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글 모음





겹사 = 겹쳐서 사냥한다는 뜻으로 옛날 메이플스토리에서는 자리 스틸이라고 불렸던 행위를 옛메 안해본 쌀먹 린저씨들이 겹사라고 부르기 시작하여 메랜에서는 겹사라는 단어가 정착됨


경심 = "경험치를 먹는 심볼"의 약어임

그냥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파티사냥이라고 할수있음 프리스트는 성속성 반감, 언데드를 제외한 몹을 못 잡기 때문에

몹을 거의 안 잡고 심볼, 블레스, 힐을 뿌리면서 돌아다님



노경심 = "NO 경험치 심볼"의 약어임

파티에 심볼만 주고나서 프리스트는 파티를 탈퇴하기 때문에 프리스트는 경험치를 먹지 않음

파티장이 프리스트를 초대후 프리스트가 파티원들에게 심볼 (또는 필요시 블레스나 힐)을 뿌리고나서 파티를 탈퇴함

이를 '파탈컨'이라고 부름

파티를 하는 짧은 시간에도 노경심 프리스트한테 경험치가 들어가는게 아까워서 딱 홀리심볼만 마스터한 81렙 프리스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파사쩔과 함께 쌀레릭들의 대표적인 쌀먹 수단이지만

가끔 급전이 필요한 고렙 프리스트가 하는 경우도 있음



닫섭 = 닫힌 서버라는 뜻, 주로 채널 점검으로 인해 닫혀버린 채널들이다. 다른 사람은 들어가지 못하고 기존에 있던 유저들만 이용이 가능한 서버다. 나가기만 할 수 있고 들어갈 수는 없어서 닫섭이 되면 인기 많은 사냥터에 사람이 없어 혼자서 독식이 가능한 이점이 생길 수 있다. 보통 점검이 끝나면 닫섭에 있던 사람들도 자동으로 강제 로그아웃된다.


데테, 데테팟 = 데스테니(잊혀진 시간의 길 3)파티


도어 = 미스틱 도어 (프리스트 3차 스킬), 사냥터와 가장 가까운 마을로 문을 열어서 자유롭게 오갈 수 있다.


듀파 = 듀얼 파이렛(삐뚫어진 시간) 파티


떡귀지 = "떡지게 바른 귀고리 지력 주문서"라는 뜻임

저렙 귀고리에 귀고리 지력 주문서 100% 짜리를 5장 발라서

마력 +5가 된 귀고리를 뜻함

상시 레벨+1이 된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초반 법사 육성에 큰 보탬이 되는 필수 장비임



떡작 = "주문서를 떡지게 바르는 작"의 약어임

실패확률이 없는 100% 주문서를 업그레이드 가능 횟수만큼 모두 바른 작 아이템을 말함

보통 거쳐가는 저렙 장비나 저자본 유저가 떡작 이상으로 작을 하기에는 지나치게 큰 비용이 소요되는 장비에 떡작을 함

ex) 떡귀지, 떡우완, 전행떡작



루디파퀘 = 루디브리엄 파티퀘스트



채널 규정에 위반 우려가 있어 삭제된 단어입니다.


막~ = 마지막이라는 뜻


마데테 = 마스터 데스테니(사라진 시간) 파티


채널 규정에 위반 우려가 있어 삭제된 단어입니다



뻥 = '피뻥' 스피어맨의 스킬 하이퍼 바디를 받으면 최대 HP와 MP가 늘어나는데 이것을 피뻥 받았다고 하여 더 줄여서 뻥이라고 부른다. 용기사가 파티에 기여하는 가장 핵심적인 스킬이다.




샤레 = 샤이닝 레이 (프리스트 3차 광역기)


시길1 = 시간의 길 1 (루디브리엄 맵 이름) 개미굴 이후 6인 사냥 핫플레이스다.


심 = 홀리 심볼


심마 = 홀리 심볼 마스터


쌀레릭 = 쌀먹 + 클레릭의 합성어로, 쌀먹을 하기 위해 시작한 유저들이 옛날 메이플스토리에서 가장 돈을 쉽게, 많이 벌 수 있었던 직업 클레릭을 대부분 선택하여, 쌀먹 = 클레릭이라는 안 좋은 인식이 생겨 만들어진 단어, 그리고 실제로 쌀레릭은 디코나 고확에서 매우 쉽게 찾아볼 수 있음


쌀먹 = 메소나 아이템을 현금으로 팔아서 얻은 돈으로 쌀을 사먹어 생계를 유지하는 유저를 뜻함



어머 = 메랜에서 시발을 채팅치면 어머로 검열되어 출력되는 것을 반대로 뒤집어, 시발이라고 표현하고 싶을 때 어머라고 말함

ex) 텐시야 어머련아! (시발련아라고 치면 어머로 검열되는걸 아니까 처음부터 어머련아라고 침)


엄, 엄거래 = 현금 거래임


업횟 = 업그레이드 가능 횟수의 줄임말


옛메 = 옛날 메이플의 약어, 메이플스토리의 역사가 오래된 만큼 유저마다 "옛날"의 시점이 달라서 옛날 메이플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면 대충 그 유저의 나이대를 짐작할 수 있음

메이플랜드는 빅뱅 이전 메이플 월드이므로 빅뱅 패치 이전의 메이플스토리를 옛메라고 부름

메랜 유저들의 평균 나이는 30대로 추정됨


5분 경험치 = 사냥터의 경험치를 측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면서 기준의 하나임 

5분동안 타이머를 설정하고 획득한 경험치를 재거나 얻은 오랜 시간동안 경험치를 분단위로 평균을 내어서 5를 곱하여 5분 경험치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음


왕휘 = 왕관을 휘날리며(엘나스 지역 맵 이름)


인교 = 인기도 교환의 줄임말, 가끔 오늘 내가 인기도를 썼는지 안 썼는지 헷갈릴 때가 있는데 이럴때는 먹튀를 당할 위험이 있더라도 내가 먼저 상대를 올린 뒤 인교를 받는게 좋음, 안 그러면 역으로 내가 먹튀범으로 오해받아 난처한 상황이 생길수도 있음



자시 = 자유시장의 줄임말


장공퀘 = 장갑 공격력 주문서를 주는 퀘스트의 줄임말

나만 장공 10% 뜸


전붕이 = 전사 + 붕이의 합성어로, 헤이스트도 없고, 텔포도 없어서 뚜벅뚜벅 걸어 다니는데 공격 사거리는 가장 짧은 전사를 

LOL의 벽을 넘지 못하는 근접 챔피언인 가렌의 별명 가붕이에 빗대어 놀리거 위해 만들어진 단어였지만 지금은 그냥 전사라는 직업을 귀엽게 부르는 말


즐메요,ㅈㅁㅇ = 즐거운 메이플 되세요 / 잠만요 X



차벌 = 차디찬 벌판 (엘나스 맵 이름)



커닝파퀘 = 커닝시티 파티퀘스트의 줄임말



탐 = 타임, 즉 1시간 만큼 사냥하는 것을 횟수로 세어 한 탐, 두 탐이라고 부른다


텐시야 = 어머련




파사쩔 = 파티사냥 쩔의 줄임말

고렙 유저 (주로 프리스트나 용기사)가 저렙 유저와 파티를 맺고 저렙 유저에게 돈을 받으면서 경험치를 올려주는 쩔을 파사쩔이라고 한다.

원래는 저렙 유저는 돈만 내고 잠수를 타도 되는 잠쩔이 가능했었지만 텐시야가 부정적인 플레이 방식이라고 생각해 잠쩔 저격 패치를 하여 경험치는 무조건 같이 사냥을 해야 들어오게 바뀌었다

분명히 둘다 같이 쉬지않고 사냥을 하는데 저렙 유저가 그 레벨대에 갈 수 있는 사냥터보다 경험치가 더 잘오르기 때문에 돈을 요구 당한다고 한다



푱푱이 = 고자본이 아니라면 타직업보다 투자한 메소대비 딜이 나오지 않는 표창 도적을 비꼴때나 그냥 어감이 귀여워서 부르는 말



훈지 = 좋게 말하면 훈훈한 지원, 나쁘게 말하면 구걸이다

근데 옛날 메이플인 메랜에서 폐사하지 않으려면 법사를 키우거나 훈지를 받을 수밖에 없다


헤마 = 헤이스트 마스터



이거보다 훨씬 많은데 힘들어서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