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에 도움이 되는 정보는 아니지만

세계관과 스토리가 탄탄한 사이버펑크 게임이니 만큼

그냥 재미로 읽기에는 충분히 흥미롭고 재미있는 이야기가 될거같아 작성합니다.


우선 사이버 펑크 세계관속 대한민국은 1990년 주한 미군이 철수, 제2차 한국전쟁이 발발,

6년동안의 전쟁 끝에 남한의 이용운 장군이 아라사카의 도움을 받아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고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여 통일 한국을 세웠습니다.

그 후 통일한국은 이용운 대통령 테러로 사망, 4차 기업전쟁 등등 여러 사건을 겪습니다.

( 주제가 통일한국이 아닌만큼 뒤에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찾아보셔도 좋습니다. )


아무튼 사펑의 통일한국은 아라사카리테만큼 작중에서 비중있는 메가코프는 안나오지만

통일한국이 충분히 강대국으로 그려지기에 통일한국의 메가코프도 당연히 존재합니다.







첫번째로 통일한국의 메가코프는 다들 익숙하실 '서초 일렉트로닉스' 입니다.


서초 일렉트로닉스는 전세계 70위 안에 들어가는 메가코프입니다.

나이트시티 안에도 지사가 존재하는 만큼 다른 통일한국의 메가코프보다 영향력이 크고

인게임 안에서 다양한 전자제품에 로고가 박혀있는것으로 보아

실생활에 쓰이는 여러 가전제품을 제작하는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 플레이와는 사이버덱 (2.0 패치 이후로는 이마저도 삭제) 외에는 큰 접점이 없는데,

전투용보단 가전제품을 생산하는데 초점을 두고 사업을 진행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여담으로 모티브가 된 기업은 삼성전자로 보입니다. ( 삼성그룹의 과거 본사가 서초구에 있었음 )






두번째로는 나이트 시티 광고판에서 보이는 '샌드블라스트 화장품' 입니다.


샌드블라스트 화장품은 사이버웨어에 셀프로 서멀 페이스트를 바를 수 있는 제품을 판매하는 것 으로 보입니다.

게임을 플레이하다보면 나이트시티 내 간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홍보물의 3개월 품질 보증이 눈에 띄고 한글로만 되어있는 간판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해당 사진의 인물은 인게임 광고에 모델이 된 성우겸 스트리머 'Emme Montgomery' )


세번째로는 다들 익숙하실 '두한이네 4유로달러 버거샵' 입니다.


나이트시티 곳곳에 존재하는 버거 프렌차이즈 입니다.

모티브는 뭔지 다들 아시죠?

가격이 4유로달러면 자판기 음료가 1유로달러 길거리 맥주가 3유로달러이니

세계관에 맞게 패티가 실제 고기는 아닐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은 인게임에서는 등장하지 않지만 원작 사이버펑크 2020에서 등장하는 통일한국의 메가코프입니다.


'성안산업'

성안산업은 '손은숙' 이라는 젊은 여성 CEO가 운영하는 무기 및 차량 제조기업입니다.

아라사카와 밀리테크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통일한국 내에서도 군대와 정치권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통일한국의 1위 기업이며 성별, 계층, 국적, 나이 상관없이 능력만 있으면 누구나 받아들여지는 진보적인 기업입니다.

성안산업의 마케팅은 매우 급진적이며 자국 비판적인 내용이 많습니다.





'탄손그룹' 


탄손그룹은 '전중일' 이라는 고령의 CEO가 운영하는 기업으로 성안과 마찬가지로

무기 및 차량이 주 분야지만 여러분야의 사업으로도 펼치고있는 메가코프입니다.

성안과는 달리 매우 보수적이며 통일한국의 기득권 세력인 신양반 세력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문어발식 사업확장과 적대적 인수가 큰 특징이며 통일 한국의 전통을 깬다며 성안산업과 CEO인 손은숙을 매우 혐오하고

개인적으로는 아라사카의 CEO 아라사카 사부로도 매우 혐오합니다. 항간에는 전중일의 집안이 일제강점기 시절 

아라사카 가문의 하인이였다는 카더라가 있지만 탄손과 아라사카 양측다 어떠한 의견도 내지 않고 있습니다.




이렇게 사이버 펑크 세계관속 통일한국의 메가코프를 설명해봤는데

확실히 사펑의 매력은 재미와 화려한 그래픽도 있지만 게임의 배경이 되는 

세계관과 스토리도 탄탄하여 더 매력있는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