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팅 내역 편집을 왜 하는가?

- 기억한계선 아래쪽 채팅은 어차피 리퀘스트에 포함되지 않음

- 그런데 이 부분이 계속해서 쌓이다 보면 리스가 무거워짐

- 따라서 적당한 시점에 채팅을 다운받아 놓고 리스 채팅방 내에서는 내역을 편집해 주면 쾌적해짐

- 기타 여러 이유로 수파/하이파를 남겨놓고 새 챗을 파고 싶은 상황도 있을 수 있음



이 글의 의의

- 기존에는 채팅 편집을 하려면 json 파일을 따로 열어서 편집해야 했고, 상당히 귀찮은 과정이었음

- 하지만 리스에서 지원하는 command 기능을 사용하면 이 과정이 매우 편해짐



{{chat_index}}

채팅방의 채팅에 이 중괄호 구문을 쓰면 해당 채팅이 몇 번째인지 index가 나옴

참고로 퍼메는 -1, 첫 채팅부터 0으로 카운트됨

'채팅창 내'에서만 작동하는 구문이다





/cut 과 /del 

/cut (인덱스)

해당 인덱스의 챗만을 남기고 다 잘라냄



/del (넘버)

지정된 수만큼의 채팅만을 남기고 오래된 채팅을 잘라버림

즉, 새 챗을 파는 대신 기존 채팅방에서 가장 최신 챗 4개만을 남긴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응용 1: 기억한계선 이전 채팅 지우기

1. 채팅방의 기억한계선을 찾는다

2. 기억한계선 직후 채팅의 {{chat_index}}를 알아본다 (수정 버튼을 통해 입력하면 됨)



3. 숫자를 기억해 놓고 {{chat_index}} 부분은 적당히 삭제해 준다.

4. 채팅창에 /del {{calc::{{array_length::{{history}}}}-(기억한계선 인덱스)}} 를 입력한다. 이 경우에는/del {{calc::{{array_length::{{history}}}}-3}}

5. 기억한계선 이전 채팅이 모두 지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응용 2: 새 챗 파고 퍼메 복붙하는 대신 기존 채팅 퍼메로 이용하기

1. {{chat_index}}를 사용하여 퍼메로 쓰고 싶은 채팅의 index를 찾는다.

2. 채팅창에 /cut (퍼메 인덱스) 를 입력한다.

3. 해당 채팅만 남기고 다른 채팅이 모두 지워진 것을 확인한다.




주의사항

- 혹시나 모를 휴먼 찐빠를 위해 채팅을 다운받아서 백업해두는 것을 권장함. (본인은 이거 실험하다가 잘 하던 세션 하나 날려먹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