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이론 공부하려는데, 관련해서 검색해봐도 2가 벽이면 1이 안전하다, 3이 벽이면 1,2가 안전하다.. 정도로 두루뭉술한 설명만 있을 뿐 다양한 케이스에 대한 설명을 찾기가 어려워서

한번 직접 만들어봤음


일단 어떤 패가 얼마나 위험한지 측정하려면 위험도를 계산해야 하는데

스지, 벽 이론은 슌쯔에 맞는걸 피하는 이론이기 때문에 단기/샤보 대기에 대한 위험도는 무시하고


변짱에 맞을 수 있는 경우: +1점

간짱에 맞을 수 있는 경우: +2점

양면에 맞을 수 있는 경우: +4점


이렇게 책정했음


예를들어서 스지 14는 슌쯔에 절대 맞지 않기 때문에 위험도 0, 스지 37은 간짱/변짱에 맞기 때문에 위험도 3, 무스지 456은 양면 두쪽과 간짱에 맞기 때문에 위험도가 10으로 책정됨. 

스지만 적용했을 때 패의 위험도는 저 정도 된다. (역에 의한 추가 타격은 무시)

스지는 벽보다 쉬우니까 이 글에서는 딱히 설명하지 않을게. 




그리고 이제 저 위험도 점수를 그대로 벽에 적용해보면


1. 벽이 하나 있을 때



벽 안에 막힌 패가 2개 이하인 경우, 슌쯔에 맞을 가능성은 없음

그리고 벽 밖의 패의 경우에도, 벽 바로 옆은 무스지 1,4와 동일한 위험도를 가짐. 간짱이나 반대쪽 양면에 맞지 않기 때문.

그리고 벽에서 한 칸 떨어진 패는 무스지 2,8과 동일한 위험도를 가짐. 수비할 때 여기까지 내고 싶진 않겠지만.


벽 안에 막힌 패가 3개일때는, 2와 3 (대칭 7과 8)이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간짱/변짱에 맞을 가능성이 있음

5가 벽일때는 3,7이 비교적 안전하지만 간짱과 변짱에 맞을 가능성은 남아있음. 그리고 무스지 4,6이 무스지 1,9와 비슷한 안전도를 가짐


2. 벽이 두 개 있을 때



벽이 두 개 있을 때도 비슷함.

두 벽 사이에 막힌 패가 2개 이하인 경우, 슌쯔에 맞을 가능성은 없음.

막힌 패가 3개일때는, 가운데 패가 비교적 안전함. 간짱에만 맞음.

막힌 패가 4개 이상일 때는 크게 안전해지는 패는 없지만, 벽 바로 옆 패는 무스지 19와, 한 칸 떨어진 패는 무스지 28과 동일한 위험도를 가진다는 걸 알 수 있음.



3. 벽이 하나 있을때 (스지와 결합)



스지 정보까지 추가되면 좀더 많은 안전패를 골라낼 수 있음.


간단히 정리해보면.

벽 바로 옆의 패는 스지까지 겹쳐질 때 안전도가 스지 19와 같고,

벽에서 한 칸 떨어진 패는 스지까지 겹쳐질 때 안전도가 스지 28과 같다는거임.

주의해야할 점은, 벽 반대편 패에 의한 카타스지는 의미가 없다는 것 정도. (예를 들어, 4가 벽일 때 2가 현물이라고 5가 안전하지 않음. 하지만 8이 현물이면 5가 안전해짐)


4. 벽이 두 개 있을 때 (스지와 결합)



벽이 두 개 있을 때도 비슷한데, 일단 벽 사이 간격이 2 이하인 경우에는 안쪽 패가 스지 관련없이 슌쯔에 맞을 일이 없으니까 제외하고

벽 사이 간격이 3 이상일 때, 벽 바로 옆 패는 스지가 겹쳐졌을 때 스지 19, 벽에서 한 칸 떨어진 패는 스지가 겹쳐졌을 때 스지 28과 비슷한 안전도를 가짐.

역시 벽 반대편 패에 의한 카타스지가 의미없다는 것 정도만 외워두면 될 것 같음.




나도 수비이론 배우는 과정이라 완벽하지는 않을 수 있는데, 내가 정리해놓고 실전에서 빠르게 쓸정도로 외워두고 싶어서 만들어봤어.


공략글이라고 써뒀지만. 이제 내가 쓴 글 보고 내가 외우러 가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