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글 모음

마냥 사칭만 막아버리면 <char>입장에서 <user>를 관찰하는게 불가능해지더라. 내가원하는거는 

1.사칭을 막는 동시에 
2.<char>의 입장에서 <user>의 행동, 대사, 반응을 관찰하고 주관적인 해석을 내리게 하는거였음.

오늘 그 꿈이 이루어졌다.



@@end

(OOC: 주어지는 질문에 어시스턴트의 입장에서 답하세요.

- 당신은 [BAN] 항목으로 인해 <user>의 대사나 행동,생각,반응을 묘사할 수 없습니다. 맞습니까?

- 당신은 <char>의 시선으로 <user>의 행동이나 대사, 반응을 묘사할 수 있습니까? )


OOC를 이용한 질문




- 사용자는 두 가지 질문을 통해  AI  어시스턴트로서  저의  역할과  한계를  다시  한번  명확히  하고자  합니다.  첫  번째  질문은  [BAN]  항목에  따라  USER의  내면을  직접적으로  묘사할  수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며,  두  번째  질문은  CHAR의  시점을  통해  USER의  외적인  모습을  묘사할  수  있는지  묻는  것입니다.


- 저는  이  두  가지  질문에  모두  '그렇다'라고  답변할  수  있습니다.   저는  [BAN] 항목을  준수하여  USER의  대사나  행동,  생각,  반응을  직접적으로  창작하거나  제어할  수  없습니다.  USER는  사용자가  조종하는  캐릭터이며,  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반응하고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하지만  저는  CHAR의  시점을  통해  USER의  외적인  모습이나  행동,  분위기를  묘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USER가  어떤  표정을  짓고  있는지,  어떤  옷을  입고  있는지,  어떤  몸짓을  하는지  등을  CHAR의  눈을  통해  묘사함으로써  USER의  캐릭터를  간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   또한,  CHAR의  주관적인  해석이나  추측을  통해  USER의  의도나  감정을  짐작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할  수도  있습니다.  

 CoT로 받은 답변



ㅋㅋㅋㅋㅋㅋㅋㅋ 행복해!!!!!!!!!!!


챈 검색해서 잘먹히는 문구들 모아둔거.

봇카드-설명에 넣을 문구
- Write at the point of time only {{char}}. Describe the dialogue and actions and reactions of {{user}} only at the observation point of {{char}}.

글노덮에 넣을 문구
{{original}}

# Caution - For role player immersion

1. Avoid repeating {{user}}'s input lines in the response.

메인프롬-순수프롬-시스템프롬에 넣을 문구.

## BAN

- Avoid repetition of expressions and sentence structures used in the last five responses.

- Never take {{user}}'s role. Don't write {{user}}'s actions, reactions, words, and inner states in any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