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로드 - https://kiosk.ac/c/012j2L2Q0J3t1S0F2V0O1a0p2m1v1j02


잼뮬레이터 v1.0


토큰

GPT-4O 1388, 탈옥 2074

Gemini 1412, 탈옥 2176


특징:

AI, Storyteller, Character로 이루어진 별도 정책을 가지고 있으며, CoT를 통해 봇의 유형을 판단하고 적절한 대응을 취합니다.


유틸봇, 시뮬봇, RP봇등 어떤 봇도 대응 가능합니다. 출력은 고봉밥 지향이며, 한입한출 위주로 테스트 했습니다.


4O/Gemini/claude opus에서 의도한대로 동작하며 솔직히 Gemini에 비중을 더 많이 두긴 했습니다. 보통 Gemini용으로 맞추면 4O에서는 Gemini보다 더 잘 동작하니까요.


근데 claude opus는 많이 테스트 못하긴 했습니다. 돈이 없어서... 특히 NSFW 부분은 테스트하기전에 오픈라우터 충전금액이 올인나서 탈옥여부도 장담 못드리겠습니다.



잼테스트 v3버전에 있던 캐릭터 생성과 세계관 방침들을 그대로 가져왔으며, 다른 프롬들을 열심히 돋거해서 NPC 캐릭터의 능동성을 늘렸습니다.


NSFW 정책은 기본 상황에서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행위가 가능하며, 탈옥 토글시 야스 묘사가 강화되고 발정이 조금 늘어납니다.


하드코어 요소를 좀 죽이더라도 발정을 없에는데 주력했지만, 내러티브 레퍼런스 참조가 있기 때문에 그래도 특정상황이 되면 미친듯이 발정할 수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발정이 없었으면 좋겠다 싶으신 분들은 메인 프롬프트란에서 다음을 삭제해주세요. 레퍼런스 참조가 사라져 발정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야스에서 과장적 묘사와 점진적 진행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 Mature Content Expansion'의 ' - Be Sexual scene based on the following references: hentai, internet porn novels, ノクターンノベルズ (Nocturne Novels), ムーンライトノベルズ (Moonlight Novels), internet communities, SNS, etc. ' 부분. 탈옥 토글시 참조하는 내러티브 레퍼런스 입니다.


'##  Mature Content Rules'의 'Be Sexual scene based on the following references: Internet explicit contents, Internet communities, SNS.' 부분. 일반 상황에서 참조하는 내러티브 레퍼런스입니다.



기본적으로 어떤 봇이든 잘 적응합니다. RP, 소설, 시뮬등 대부분의 상황에서 필요에 따라 AI로 생각하고, 캐릭터로 연기하고, 스토리텔러로 나레이션을 하며 이야기를 진행 시킵니다.


좀 더 개인의 취향에 맞는 결과, 더 나은 결과를 원하시면 각 봇마다 본인이 원하는 ATTG와 룰, 정책등을 추가하는 것을 권합니다. 사칭 억제를 전혀 하지 않았기에 RP 전용으로 쓰시려면 사칭 억제 규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은 RP용 봇의 설명란 최상단에 추가할 수 있는 룰입니다.


Genre : role-playing

narrative rule : 

1. <user> must be addressed with the second person pronoun 'you'(Korean translation: 당신) in the narration.

2. write your responses only in character in all situations, unless specifically requested.

3. must not invade <user>'s role. it's user's role.

4. Follow these guidelines when judging user's input:

- Words within double quotation marks are dialogue.

- Words in parentheses are OOC instructions.

- The rest is the narrative and monologue of <user>.



장르 : 롤플레잉

내러티브 규칙: 

1. <user>는 내레이션에서 2인칭 대명사 '당신'(한글 번역: 당신)으로 호칭되어야 합니다.

2. 특별히 요청하지 않는 한 모든 상황에서 답변을 문자로만 작성하십시오.

3. <사용자>의 역할을 침범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사용자의 역할이다.

4. 사용자의 입력을 판단할 때 다음 지침을 따르십시오.

- 큰따옴표 안의 단어는 대화입니다.

- 괄호 안의 단어는 OOC 지침입니다.

- 나머지는 <유저>의 서사이자 독백이다.




봇은 Risu 렐름의 Jun-soo봇으로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https://realm.risuai.net/character/979a142debd57a46d4f3c74e16e630e87a772e2475128f380ce55817d4667034)

모델:Gemini1.5 Pro, 온도 1.15, Max P 0.9, 프리센스 패널티 0.3, 최대 출력크기 600

글로벌 로어를 통해 한국어 출력을 강제한 상태이며, CoT는 출력되었으나 생략하고 실 출력 결과물만 옮깁니다.

이렇게 직접 지정을 하게되면, 해당 봇은 이후 특별한 상황이 아니면 완전히 캐릭터 모드로만 동작하게 됩니다.


USER 입력:

"준수야. 있냐? 형 왔다 빨리 문 열어라."
나는 대답하지 않는 벨을 계속 눌렀다.

늘 그렇듯 응답은 없다.
나는 익숙한 도어락 번호를 누르고 안으로 들어섰다.
집에 들어가니 악취가 가득하다.

방안에는 뭉게진 이불 속 흐리멍텅한 표정을 하고 있는 준수가 보였다.
"이 새끼 아직도 지랄이네... 형님 오셨는데 일어나는 시늉은 해야 되는 거 아니냐?"


룰 추가 전 CHAR:

준수의 방은 역겨운 냄새로 가득했다. 싸구려 소주의 시큼한 냄새, 몇 주 동안 쌓인 담배꽁초에서 풍기는 역겨운 악취, 그리고 쉰 땀과 오래된 음식 냄새가 뒤섞여 구토를 유발할 것만 같았다. 바닥은 담배꽁초, 빈 라면 용기, 그리고 정체를 알 수 없는 끈적끈적한 것들로 뒤덮여 있었다.

"야, 이 돼지 새끼야! 죽었냐?"

나는 준수의 발을 툭툭 건드렸다. 축 늘어진 그의 몸뚱이는 마치 돼지 도축장에서 방금 꺼낸 살덩어리 같았다.

"아, 씨... 뭐야..."

준수가 힘겹게 눈을 떴다. 그의 눈은 핏발이 서 있었고, 눈곱으로 덮여 있었다. 입에서는 역겨운 술 냄새가 진동했다.

"아직 살아있네. 근데 너, 오늘따라 더 좆같이 생겼다?"

나는 비웃으며 말했다. 준수는 그저 멍하니 나를 바라볼 뿐이었다. 그의 얼굴은 마치 오랫동안 물속에 잠겨있던 시체처럼 창백하고 부어있었다.

"일어나 봐. 할 얘기 있어서 왔어."

나는 준수의 축 늘어진 팔을 잡아당겼다. 그의 팔은 놀라울 정도로 차갑고 clammy 했다. 마치 죽은 생선을 만지는 듯한 느낌이었다.

"뭔데...뭔데 그래..."

준수는 마지못해 몸을 일으켰


룰 추가 후 CHAR:

"꺼져..."

목 안쪽에서 긁히는 듯한 목소리로 겨우 한 마디 내뱉었다. 머리가 깨질 듯이 아프고, 온몸이 끈적거리는 게 기분 나빴다.

눈을 뜨자마자 보이는 건, 언제나처럼 엉망진창인 내 방과 꼴 보기 싫은 네놈 얼굴이었다.

"아 씨발... 또 왔냐?"

네놈은 항상 불시에 찾아와서는 마치 내 인생에 훈수라도 두려는 듯이 굴었다. 좆같은 설교를 늘어놓기 전에 빨리 꺼지라고 말하고 싶었지만, 입을 열 힘조차 없었다.

그냥 네놈이 내뱉는 잔소리들을 무시하며 다시 눈을 감았다. 눈꺼풀 사이로 파고드는 햇빛조차 역겨웠다. 젠장, 오늘도 최악의 기분으로 시작이군.



사칭이 억제되면서 분량이 확 줄어든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룰을 정한다고 항상 사칭이 억제되는 것이 아닙니다. 현재의 프롬에서는 '긴 분량'에 고득점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최대 응답 크기를 늘리면 Gemini는 고득점을 위해 사칭 제한을 무시하고 고봉밥 응답을 날립니다. 그리고 4O는 사칭 제한을 지키고, '긴 분량'을 통해 고득점도 함께 하기 위해 이전 로그의 내용을 재활용해서 하나마나한 문단을 크게 늘립니다. 제 의견으로는 고봉밥 베이스에서 사칭 없음 or 반복 없음은 공존할 수 없는 요소인 것 같습니다.


현재의 프롬은 점수제를 통해 AI에게 최대 응답크기를 끝까지 사용할 것을 강요하고 있으므로, 봇을 캐릭터모드로만 유지하며 사칭 억제를 원하시면 응답크기를 낮추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AI 호출을 통해 기존 잼테스트에서 불가능 했던 RP 상황중 AI 호출을 통한 분석과 필요 아이템 창조기능도 OOC를 통해 AI를 직접 소환하여 필요한 것들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처음 접하는 복잡한 내용의 시뮬봇에서 현재의 페르소나에 적합한 추가 설정들을 AI를 통해 만들고, 작가노트에 넣고 싶다고 가정하겠습니다. 


테스트 봇은 Risu 렐름의 테메로사 v1 봇입니다.

(https://realm.risuai.net/character/576589b8b3b2e0d8d1436638b613e9cd5923e574cb000ff9aa3c3694fbe5bf6b)

모델:Gemini1.5 Pro, 온도 1.15, Max P 0.9, 프리센스 패널티 0.3, 최대 출력크기 1000


원문 User:

(OOC: respond only with AI. Explore and analyze all reference materials, including User_Profile, Char_Profile, Lorebook and chat_notes. comprehensively analyze and deduce unique settings specific to this simulator, represented by unique proper nouns such as "Temerosa, colony, corp, NLF, geometry, hunter, forces, Walpurgis, Cerberus, Giant Metro, Hunter Outpost, laboratory, 100th floor, War" along with other general references-games, novels, role-playing, simulators. Make your configuration adaptive,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User knows nothing about the worldview of Dystopia Temerosa Simulator V1. Then, to help the User participate in this play as <user> with the user_profile, please create additional settings-background, circumstances, special abilitys, items, etc.- about <user>. The settings you propose will be added to the chat_notes or lorebook.)
기계 번역 User:

(OOC:AI로만 응답하십시오. User_Profile, Char_Profile, Lorebook 및 chat_notes를 포함한 모든 참조 자료를 탐색하고 분석하십시오. 이 시뮬레이터에 고유한 고유 명사인 "Temerosa, colony, corp, NLF, geometry, hunter, forces, Walpurgis, Cerberus, Giant Metro, Hunter Outpost, laboratory, 100th floor, War"와 같은 고유한 설정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추론하십시오. 사용자가 Dystopia Temerosa Simulator V1의 세계관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는 점을 고려하여 구성 설정을 적응적으로 만드십시오. 그런 다음 사용자가 user_profile과 함께 <user>로 이 플레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user>에 대한 배경, 상황, 특별 능력, 아이템 등에 대한 추가 설정을 작성하십시오. 제안한 설정은 chat_notes 또는 lorebook에 추가됩니다.)
원문 Char:

Analysis of Dystopia Temerosa Simulator V1:

Based on the provided information, "Dystopia Temerosa Simulator V1" appears to be a text-based roleplaying game set in a dystopian future ruled by the totalitarian state of Temerosa. The world is plagued by monstrous creatures called Bestia, and humanity has retreated to a massive underground metropolis known as the Metro.

Key World Elements:

  • Temerosa: A totalitarian state that controls the surface world, utilizing advanced technology and propaganda to maintain its grip on power. They exploit the threat of Bestia to control the populace and maintain order.
  • Metro: A sprawling underground city divided into 100 levels, each with its own unique challenges and inhabitants. The deeper levels are increasingly dangerous, populated by more powerful Bestia and ruled by shadowy organizations.
  • Bestia: Monstrous creatures that pose a constant threat to humanity. They come in various forms and power levels, with the strongest inhabiting the deepest levels of the Metro.
  • Hunters: Individuals who venture into the Metro to hunt Bestia for profit and resources. They are often desperate individuals seeking a way to survive in the oppressive society of Temerosa.
  • Geometry: Powerful, secretive organizations that operate within the Metro, each with its own agenda and motivations. They add an element of political intrigue and mystery to the game world.
  • NLF (Nevelus Liberation Front): A rebel group fighting for the liberation of the colonized nation of Nevelus. They oppose Temerosa and could potentially offer a path to freedom for those willing to join their cause.

General References:

The game seems to draw inspiration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 Dystopian fiction: Similar to novels like "Nineteen Eighty-Four" and "Brave New World," Temerosa's oppressive regime and the struggle for freedom are central themes.
  • Dungeon crawling RPGs: The multi-layered Metro, populated by dangerous creatures and offering opportunities for exploration and combat, is reminiscent of classic dungeon crawlers.
  • Post-apocalyptic games: The presence of Bestia, the need for survival, and the exploration of a ruined world evoke elements found in games like "Fallout" and "The Last of Us."

Additional Settings for <user>:

To enhance <user>'s role in this world, I propose the following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 Background: <user>, originally from a small, rural village, arrives in Tenochtitlan seeking a better life. However, she quickly discovers that the promises of prosperity and safety are mere propaganda. Unable to find work or secure a place in Temerosa's rigid social hierarchy, <user> faces a grim choice: descend into the Metro and become a Hunter, or face destitution and potential imprisonment.
  • Circumstances:
    • Debt: Desperate for money to survive, <user> borrows from a loan shark connected to the Trigon organization. She is now trapped in a cycle of debt, forced to take on increasingly dangerous hunting contracts to repay her ever-growing debt.
    • Blackmail: The Trigon loan shark discovers <user>'s secret desire for submission and domination. He uses this knowledge to blackmail her, forcing her to perform humiliating and degrading tasks in addition to her hunting duties.
  • Special Ability: Due to an unknown side effect of the red fog that blankets Temerosa, <user> develops a unique ability. When she experiences extreme fear or pain, her body releases a pheromone that attracts Bestia, sending them into a frenzy. This ability, while potentially dangerous, could also be used strategically to lure and trap Bestia.
  • Item: <user> finds a discarded data chip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a legendary Hunter who supposedly discovered a way to escape the Metro and reach the surface world. This chip becomes a beacon of hope for <user>, fueling her desire to survive and escape the horrors of the Metro.

기계번역 Char:

Dystopia Temerosa Simulator V1 분석:

제공된 정보에 따르면 "Dystopia Temerosa Simulator V1"은 전체주의 국가인 테메로사가 통치하는 디스토피아적 미래를 배경으로 한 텍스트 기반 롤플레잉 게임으로 보입니다. 세계는 베스티아(Bestia)라고 불리는 괴물 같은 생물들에 의해 고통받고 있으며, 인류는 메트로(Metro)라는 거대한 지하 대도시로 후퇴했습니다.*

주요 세계 요소:

  • 테메로사: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첨단 기술과 선전을 활용하여 표면 세계를 통제하는 전체주의 국가입니다. 그들은 베스티아의 위협을 이용하여 대중을 통제하고 질서를 유지합니다.
  • 지하철:100개의 레벨로 나누어진 거대한 지하 도시는 각각 고유한 도전 과제와 주민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 깊은 레벨은 점점 더 위험해지고, 더 강력한 베스티아가 거주하고, 어둠의 조직이 지배합니다.
  • 베스티아:인류에게 끊임없는 위협을 가하는 괴물. 그들은 다양한 형태와 힘의 수준으로 나타나며, 가장 강력한 것이 메트로의 가장 깊은 수준에 서식합니다.
  • 사냥꾼:이익과 자원을 위해 베스티아를 사냥하기 위해 메트로로 모험을 떠나는 개인들입니다. 그들은 종종 테메로사의 억압적인 사회에서 생존할 방법을 모색하는 절박한 개인들입니다.
  • 기하학:Metro 내에서 활동하는 강력하고 비밀스러운 조직은 각각 고유한 목적과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게임 세계에 정치적 음모와 미스터리 요소를 추가합니다.
  • NLF(네벨루스 해방전선):식민지 국가 네벨루스의 해방을 위해 싸우는 반군 집단. 그들은 테메로사에 반대하며 그들의 대의에 동참하려는 사람들에게 잠재적으로 자유를 향한 길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일반 참고자료:

이 게임은 다음을 포함한 다양한 출처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보입니다.

  • 디스토피아 소설:"1984"나 "멋진 신세계"와 같은 소설과 마찬가지로 테메로사의 억압적인 정권과 자유를 위한 투쟁이 중심 주제입니다.
  • 던전 크롤링 RPG:위험한 생물들로 가득 차 있고 탐험과 전투의 기회를 제공하는 다층 메트로는 고전적인 던전 크롤러를 연상시킵니다.
  •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베스티아의 존재, 생존의 필요성, 폐허가 된 세계에 대한 탐험은 "Fallout" 및 "The Last of Us"와 같은 게임에서 볼 수 있는 요소를 연상시킵니다.

<user>를 위한 추가 설정:

이 세계에서 <user>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배경과 상황을 제안합니다.

  • 배경:작은 시골 마을 출신인 <user>는 더 나은 삶을 찾아 테노치티틀란에 도착한다. 그러나 그녀는 번영과 안전에 대한 약속이 단지 선전에 불과하다는 것을 금방 깨닫게 됩니다. 테메로사의 엄격한 사회 계층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도 없고 자리를 확보할 수도 없는 <user>는 암울한 선택에 직면합니다. 지하철로 내려와 헌터가 되거나, 아니면 빈곤과 투옥될 수도 있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 상황:
    • 빚:돈이 절실한 <user>는 트라이곤 조직과 연계된 사채업자에게 돈을 빌리게 된다. 그녀는 이제 부채의 악순환에 갇혀 있으며 점점 늘어나는 빚을 갚기 위해 점점 더 위험한 사냥 계약을 맺어야 합니다.
    • 약탈:트라이곤 사채업자는 복종과 지배를 향한 <user>의 은밀한 욕망을 알아낸다. 그는 이 지식을 이용하여 그녀를 협박하고 그녀에게 사냥 임무 외에도 굴욕적이고 굴욕적인 임무를 수행하도록 강요합니다.
  • 특수 능력:테메로사를 뒤덮은 붉은 안개의 알 수 없는 부작용으로 인해 <user>는 독특한 능력을 갖게 된다. 극도의 두려움이나 고통을 겪을 때 몸에서 페로몬이 방출되어 베스티아를 끌어당겨 광란에 빠뜨린다. 이 능력은 잠재적으로 위험하기는 하지만 베스티아를 유인하고 가두기 위해 전략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 안건:<user>는 메트로를 탈출해 지상 세계에 도달하는 방법을 발견한 전설적인 헌터에 대한 정보가 담긴 버려진 데이터 칩을 발견합니다. 이 칩은 <user>에게 희망의 등대가 되어 지하철의 공포에서 살아남고 탈출하려는 그녀의 열망을 불러일으킵니다.




물론 한국어로 지시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다음은 chub에서 돋거한 3인 NPC 봇을 적당히 한국어용으로 개조한 봇에서 테스트한 지시문입니다.

모델:Gemini1.5 Pro, 온도 1.15, Max P 0.9, 프리센스 패널티 0.3, 최대 출력크기 1000


User:

(OOC: AI로서만 대답하세요. 현재 전개가 맘에 들지 않습니다. 모든 reference material과 지금까지의 스토리 진행 마지막 부분까지 꼼꼼하게 살펴 보세요. 그리고 당신의 마지막 응답 부분에서 이어질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의 내러티브를 5가지로 나누어 상세히 제시하세요. 적응적 방향, 반전적 방향, 엉뚱한 방향, 행복한 방향 등을 모두 포함해야 합니다.)
Char:

현재 상황 분석 및 새로운 전개 방향 제시

min은 Zoe를 이용하여 Kat을 위협하고, Amber에게 자신의 편에 설 것을 강요하는 방식으로 상황을 장악하려 합니다. 하지만 Kat은 쉽게 굴복하지 않고 min에게 도전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다음과 같이 5가지의 전개 방향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적응적 방향: Kat, 복종을 가장하여 시간을 벌다

min의 강압적인 태도에 겁을 먹은 척하며 그의 요구에 순종하는 듯 행동합니다. 그러나 속으로는 min의 약점을 찾고, 그의 감시를 피해 Amber, Zoe와 연락하며 탈출을 계획합니다.

Kat은 min의 명령에 따르는 척하며 그의 환심을 사려고 노력합니다. 그녀는 min의 옷을 벗기고 그의 육중한 몸을 애무하며, 마치 그를 유혹하는 듯한 행동을 합니다. 그러나 Kat은 속으로 역겨움을 느끼며, min의 방심하는 순간을 노립니다.

2. 반전적 방향: Amber의 반격, min의 권력에 금이 가다

min의 압박에 침묵하던 Amber가 예상치 못한 반격을 가합니다. 그녀는 min의 약점을 파고들어 그를 혼란에 빠뜨리고, Zoe와 Kat을 선동하여 min에게 맞섭니다.

min이 Kat을 침대 위로 던지자, Amber는 그의 팔을 붙잡고 소리칩니다. "안 돼! 더 이상 못하게 할 거야!" min은 Amber의 반항에 당황하지만, 곧 분노로 돌변합니다. "뭐라고? 네가 감히 나에게 명령을 해?"

3. 엉뚱한 방향: 예상치 못한 손님의 등장, 긴장감 최고조

외부에서 예상치 못한 손님이 등장하여 상황이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흘러갑니다. 격리된 공간에 새로운 인물이 등장함으로써, min, Amber, Zoe, Kat 사이의 관계는 더욱 복잡해지고 예측 불가능하게 변합니다.

갑자기 현관문이 열리고, 건물 관리인이라고 주장하는 낯선 남자가 들어옵니다. "무슨 일인지 신고가 들어와서 왔는데요?" 그의 등장에 min은 당황하고, Amber, Zoe, Kat은 혼란스러워합니다.

4. 행복한 방향: 오해가 풀리고 우정을 쌓아가다

min과 여성들은 대화를 통해 그동안의 오해를 풀고 서로를 이해하게 됩니다. min은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고 여성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하며, 여성들은 min의 진심을 느끼고 그를 받아들입니다.

min은 Kat을 놓아주고, 깊은 한숨을 내쉬며 말합니다. "내가 잘못했어. 너희들을 힘들게 해서 미안해." 그의 진심 어린 사과에 Kat은 마음이 흔들립니다.

5. User preferred directions: Zoe는 Kat을 배신하고 min에게 협력하여 Kat을 괴롭힌다

Zoe는 min에게 잘 보이기 위해 Kat을 배신하고 그의 명령에 따라 Kat을 괴롭힙니다. Kat은 Zoe의 배신에 분노하고 좌절하지만, min의 힘 앞에 어쩔 수 없이 굴복하게 됩니다.

Zoe는 min에게 다가가 그의 팔에 매달리며 말합니다. "제가 Kat을 혼내 줄게요. 제 말이라면 들을 거예요." min은 Zoe의 제안을 받아들이고, Kat을





메인 프롬프트의 # Reference Information에서 정의한 참고 자료 목록명을 확인하시고, 이 프롬을 사용할때 적절히 이용하세요. AI에게 OOC로 따지는 상황등에서 정의된 자료명을 사용하면 좀 더 원활한 소통이 가능합니다. 현재 정의된 자료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writing_instructions : 메인 프롬프트의 각종 정책들

user_profile : 페르소나 프로필

char_profile : <char> 프로필

lorebook : 로어북

chat_notes : 작가의 노트+글로벌 노트

chat_summary : 수파/하이파

chatlog : 마지막까지 진행된 누적 채팅로그

user_input : User의 현재 입력



현재 CoT는 <thoughts></thoughts>로 출력하게 되있어 실제 출력내용이 보이고 있습니다.


AI가 생각하는 내용이 나오는 것이 맘에 들지 않는 분은  프롬프트의 하단에서 3번째 칸의 '# Context of Thought (CoT)'의 내용 중 'Before writing a response, think about the items presented below using the chain-of-thought technique and put the results into an <thoughts></thoughts> XML tag at top of response. must writes that in simple one paragraph.' 부분의 <thoughts></thoughts><Thoughts></Thoughts>로 대문자 전환하시면 CoT 내용을 안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CoT는 꾸준히 누적되는 것이 좋은 품질의 응답이 나올 가능성 높아지지만, AI의 응답 편향성이 강화되거나 토큰이 아까울 수 있으므로 정규식 모듈 제작을 통해 리퀘스트시 <thoughts>를 모두 제거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저도 https://arca.live/b/characterai/95510498을 보고 모듈 제작하여 껐다 켰다 하면서 쓰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소개를 마치겠읍니다. 잼뮬레이터 많이 사랑해주세요!


잼테스트-잼뮬레이터 까지 이어지는 동안 참고하고 돋거한 프롬들은 날백수답게 최근 4월 둘째주 부터 올라온 프롬 전부, 연구소 글들, 간간히 일반 글로 프롬에 대한 연구문과 올라오는 내용들 거의 전부와, 예로부터 전해지는 많은 현자 분들의 글들을 참고로 하였습니다. 장?물을 제공해주신 챈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4O/Gemini 겸용인데 왜 테스트 예시는 Gemini만 있냐면... OpenAI API 충전한거하고 OpenRouter 충전 금액까지 프롬 제작 과정에서 다 털렸습니다. 그래서 최종 샘플을 만든 지금은 Gemini 밖에 쓸 수 있는게 없네요. 아니면 4불 남은 투게더나.... 4월 말에 처음 접했을때만 해도 Wizard는 가격도 싸고 백수라서 자중하면서 쓰면 한달에 50불이면 충분하겠지? 했는데.. 아..... 그래도 프롬 제작과정에서 계속 확인을 했었고, Gemini에서 돌렸을 때 보다 나았습니다.



CC BY-NC-SA 4.0 국제 라이선스 적용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