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린드가 파티원 없는 단독 기준 별자리 딜상승 효율이 명함 대비 6돌이 계산방식에 따라 

280~290%까지도 되는 걸로 알고 있음


다만 보통 증폭 원소반응을 쓰는 캐릭 기준으론 공뻥 등 파티원 버프 그리고 원소반응이 끼얹어지는 순간

돌파 대비 (파티원 버프랑 원소반응이 있는 기준) 딜 상승량은 절대 단독 기준만큼 안나오는 걸로 알고 있고,

라이오슬리가 바로 그 대표적인 예시로 알고 있음 (신학 6돌기준 라슬 1돌1재 -> 6돌5재 효율이 약 140~150%)


그런데 Optimizer로 클로린드 딜량 시뮬레이션을 해본 결과

클로린드는 별자리 돌파 대비 (파티원 버프+원소반응이 있는 기준) 딜 상승량이 1인 단독 기준 dps 상승량이랑 거의 비등함을 알 수 있었음


흥미로워서 실험 결과를 아래에 가져왔음





Optimizer에서 실험을 했던 파티 빌드는 클로린드가 명함이든 6돌이든 클피(종탄)나(2돌)(드슬)카(서약+2돌)를 가정했고

(실전 기준 명함 클로린드가 클피나카를 쓰는건 좀 빡셀 수 있기에 나히다 대신 백출 키라라같은 보호적인 캐릭터를 가져갈 꺼라 생각하면 명함 클로린드한테 유리한 가정)


클로린드는 치명위주 유효옵 25옵 정도의 적당한 종결 공상4셋을 착용했다 가정하였고, 파티원에게서 받는 버프는 이렇게 가정하였음:

천암+청록+카즈하Q 2돌옵(원마200),

서약5재+종탄5재+드슬에 (즉 서약5재랑 종탄5재의 공뻥 40%는 1회만 적용, 원마 200+평타 피증 32%는 중복 적용)

카즈하 피증 및 2돌이상 나히다의 e스캔으로 방깎을 가정 (나히다는 Q는 미사용)


사이클은 명함 5재 클로린드 (특성레벨 1/10/10)든 풀돌풀재 클로린드 (특성레벨 1/13/13)이든 공통으로 선E 후Q를 가정했고

테섭에서 핑 200이상일 시 선E하면 6E가 되는지 여부가 오락가락이라 하였기에

보수적으로 5N3E + N3 (즉 E는 6번 다 못친다고 가정함) + Q을 가정하였음


계산 편의성을 위해 클로린드의 전무옵 그리고 공상4셋옵은 처음부터 켜져있다고 가정했음



풀돌풀재 클로린드 기준 Optimizer에서 파티원창:



이때

명함 클로린드가 1사이클 동안 출력하는 모든 딜:



풀돌 클로린드가 1사이클 동안 출력하는 모든 딜:


위와 같이 빌드를 짰음



위에 보면 

5N3E+N3을 하는 동안 총 33타가 발생, 이중에 촉진은 11번 들어간다 가정했고

1회 발생하는 솟구치는 칼날 피해는 당연히 촉진x로 가정했음

Q는 5타인데 스탠다드 icd니 촉진은 2타로 가정했음


1돌옵, 6돌옵의 경우 평타 또는 Q에서 독립된 icd group으로 취급된다는 HomDGCat의 데이터마이닝이 있었고

1초마다 1회 촉진이 발생하는 식의 독특한 방식으로 판명됬음


어차피 촉진은 1돌옵에 터지든 6돌옵에 터지든 캐릭터의 실시간 원마 비례 계수 보너스 취급이니 

E가 켜져있는 7.5초 동안 7회 촉진 발생, 그래서 그냥 임의로

1돌옵 타수 12회 중 (E쓰고 1.2초마다 1회 터지니 6회 터지고, 한번 터질때마다 2타) 촉진은 3회 발생한다 쳤고

6돌옵 타수 6회 중 촉진이 4회 발생했다 쳤음



자 그러면 명함 5재 클로린드의 1사이클 출력딜 총합은 어떻게 나왔느냐?


풀돌풀재 클로린드의 1사이클 출력딜 총합은 어떻게 나왔느냐?


즉 피(종탄)나(2돌)(드슬)카(서약+2돌) 및 천암청록의 파티버프를 받은 걸 가정한

클로린드의 명함 5재 대비 풀돌풀재 딜량은 약 248% 인게 보임





결론:

클로린드 2돌의 높은 효율, 4돌의 준수한 Q딜 증가 및

결정적으로 1돌/6돌이 7.5초라는 짧은 시간 동안 촉진이 7회 일어나는 18타만큼 추가타를 주는 등의 별자리 설계는

단독 기준 돌파별 딜상승량 대비 파티원 각종 버프 및 원소반응이 있는 기준이어도 효율이 거의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명함은 아무래도 사용하는게 조금 빡센 클피나카 동일파티 가정이고,

나머지 파티원 버프는 명함이든 풀돌이든 상관없이 최대치를 동일하게 가정(종탄 5재, 카즈하/나히다 2돌)했음에도 불구하고 

저런 결과임 ㅇㅇ



요약:

클로린드의 돌파효율은 단독 기준이든, 파티원+원소반응 모두 들어간 기준이든 굉장히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