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직저항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https://arca.live/b/genshin/72174726?target=all&keyword=%EA%B0%95%EC%9D%B8%EB%8F%84&p=1 를 읽고 오셈
이 글에서는 해당 글의 경직 시스템의 무게에 관한 조건인 몬스터는 언제 공중에 뜨는가에 대해 간단히 더 살펴볼 거임

종려 강공격의 impulse type은 air, 0, 450인데 air은 적을 공중에 띄움
근데도 두번째 보물사냥단은 안 띄워졌는데 왜 그럴까?
실제 경직 레벨이 heavy이기 때문이다


공식은
5.5 x 몬스터 무게 > 수직으로의 힘 = heavy
5.5 x 몬스터 무게 <= 수직으로의 힘 = air

단, 이는 적이 지면에 있을 때 해당하고 공중에 있는 적은

로 분류가 된다


첫번째 보물사냥단은 5.5 x 80 = 440
두번째 보물사냥단은 5.5 x 100 = 550
종려 강공격의 수직 힘은 450

따라서 첫번째 보물사냥단의 실제 경직 레벨은 air이어서 공중에 뜨지만 두번째 보물사냥단은 heavy이므로 뜨지 않고 설명에 따라 넉백이 됨


3번째 장면에서 종려의 일반 공격의 마지막 타에 적이 떴는데 마지막 타가 impulse type 6, 수직으로 800의 힘을 가해서 그렇다


수직으로의 힘이 높은 목록(impusle type 8, 825 이상의 수직 힘)으로는 아래와 같음
옆에 있는 노부시패 같이 무게가 150인 몬스터를 띄우려면 825의 수치를 요구하기에 800만으로는 띄울 수 없음




진이 1050으로 수직 힘이 원신에서 제일 높음
따라서 최대 몸무게가 190을 넘지 않는 캐릭터는 진으로 올릴 수 있다


가장 근접한 몬스터가 타게로마루 같은데 주전자에서는 먹히지 않음



몸무게 150인 츄츄왕 예시
진 E는 impulse type 9, 수직으로의 힘이 600, 즉 heavy로 간주되어서 넉백 당하는 모습

정리하면 실제 경직 레벨이 air이어야 공중에 뜰 수 있다. 다만 타르탈리아 같은 보스는 air에 아예 면역이고 몸무게가 매우 높은 경우는 띄울 수 없음


air만으로 적이 뜨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 전제조건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데이터는 다 원신 위키에 있음

사실은 종려 콤보 념글 보고 강공격 모션으로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쓴 것

근데 지형이 조금만 울퉁불퉁해도 빗겨맞고 낙하 데미지가 안 들어가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