27%, 원마 240를 제공함. 종결 세팅은 계산해봐야겠지만 향릉이 적극적으로 증발을 일으키는 조합이 아닌이상(라향카베 등) 원마 가치가 떨어지며 향릉은 매우 높은 원충을 요구하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어획이 더 좋고, 어획을 라이덴 등이 사용하고 있을 경우 기행창을 주는 것도 좋아보임. 역시 나와봐야 알 수 있음.

 - 소: 소는 원마를 유효옵으로 쓰지 않기 때문에 전임 기행창인 결창이 더 좋음. 다만 만약 결창을 더 구할 수 없게 된다면 4성 내에서 천암장창과 비교를 해야하는데 소의 종결파티인 소파종베 기준 5재련 천암장창이 공 49.6%, 치확 14%를 제공하고 기초공도 더 높기 때문에 치확이 돌파옵인 소 입장에선 천암장창이 더 좋을 것으로 여겨짐. 다만 천암장창 역시 한정무기기 때문에 결창과 천암장창 모두 없을 땐 신규 기행창을 쓸 수 있음.

 - 호두: 공퍼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호두 입장에선 결창이나 천암장창보다 신규 기행창이 더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음. 그럼 비교군은 용학살창이 되는데 용학은 원마 221, 피증 36%를 제공하고 기행창은 원마 240, 치확 27.6%를 제공함. 호두는 일반적으로 특성과 야란의 피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세팅도 편하고 효율도 좋은 신규 기행창이 4성 종결무기가 될 것으로 추정됨.

 - 로자리아: 로자리아를 치명타 버퍼로 쓸 경우 치확만 보고 채용할 수 있지만 결창의 치확이 더 높음(36.8%). 만약 결창 입수가 불가능해지면 신규 기행창을 채용 가능. 로자리아가 융해 반응을 일으키는 융해파티에 쓸 경우 4성 종결무기로 활약할 수 있음.

 - 라이덴: 라야나백 등 원마덴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한적으로 신규 기행창을 쓸 수 있음. 원충시계 + 기행창이 원마시계 + 어획에 비해 원충, 원마, 치확에서 우위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피증이 떨어짐. 다만 기행창을 쓸 경우 부옵에서 많은 원충을 챙길 필요가 있고, 어차피 백출과 나히다가 원마(촉진) 서포팅을 해주기 때문에 실 성능은 나와봐야 알 수 있음.

 - 사이노: 결창과 선택존에 있으며 결창은 치확 36.8%, 1대1 기준 공48%를 제공하고 신규 기행창은 치확 27.6%, 원마 240을 제공함. 단순 부옵 개수로 환산하면 두 무기에 차이는 없으나 1대다로 넘어갈 경우 결창이 주는 공퍼가 32%로 낮아지기도 하고 사나야백, 사나행시 등 만개 파티에서 사이노가 터트리는 만개탄을 고려하면 신규 기행창이 4성 종결무기가 될 것으로 추정됨. 다만 사피나백처럼 번개2 풀2 조합에선 무기효과가 터지지 않기 때문에 쓰기 어려움.




4. 기행법구



단순하게 오프필드 캐릭터에게 치확36.8%, 체퍼 40%, 원마 160을 제공함.


 - 야에 미코: 기존에 4성 종결무기로 사용되던 음유시인의 악장에 비해 고점이 낮지만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함. 음유시인의 경우 30초마다 한번 10초동안 공퍼 120%/피증 96%/원마480 중 랜덤으로 한가지를 제공하는데 이 수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단기전에선 음유시인이 크게 앞선다. 하지만 전투가 길어질수록 음유시인의 가동률을 1/3로 떨어지고 이때 음유시인은 미코에게 평균 공퍼40%/피증32%/원마160 중 랜덤으로 한가지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치명타 밸류(기행법구 치확 36.8% vs 음유시인 치피 55.1%)가 높은 기행법구가 더 좋아짐. 따라서 순간적인 포텐셜을 중요시한다면 음유시인의 악장을, 안정적이고 평균적으로 더 높은 성능을 원한다면 기행법구를 채용할 수 있음.

 - 나히다: 5성 무기를 제외하면 비교군에는 마도서론(원마 187, 물 번개 영향 받은 적 대상 피증 24%), 제레악장(원마 221), 방랑하는 저녁별(원마 165, 원마의 48% 만큼 공뻥, 공뻥 수치의 30%만큼 파티 공뻥) 등이 있다. 제공하는 치확 수치가 워낙 높기 때문에 서브딜 성능도 뛰어난 나히다 입장에선 마도서론, 제레악장보단 기행법구가 더 선호될 것으로 보이며, 파티버프(나히다 원마 1000 기준 파티공뻥 144pt)를 중요시 한다면 저녁별을, 나히다 본인 딜량(치확 36.8%)을 중요시한다면 기행법구를 채용하면 될 것 같다.




5. 기행활



강공딜러에게 특화된 기행무기. 전임 기행활인 청록활에 비해 치명타 확률이 낮아진 대신(27.6% -> 18.4%) 있으나 마나였던 청록활의 무기효과 대신 강공 받피증 56%가 생겼다.


 - 감우: 융해조합이 주요 빌드가 된 감우 입장에선 얼음공명이나 성유물에서 치확을 챙기기 힘들기 때문에 기행활의 치확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담월이나 파마궁에 비해 더 좋은지는 계산해봐야함.

 - 타이나리: 기존에 청록활을 4성 종결무기로 사용하던 타이나리 입장에선 높은 피증을 주는 신규 기행활 역시 잘 쓸 수 있음. 다만 타이나리는 특성과 돌파 옵션으로 이미 피증을 많이 챙길 수 있기 때문에 청록활과 신규 기행무기 중 어느게 더 나은지는 계산해 봐야 알 수 있음.

 - 타르탈리아: 비교군으로는 녹슨활과 청록활이 있으며 신규 기행활의 경우 강공 위주의 사이클을, 녹슨활은 일반공격 위주의 사이클을 구성해야 하는데 차이가 있고 어떤 무기가 가장 높은 데미지를 뽑아내는 지는 계산해봐야 알 수 있음.



틀린 내용이나 더 추가할 거 있으면 말해주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