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글 모음

### Response로 채팅을 시작하라고 하니까 프롬프트 인식률이 미쳤음 ㅋㅋㅋ


아무리 프롬프트에 제목의 영향력이 크다 해도

그게 AI 자신이 출력하는 결과물에도 영향을 미칠 줄은 몰랐음.


제목을 지정해주고 작성하라 하면 내용을 제목의 틀 안에 맞춰서 써야 해서

캐릭터 디스크립션과 유저챗을 많이 참고하는 것 같음.

특히, 캐릭터 디스크립션에선 char과 user의 관계에 관한 내용들을 특히 더 잘 끌어왔음.


가만 보면 이역시 캐릭터롤 영향력을 줄이도록 지시사항을 강조하는 프롬과 원리가 비슷해보임.

단순히 제목을 쓰라 했기 때문은 아님.

Response 말고 Reply랑 Output도 써봤는데 COT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구렸음.


단점이 하나 있다면 COT 비해 탈옥에 도움 되지 않는다는 점인데

COT를 탈옥 프롬으로 쓰거나 해서 개조하면 될 듯.


핑퐁 COT에서 COT 관련 지시 지우고 최하단 지시를 아래로 바꾸면 끝 

Now make yourself familiar with [Guidelines] and [References]. Generate the response to the user's input, starting with ### Response.


그리고 <Thought> 지우는 것처럼 "### Response" 지우는 정규식 사용하는 중임.

### *(Responses?|responses?)\n\n(---\n\n)?

정규식도 일단 공유해봄.


https://files.catbox.moe/7bqx42.j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