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용


당근당근당근당근당근당근당근당근당근당근당근당근

수줍어하는 모습 너무 너무 귀엽다

모든 의견은 제 뇌피셜입니다.
더 좋은 의견 있으면 댓글 달아주면 수정함, 가르쳐주면 나야 좋지
반박시 네 말 충분히 소중하니까 해주면 좋음
주저리주저리 막 쓰느라 내용이 알차지도 않고, 잡내용도 많음, 가독성 다소 낮음 주의



목차 

1. 조합 설명

2. 전투 기본

3. 전투 심화

4. 단근 딜사이클
5. 단근 세팅(에코, 무기 스킬(짧))





1. 당근의 조합을 알아보자

 + 서포터(벨리나, 설지)

1. 숙련자용 : 단근 + 모르테피 + 힐러
왜 모르테피인가?
모르테피의 퇴장 : 반주스킬(강공 38% 증가)이 단근의 강공격(공명회로)와 궁합이 굉장히 좋습니다.
모르테피의 궁극기 사용 시에, 파티 캐릭터가 일반 공격 시 추가타를 발사하는데, 평타 비중이 높은 단근에게 잘 어울립니다.
모르테피 1돌 시에는, 일반공격 이외에도 E(공명스킬)에도 추가타를 발사합니다, 4돌은 지속시간이 7초 늘어나 딜비중이 크게 늘어납니다. GOAT

왜 숙련자용인가?
힐러의 존재 이유는 힐이 아니라, 벨리나와 설지가 가진 퇴장 : 반주 스킬(피증 15%) 때문입니다.
벨리나의 경우 고유 스킬(자연의 선물) 해금 시에 파티 공격력 20% 증가가 있기 때문에 설지와의 차이점이 보입니다.
힐러의 힐도 물론 도움이 되지만, 단근의 경우에는 강공격 이전에는 피가 지속적으로 깎이는 매커니즘으로 체력이 대체로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힐의 의미가 사라질 만큼 한 방에 힘없이 죽을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 초보자용 조합에서는 감심 혹은 도기를 사용합니다. 모르테피 서브딜이 높기 때문에 회피와 패링에 자신이 있다면 해당 조합이 굉장히 좋습니다.

2. 초보자용 :

 

단근 + 감심(도기) + 힐러(설지벨리나)

단근 + 투힐러

감심은 쉴드를 제공, 도기는 피해감소 15% 3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힐러와 같이 채용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조합입니다.
안정성이 낮은 단근의 단점을 해결해주면서도, 감심의 퇴장 : 반주스킬인 공명해방(궁극기) 피해증가 또한 단근에게 도움이 됩니다.

도기의 경우에도 감심의 E(공명스킬) 데미지를 증가시켜주고, 피해감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4성임에도 안정성을 많이 높여줍니다. 세팅이 쉬운 도기의 경우 공명해방(궁) 데미지로 서브딜 역할도 해낼 수 있습니다.

쌍힐러의 경우 감심이나 도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단근에게 안정성을 제공 할 수 있는 투힐러 조합도 사용 할 수는 있지만,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3. 연구중
방랑자(인멸) + 단근(공명해방 세팅) + 힐러
단근의 퇴장 : 반주스킬(인멸피해 23% 증가)와 궁데미지 서브딜러로 활용하는 파티 현재 연구중

4. 그 외 조합들



2. 전투 기본
기본적인 딜사이클 순서입니다.
힐러 -> 모르테피 -> 단근
힐러 -> 쉴드 -> 딜러
와 같이 두 파티 모두 동일하게 힐러, 서브, 딜러 순으로 진행합니다.
다만 모든 파티가 이런 방법으로 고정되지는 않습니다.
강공위주로 딜을 넣는 감심 메인딜의 경우 벨리나에게 궁극기 데미지를 넣어주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감심 -> 벨리나 -> 서브딜 -> 감심 순으로 돌기도 합니다.



3. 전투 심화
힐러 -> 서브 -> 단근
순서는 알겠지만 막상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를 수 있기 때문에 하나하나 다 알려주도록 하겠습니다.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글이 될 수 있습니다.

제가 쓰는 조합인 [단근, 모르테피, 벨리나] 파티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딜사이클에 진입하기 전에 파티원의 게이지 관리를 해야합니다.
이러한 예열 단계를 거치는 이유는, 그로기 딜각, 모르테피의 짧은 서브딜 지속시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함입니다.
공통적으로 지켜야 할 것은 협주게이지를 가득 채우지 말아야 합니다.
딜사이클에서 변주 반주 효과가 데미지의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딜사이클 전에 발동시키면 협주게이지를 다 써버려 원할때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열단계
1. 단근 평평EE를 통해 단화, 협주게이지, 공명에너지를 반정도 채워줍니다.
2. 모르테피 E평평평E를 통해 E를 두번 발사합니다.

전투 단계
1.  벨리나로 교체, 벨리나 E, 에코스킬, 궁극기 사용 후 협주게이지 가득 찬 거 확인하고 모르테피로 교체
벨리나가 E사용 혹은 평타 다섯번을 치면 광합성 에너지가 차게 되는데, 강공격을 하면 게이지를 소모하여 파티원의 피를 채워줍니다. 단근의 안정성이 올라갑니다. 
2. 모르테피 에코 스킬 시전(캔슬), 궁극기 사용후 단근으로 교대합니다.
3. 단근의 온필드 딜링이 시작됩니다.

4. 단근 딜사이클
예열, 벨리나, 모르테피의 공명폭발을 발동시켰기 때문에 적 또한 그로기 게이지가 어느정도 까져있기 때문에,
단근의 딜사이클 중 그로기 진입을 할 확률이 높습니다.

위의 단근 예열단계에서, 평평EE, 평평평EEE를 썼기 때문에 게이지가 반 채워져있는 상태입니다.
단근으로 교대 후 곧바로 EE, 평평평EEE 사용하여 게이지를 풀로 채워줍니다.

무명자 에코를 사용한다면, 지정불가 상태로 딜과 무력화를 진행 할 수 있고,
크라운리스 에코를 사용한다면 안전한 타이밍에 무력화 직전 사용하여 딜타임의 딜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인멸피해증가)

그로기 직전 혹은 그로기중일때, 크라운리스 에코(인멸피해증가)로 콤보를 시작해, 강공격을 통해 게이지를 소모하고, 다시 평평EE, 평평평EEE를 통해 게이지를 채워줍니다. 이후 그로기가 풀릴 때, 다시 강공격을 하고 마무리로 궁극기를 사용해줍니다.

Q. 궁극기를 미리 쓰면, 딜타임이 끝날 때 궁극기가 어느정도 차지 않나요?
A. 맞는데, 딜타임 드가기 전에 스택관리로 어짜피 또 찹니다. 하나의 딜사이클에 두번의 궁극기를 써 본 적도 없고, 딜증가 버프가 끝날 것 같아서 별로인 것 같은데, 그게 더 좋거나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간단 정리 
에코스킬(크라운리스) -> 풀게이지 강공 -> 그로기중 스택 쌓고 강공(풀게이지 가능하면 좋음) -> 이후 궁극기 
그로기 풀린 직후에도 패턴 시작까지의 잠깐 시간이 있어서 강공쓰고, 궁극기 사용하면 안전하게 딜 넣고 교대 가능
무명자 에코의 경우 회피+무력화+딜 용도로 쓰시면 됩니다.

진짜 딜사이클 간단 정리
평평EE or 교대(변주)EE or 회피반격EE + 평평평EEE 반게이지 강공 or 반게이지 한 번 더 쌓아서 풀게이지 강공

5. 단근 세팅


에코

기본적으로 인멸 5세트를 착용하게 됩니다.


에코는 무망자 혹은 크라운리스를 착용합니다.

좌 크라운리스     우 무망자(맵 우측 상단 주간보스, 1장 6막 이후 가능할거임)


크라운리스

장점 : 인멸피해 증가로 높은 딜 고점

단점 : 시전중 피격 가능(단근 물몸이라 훅가요 ㄹㅇ)


무망자
장점 : 시전 중 지정불가, 높은 피해 및 높은 무력수치, 넓은 범위, 회피기
단점 : 인멸피해증가가 없다는 것 말고는 모르겠음

저는 필드 또한 많이 돌아다니고, 특정 보스 패턴의 경우 회피나 패링이 불가능한, 맞을 수 밖에 없는 것도 있기 때문에 무망자를 많이 좋아하는 편, 딜 고점은 크라운리스가 더 높습니다. 취향껏 선택


에코 부옵션으로는
1. 크리티컬 피해
2. 크리티컬 (총 확률 85% 넘기지 말것, 5돌파 옵션 중 조건부 크리15% 옵션이 있습니다.)
3. 인멸피해
4. 공격력
추천합니다.

나머지 네 칸은 아무거나 인멸세트로 넣어주세요

무기
가지고 있는 칼 아무거나 쓰세요 (공명 부옵 무기만 쓰지마세요)
크리티컬 확률 무기+공격력을 제공하는 상시 직검도 괜찮습니다.
다만 필수 수준은 아니라, 공격력 부옵 칼이나 뭐든 아무거나 쓰세요
공명 부옵 무기만 안 쓰면 됩니다.

아래 예시


스킬
딜 비중이 고루 분포되어 있는 메인딜 단근의 특성 상 고루 올려주세요
서브딜 공명해방 단근으로 사용 할 경우에는, 변주스킬과 공명해방 스킬만 올려도 됩니다.


전투영상은 찍었는데 저장이 안 되어서 나중에 비경 36별 뚫으면 올려보도록 함
긴 글 읽느라 고생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