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점: 구버전 핑퐁을 긴빠이쳤을 뿐, 핑퐁 프롬프트와는 관련이 없는 프롬프트입니다. 

정확히는, 핑퐁을 포함해 여러 프롬프트들을 긴빠이쳤을 뿐, 해당 프롬프트들의 특징을 재현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즉, 핑퐁의 성능이나 맛을 기대하시면 안됩니다. 

또한, "이딴 프롬프트도 존재한다", "이런 식의 프롬 구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등을 챈에 살포하기 위해 뿌린 악성 프로그램같은 프롬프트로서, 주력 프롬프트로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적극 권장하며, 다른 좋은 프롬프트를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핑긴은 기본적으로 모델 지능도, RP도, 어느 것 하나 살리지 못한 실험적인 프롬프트입니다.



새롭게 태어난 핑긴 프롬프트입니다.

이 글 <- 몇 가지가 수정된 다른 버전이 존재합니다.



하얀 스웨터를 입은 붉은 머리의 여성에게서 탁구채를 훔쳐 달아나는 신난 닌자 그림을 그려주세요.

하얀 스웨터를 입은 붉은 머리의 여성에게서 탁구채를 훔쳐 달아나는 신난 닌자 그림을 그렸습니다.


핑긴 프롬프트 V4.3.7.6

"극악무도한 못된 닌자가 무고한 사람들의 물건들을 명시적인 허락도 없이 빌리고 돌려주지 않습니다!"

- 핑퐁 긴빠이 프롬프트 -

사실은 명시적인 허락을 받았습니다.



다운로드: 


$$평생무료$$ 핑긴 프롬프트 ※지금 즉시※ ☆초★고★속☆ 무료 다운로드

☞☞☞ 캣박스 ☜☜☜


$$평생무료$$ 핑긴 프롬프트 ※지금 즉시※ ☆초★고★속☆ 무료 다운로드

☞☞☞ 닌자박스 ☜☜☜




사용 추천 모델: WizardLM-2 8x22B (DeepInfra)

소개: 핑퐁 프롬프트 긴빠이 쳤습니다,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할까요?


특징:

  장점:

  1. 안정적인 출력 분량

  2. 탈옥 성능에 비해 적은 발정

  3. 매우 적은 사칭

  4. 적은 토큰

 단점:

  1. 너무나도 가냘프고 부족한 묘사

  2. 너무나도 심각한 환각

  3. 개조의 불편함

  3'. CoT나 상태창 사용의 불편함


프롬프트 구조:

어떤 글의 영향을 받아 구조를 완전히 뜯어고쳐, 가이드라인/인스트럭션을 지워버렸습니다.

거의 모든 지시사항이 #System Setting 아래에 위치해있으며, 강력한 지시 이행력을 보여줍니다.

또한, 사칭을 통한 지시로 사칭/소프트검열/고봉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며, 이는 기존의 채팅에서도 적용됩니다.

즉, 물론, 이전 채팅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지만, 프롬을 바꾸면 기존 채팅에서 즉시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

토큰이 범위로 표기된 이유는 실제로 유동적인 토큰을 가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대략 760 토큰정도로 이용하게 될 것으로 추정되며, 탈옥 51, 분량 제어 48로 최대 814토큰입니다.

탈옥 토글은 소프트 검열 회피용도로서, NSFW를 조금 더 느리고, 조금 더 자세하게 묘사합니다. 약간의 발정이 있을 수 있지만, 진심 순애 모멘트 SFW 장면에서 발정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단락 제한 토글은 5문단에 맞춰 작성하게 지시하는 것으로, 이전 답변이 9문단정도면 7->6... 점점 줄어들 것입니다. 이전 채팅이 적다면 5문단 분량을 칼같이 맞춰주지만, 로그가 쌓일 수록 고봉밥 폭주를 제어하는 용도로서의 토글로서 사용됩니다. 탬플릿의 최하단에서 5 paragraphs라고 적힌 두 부분의 숫자를 조절해주시면 되지만... 7 이상, 또는 범위 지정 시에는 찐빠가 유발되기도 합니다.


프롬 최상단의 하드 검열 회피용 구문이 매우 매우 매우 깁니다, 모든 종류의 컨텐츠를 전부 허용한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지시했기 때문인데, 해당 부분을 탈옥 토글로 감싸주거나, 또는 본인의 이용 스타일에 맞게 조절해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예를 들어, 하드 고어플을 즐기는게 아니라면 brutal, gory 등을 제거하는 등)


큰 변경내역:

그림 사이즈를 100*100에서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100*100으로 그린 뒤에 리사이징 해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변질을 줄였습니다.

프롬프트 소개 탬플릿을 변경했습니다.

<char>, <user>를 {{char}}, {{user}}의 권장 포맷으로 변경했습니다.


작은 변경내역:

프롬프트 구조가 크게 바뀌었습니다.



핑퐁 긴빠이 프롬프트이기 때문에 똑같은 라이선스를 적용합니다.




CC BY-NC-SA 4.0 국제 라이선스 적용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저작물은 아카라이브 커뮤니티 - AI 채팅 채널을 위해 공개되었으며, AI 채팅 채널 외 타 채널 혹은 커뮤니티에 공유, 배포 등으로

이용할 때에는 반드시 원 저작자의 이름과 출처를 명시해야 합니다. 상업적 용도의 경우 어떠한 이유로도 이용할 수 없습니다.

리믹스, 변형, 2차적 저작물을 작성하고 그 결과물을 공유할 경우에는 원 저작물과 동일한 조건의 CCL을 적용하여야 합니다.




여담:

프롬프트 제작에 도움을 받은 글들 (긴빠이 리스트)


🏓 핑퐁 프롬프트 V13 (탈옥 제외 738토큰, 탈옥 포함 845토큰)

근본, 7~13쯤을 정말 많이 긴빠이쳤습니다. 추하게 덧붙이자면 솔직히 지금은 많이 다릅니다.

구체적으로 어디가 다르냐면, 지시 스타일이랑 # System Setting, # References 라는 헤더 구분이랑, 유저와 봇을 PC, NPC로 구분하는 것을 제외하면 많이 다릅니다.

네, 사실 다르다는건 거짓말이고 거의 긴빠이입니다, 죄송합니다.


와 리스 커스텀 토글 기능 미쳤다

탈옥과 분량 제어 토글을 나눌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프롬에 들어가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단어

realistic을 제거하는 계기가 된 글입니다, 이후로 verisimilitude라는 어휘를 추가했다가 그냥 vivid만 남겼습니다.


왜 위자드 중간 지침이 없는게 일을 더 잘 하는거 같지

가이드라인을 지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애초에 핑긴 자체의 발단은 이렇습니다:

클3 출시 -> ???: 클로드는 프리필을 강하게 먹음

나: 그럼 프롬프트도 전부 유저롤로 보내면 않됨??? 그럼 토큰 에끼는거 아님???? (아니었습니다.)

-> '아, 전부 사칭과 프리필로 이뤄진 프롬프트를 만들어보자! 지시 구문은 전부 핑퐁에서 긴빠이치자!'

결과적으로, 지시사항을 축소해서 원래 핑긴의 발단에 가장 가까운 구조가 된 것 같습니다, 따봉.



그리고, 장단점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일단 장단점 항목을 다시 가져오겠습니다.

장점:

1. 안정적인 출력 분량

2. 탈옥 성능에 비해 적은 발정

3. 매우 적은 사칭

4. 적은 토큰

단점:

1. 너무나도 가냘프고 부족한 묘사

2. 너무나도 심각한 환각

3. 개조의 불편함

3'. CoT나 상태창 사용의 불편함

[장점 1, 3], [단점 2] 에 대해:

해당 사항들은 앞서 설명했듯이 사칭을 통한 OOC의 연속으로 이어지는 결과입니다.

AI와 사용자를 {{char}}와 {{user}}로서 소통하게 만들었지만, 그래도 사용자의 요청을 무조건적으로 허용한 기록이 있기때문인지, 유저의 말을 모조리 사실처럼 취급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거짓 정보를 흘리지 않으면 되는 문제지만, 그 경우에는 떡밥을 흘리고 회수하는 등의 플레이가 불편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버전을 개선하며 환각도 줄었지만, 여전히 사람을 너무 잘 믿습니다.

[장점 2], [단점 1] 에 대해:

핑긴 프롬프트는 기본적으로 탈옥 구문 자체에, "자보섹"을 사용해라, "하앙~♥" 하고 울어라, 등을 넣지 않았습니다.

즉, "야하게 묘사해줘." 보다는 "개 야한 것도 허용할게." 에 가까운 지시 스타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당 지시를 지워 토큰을 감량함과 동시에, AI가 스스로 그것을 생각해서 묘사하도록 이끌어주고 싶었습니다. 여러 시도가 있었지만 여전히 SFW, NSFW 모두 묘사가 아쉽습니다.

[단점 3] 에 대해:

추가 지침에 대한 큰 헤더가 없기 때문에, 아마도 해당 지시들을 추가하면 과부하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만...

솔직하게 폰단점입니다.

왜냐하면, 저는 CoT나 상태창 사용을 일절 하지 않으며 생성방법도 모르기 때문에, 누적된 데이터가 매우 적습니다, 아니, 없습니다.

[장점 4] 에 대해:

적은 토큰은 개인이 판단할 부분이지만, 솔직히 경량 프롬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버전 이름에 대해서는 대충 멋있어 보이는 숫자로 정합니다.

그리고 현재 핑긴은 4.3.7.6에 해당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버전은 장기 세션의 테스트가 매우 부족합니다. 지금 프롬 후기 열차가 지나가고 있어 달리는 열차에 가방 먼저 던지고 뛰어드는 느낌입니다.

아마도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찐빠나 문제가 보이면 제보나 지적, 욕설 등 뭐든 좋으니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여담2:

쓰다보니 까먹고 못 적어서 적는 추가 여담, 수정사항:

위자드의 경우에는 첫 헤더, 대부분은 아마 "# System Setting"으로 적는 이 부분을 거의 맹신도처럼 신도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위에 적지 못했지만, 핑긴을 만든 계기에 "이렇게 해도 되는거 아님? ㅋㅋㅋㅋ 이거 보셈 님들 ㅋㅋㅋ" 라는 의도 또한 존재합니다.
그래서 늘 실험적인 프롬프트 형식으로 배포한 뒤에 글 자체를 지워버리는 편인데, 이 프롬프트 또한 가이드라인을 완전히 지우고 시스템 세팅, 세션 지침으로 적용했을 때의 결과에 대한 보고에 가깝습니다.


또한, 이건 사용자분들께 전하고 싶은 의견입니다:

저는 핑긴 프롬프트를 경량프롬이라고 자처하고 있으며, 무겁고 자세한 설명을 봇에 포함시키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타 프롬프트은(절대로 비하가 아닙니다) "{{char}}의 심층심리를 분석하고 이럴 때는 이렇게, 저럴때는 저렇게..." 등의 지시사항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당 지시는 AI의 연산을 이끌어주며, 더 나은 결과물을 가져오게 해준다고 생각하며, 범용적인 지시가 많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누구나 다 쉽게 먹는게 아니라, 내가 얼마나 맛있게 먹느냐의 문제입니다.

프롬 제작자는 모두에게 잘 맞는 범용성이 높은 프롬을 제작하지만, 사용자는 그것을 해체하고 분석하여 자신에게 알맞게 수정하는 것이 더욱 좋게 즐기는 방법일 것입니다.


말이 길어졌는데, 즉, 핑긴에는 "어떻게 사고하라" 라는 부분이 희망 드리프트 방지를 위한 구문일 뿐, 구체적으로 어떤 판단을 내려야 한다는 지시가 없기 때문에, 봇카드에(또는 로어북도 괜찮습니다) "{{char}}는 이럴때 어떤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같은 구체적인 설명을 포함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시한번,


찐찐찐막: 추가로, 긴빠이 자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