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찾아봤지만 올강공과 올평타 중 뭐가 제일 센가 다 말이 다르다. 대쉬를 써라, 말라, 2타 강공 반복해라 등.

그래서 직접 계산했다. 아래는 세 줄 요약이다.


1. 명함 노전무이며 누각 제외 공속버프 없을 시에 단순 수치상으로 올강공이 제일 세다.

2. 원신은 pvp겜이 아니다. 일반 공격 + 대쉬 활용이 더 재미있다면 그렇게 하는 게 옳다.

3. Theories will only take you so far.


명함 기준 계산이니 딜은 공격과 e스킬 특성레벨 10 기준 부유 상태로 잡는다.

계산한 값의 소수점 한자리까지 반올림한다.

편의상 일반 공격 1타부터 3타까지를 "사이클"이라고 부른다.

올강공을 제외하고는 누각 버프를 위해 모두 e스킬 전에 강공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e스킬 전에 사용한 강공의 대미지는 모든 공격 방법에서 어차피 쓸 수 있으니 계산에서 제외한다.

물 원소 흡수하지 않은 상태 기준이다.


한 사이클 = 일반 공격 1타부터 3타까지 = 1.537 * (135.8+128.5+94.2+94.2) = 695.8

2타까지 = 1.537 * (135.8+128.5) = 406.2

강공 = 1.43 * 237.7 = 339.9

대쉬 한 번 = 0.35 * 4 = 140


공격 종류와 피해량 표

한 사이클2타까지만강공대쉬 한 번
695.8%406.2%339.9%140%


"대쉬 없이" 일반 공격만 할 경우

누각 공속 버프를 위해 강공을 박은 후에 e를 사용할 경우 6사이클 + 평타 하나를 날릴 수 있다. 마지막에 궁 써야하니 마지막 평타는 빼고 계산한다.

여섯 사이클 = 695.8*6=4174.8

공격력의 4174.8%의 피해를 줄 수 있다.


대쉬를 활용하며 일반 공격만 할 경우

다섯 사이클 + 평타 두 번에 대쉬는 두 번 사용이 가능하다. 운이 정말 좋으면 네 번까지도 가능하지만 여기선 두 번으로 두고 계산한다. 마지막에 대쉬 Q를 따닥 하고 누르면 되기 때문에 뭔가 뺄 필요는 없다.

다섯 사이클 = 3479

평타 두 번 = 406.2

대쉬 두 번 = 280

공격력의 4165.2%의 피해를 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몽상의 바람을 사용하면 딜로스가 난다고 하는 것과는 반대로 공격력의 9.6%의 차이 밖에 나지 않는다. 공격력의 9.6%를 대가로 전투기동력과 재미를 얻을 수 있으니 강공을 쓰기 싫으면 대쉬를 섞는 걸 추천한다.

딜량 ㅈ박고 싶지 않다면 몽상의 바람은 무조건 세번째 공격 직후에 따닥 하고 바로 사용해야 한다. 컨트롤을 위해 평소 대쉬를 쉬프트 키로 하더라도 몽상의 바람 만큼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사용해라. 왼쪽 버튼, 오른쪽 버튼 0.1초 간격으로 거의 동시에 따닥 눌러야 한다. 1타 후에 몽상의 바람 충전이 완료됐어도 3타 기다리자. 어차피 두 번은 쓸 수 있다. 마지막 대쉬는 기다렸다가 부유 효과가 끝날 때 마우스 오른쪽 버튼+Q를 0.1초 간격으로 거의 동시에 누르면 된다. 참고로 대쉬 멍청하게 쓰는 거 아닌 이상 딜 넣는 거에 별 영향 안 준다. 폰신은 안 해서 모르겠다.


일반 공격 두 번 + 강공 조합으로 섞어서 쓸 경우 + 대쉬 없이

인터넷 뒤지다가 적잖게 발견한 일반 공격 두 번과 강공 한 번을 섞어서 쓰는 방법이다. 부유 상태에서 여섯 번씩 쓸 수 있었다. 마지막에 궁극기를 써야하니 강공격 하나는 빼고 계산한다.

(평타 두 번) * 6 = 2437.2

강공 다섯 번 = 1699.5

공격력의 4136.7%의 피해를 줄 수 있다. 인터넷에 이 방법을 추천하는 글이 많았지만 의외로 꼴등이다. 컨트롤도 답답해서 비추.


강공만 사용

부유 상태에서 강공은 총 열네 번 사용이 가능하지만 연습이 많이 필요하다. 열네 번 쓸 수 있는 컨트롤을 가졌다는 가정 하에 마지막 1타는 궁을 사용할거니 하나 빼고 열세 번으로 계산한다.

강공 열세 번 = 4418.7

공격력의 4418.7%의 피해를 줄 수 있다. 가장 높은 수치이다. 하지만 말했듯이 이걸 읽는 모두가 강공 열네 번 할 수 있는 능력이 되진 않을 것 같다. 본인 컨트롤이 부유 상태에서 강공 열세 번이 최대라면 궁극기 쓰기 위해 강공은 열두 번 밖에 쓰지 못할 것이고, 궁극기 제외 피해량은 4078.8%로 떡락한다. 추가로, 부유 상태에서 강공을 열네 번 쓸 수 있는 컨트롤이 안 된다면 아마 몽상의 바람을 활용했을 때도 딜로스가 생길 것이다. 안되는 사람은 그냥 무지성 일반 공격만 날리는 게 나을 것 같다.


하지만

뭐가 됐든 간에 본인이 좋아하는 공격 스타일이 있다면 그거를 쓰면 된다. 롤 같은 pvp 게임은 티어 높은 사람이 승자지만 원신은 같은 시간 플레이하고 더 많이 만족하는 사람이 승자다.


Theories will only take you so far.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오펜하이머의 명대사, 제일 좋아하는 말이다. 영화에서는 맥락상 진인사대천명의 뜻으로 쓰였지만 말 자체의 뜻은 이론은 이론일 뿐이라는 말이다.)

설명했듯이 피해량은 강공난사가 제일 높다. 하지만 수준급의 박자감이 없다면 오히려 딜로스가 난다. 추가로 이 방법을 채택하면 일월의 정수의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없다 (스킬 적중 후 피해량 증가는 일반 공격에만 적용되기 때문). 또한 야란이나 토마의 Q는 강공격에 발동되지 않는다 (하지만 번개행자는 되지롱! 그렇다고 번개 원소랑 방랑자를 같이 쓰진 말고).

또한 이 계산은 치명타는 고려하지 않았다. 치명타는 확률이기 때문에 100퍼센트를 찍지 않은 이상 타수가 많은 게 유리하다 (타수가 많을 수록 타당 피해량도 낮기 때문에 각 타마다 치명타가 터졌을 때 올라가는 피해량의 기댓값도 적다는 점도 고려하면 훨씬 복잡해진다). 강공 난사는 거의 제자리에서 공격하기 때문에 회피기동이 불가하다. 때문에 파티에 종려가 강제된다는 점도 있다.


나는 방랑자 복각해서 1돌하고 전무 뽑기 전까지 그냥 강공만 날리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