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글 모음


물론 4.7 본섭이 업로드될때 4.6때 아를처럼 클로린드도 마지막으로 바뀔 수 있는 가능성도 조금 있지만,

높은 확률로 클로린드가 테섭 종료 기준에서 아예 안바뀐다고 가정하고 짱구를 좀 굴려봤음


클로린드 e가 v3 핫픽스로 9초->7.5초가 됬지만

6돌옵 (치확+10, 치피+70)은 e발동 후 12초 그대로 유지인게 계속 의아했었는데


이전글에서는 클로린드가 대부분 경우에서 Q딜량으로 웨이브 하나를 원컷내기 위해서 선Q, 후e를 쓰는게 낫다고 생각했지만 

(이건 적이 단일몹/단일웨이브이면 여전히 유효할 것 같고)

사실 클로린드 6돌옵이 e발동 후 12초 유지인걸 생각하면 

다중웨이브일 경우 클로린드 선e-끊어치기-후Q를 의도했다 생각함


즉 결론부터 말하면 6돌옵이 e지속시간 너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테섭 종료까지 e발동 후 12초 유지인건 

(e 지속시간 너프가 아쉬운거랑 별개로) 계륵은 확실히 아님 ㅇㅇ



사실 촉진이 고점인 여타 번개 온필드 딜러들을 조금 거론해보자면 대표적으로 각청, 사이노가 있는데,

이 둘의 초고점/스런 조합이 3.6 백출 출시 이후에도 4.2 푸리나 출시 이전 기준 노힐노쉴드 조합이었던 +피카나였지만

피카나 조합은 노힐러/노쉴드이기에 각청/사이노 (특히 각청)이 여러 이유로 (글이 너무 길어져서 생략) 푸+백 조합에서 상당한 덕을 봤었음


반면 클로린드는 기본적으로 4돌옵, 전무의 높은 피증 (특히 돌파할수록 회광보다도 높고) 등 체급이 애초에 더 높은 덕에 

사이노/각청에 비해 상대적으로 푸리나 피증의 이득을 덜 보고,

e랑 q를 끊어서 쓸 수 있는 점에서 사이노의 경직된 딜구조를 상당히 피해갔으며 (딜사이클 유연함에서 각청>클로린드>사이노)

2돌/6돌옵에 각각 경직저항/경직면역, 자체 설계에 자힐이 딸려 있어서 피나카 조합의 노쉴/노힐 단점을 사실상 상쇄했음


실제로 dps 기준 저돌파팟, 그거도 4성무기+후진 성유물을 전제하는 (즉 만개 유리) 해외발 tc계산에서도 클로린드는

저돌파부터 만개촉진이 아니라 순수촉진, 그거도 +피카나가 제일 높은 조합이고 ㅇㅇ (저돌파는 번분, 고돌파는 몽상)

(물론 클로린드가 저돌파라면 푸리나 2돌, 나히다 2돌 여부등에 따라 푸나백이 더 높은 구간도 있음)



그럼 클로린드를 쓸 때 연월 방이 보스전 또는 단일 웨이브이다?

이전글에 적은대로 적 피통에 따라 선q를 하든 선e하고 적당히 피 남았을때 q로 컷을 하든 하면 됨


연월 방이 다중웨이브이다? 

클피카나 기준 피슬->카즈하 e/q->나히다e 다음에 

클로린드가 e 밤사냥 딜타임을 일단 해서 첫웨이브를 컷 내고 (이때 6돌옵 치확+10, 치피+70 12초 발동)

히트랙 없는 7.5초가 끝났을 시 / 첫웨이브 적이 다 녹았을 시점에서 여전히 6돌옵은 최소 4.5초 이상이 남았기에

카즈하로 e짧해서 신규몹들한테 번개 내성깎/피증 재차 해주고, 나히다로 e스캔 재차 해준다음에

곧바로 Q를 쓰면 

6돌 치확/치피옵이 적용된 생계 200%의 Q데미지가 적에게 들어감


실전 기준으론 사실 카즈하 내성깎/피증 또는 나히다 방깎+풀묻힘을 굳이 안해도 녹는 적들이 2차 웨이브에 나올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그냥 바로 클로린드 Q를 써주면 되고,

만약 카즈하/나히다를 하나도 안쓰면 몹을 다 정리하는게 약간 애매할 경우

필요한 딜량에 맞춰 카즈하로 몹몰이+내성깎/피증 정도만 해주거나, 나히다로 방깎+풀만 묻혀주면 됨


요지는 알하이탐이 Q를 쓴 후에 조각 부여까지 시간여유가 약간 있어서 

잠시 타캐릭으로 스왑해서 스킬 하나정도 굴릴 수 있는 여유가 있었던 것처럼

클로린드는 (오히려 더 넉넉하게) 최소 4.5초 이상을 (히트랙이 없으니) 적에 맞게 사이클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거고,

e 쿨감이 9초였을 때랑 달리 (스왑+스킬사용에 1초가 약간만 넘어가더라도 정작 재차 클로린드로 돌아가서 Q딜링엔 6돌옵 버프 적용이 힘듬)

e 쿨감이 7.5초일때 이 유연함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음



근데 왜 그냥 e쿨감 9초는 그대로 유지해두되 6돌옵 치확/치피 버프는 14초 이상 유지 이런식으로 안했냐고?

나도 모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