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기 소음 피해와 비교, 70% 어획량 감소 피해 사실 호소’ 역설적 표현
대책위 “생계 터전 잃을 위기에 처한 어민들의 절박한 심정을 알리려”
“국가철도공단 톱머리항 해저 발파 시작되면서 어족자원 씨말라” 대책 호소


호남고속철도2단계 공사피해 도대어촌계 등 청계만 어업페해보상대책위 집회 (사진 = 윤시현 기자)

(전남=NSP통신) 윤시현 기자 = 무안군 톱머리항 일대 해저를 관통하는 철도 건설 발파 공사로 인해 어업피해 주장 어민들이 갑작스레 ‘군공항 이전 찬성’ 구호를 외쳐, 속내에 관심이 향하고 있다.

어민들이 집회과정에서 극단적 표현으로 어민들의 절박함을 드러냈다는 해석이다.

무안군 청계면 도대어촌계를 비롯한 7개 어촌계 600여 어민을 대표를 주창하며, 호남고속철2단계 공사로 어족자원이 고갈되고 있다며 어업피해영향조사 등을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불거진 민감한 표현이다.


광주군공항 무안군 이전은 반대분위기가 고조되면서, 일촉즉발의 갈등으로 불거진 무안군 일대 지역사회 가장 민감한 관심사다.

22일 무안군청 출근 시간께 “소음진동으로 어업피해를 해결 못한 청계만 600여명의 어민들은 군공항 이전을 찬성한다”라는 현수막을 크게 내세워 눈길을 끌었다.

청계만 어민들은 군공항 이전 찬성...소음피해 표현


망운면 피서리 조망 톱머리항 일대 (사진 = 윤시현 기자)

참가자들은 “철도공사로 어업피해가 70%에 달하고 있다”며 연일 집회를 이어가며, 어업피해영향조사 선행을 요구하는 어민들이 절박한 심정을 호소하기 위해 역설적인 표현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즉 공사과정에서 발생한 소음과 진동으로 어업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관계기관의 관심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해석된다.

군공항이전 주된 반대 이유가 전투기 소음 피해란 사실과 비교, 어족자원 피해 사실을 호소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왕일 대책위원장은 “무안군공항 이전을 정말로 찬성하겠냐?”라고 반문하며 “생계 터전을 잃고 죽을 위기에 처한 어민들의 절박한 심정을 알리기 위한 극단적인 표현”이라고 전했다.

집회 참석 어민들은 “고기가 없어졌다. 공사즉각 중단하라”, “바다 생태환경을 조사하고 공사하라”, “소음 진동 어민피해 무관심 무안군은 책임져라. 즉시 공사 중지시켜라”는 등 크고 작은 프랑을 함께 게시했다.

“무안군이 군민을 위해 공유수면점용허가권 적극 개입” 요구


톱머리항에서 조망한 청계만 일대 (사진 = 윤시현 기자)

바로 뒤 무안군청사에는 “광주전투비생장 무안이전을 결사반대합니다”라는 문구와 극명한 대조를 나타내고 있다.

‘청계만어업피해보상대책위원회’를 꾸린 어민들은 지난 7일부터 발파 작업으로 인한 어업피해를 규명하고, 합리적으로 구제받기 위해 국가철도공단과 무안군을 상대로 집회를 지속하고 있다.

이들은 “호남고속철2단계 톱머리항 일대 해저터널 공사가 시작되면서 어민들의 생계 수단인 바다 물고기가 사라졌다”며 “무안군이 국가철도공단과 협의한 공유수면점사용허가를 취소하고 철도공사를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호남고속철도 2단계 해저터널 구간 공사가 22년 본격 시작된 이후 청계만에서 어획량이 70% 정도 크게 감소했다”며 “관계 기관은 공사를 중단하고 어업피해영향조사부터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특히 대책위가 어업피해 근거로 제시한 수협에 위탁판매한 해당 어업인들의 2020년~2022년 3년간 년 평균매출액은 24억 5000만원에 달했지만, 2023년에는 고작 11억 5000만원 수준에 머물러 53%가 감소했다는 근거가 눈길을 끌고 있다.

왕일 대책위원장은 “발파작업이 시작된 후 23년에 반토막이 나고, 올 들어 아주 씨가 말랐다”라며 “군민을 위해 일해야 할 무안군이 자기 역할을 못하고 군민들을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고 성토했다.

한편 국가철도공단이 발주한 호남고속철 2단계 공사는 나주 고막원에서 목포시 임성까지를 연결하는 구간으로, 약 2조 2800억원을 투입해 지난 2018년부터 2025년까지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