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이 불충분하다 생각해 추가합니다.


고구려 송촌활달(松村活達) = 부산(釜山) = 금산(金山) [위치 :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일대]


이 지역은 원래 한성백제의 영토였으므로 지명어의 보수성을 감안한다면 이 단어는 고구려어가 아닌 마한어나 전기 백제어일 가능성이 있음.


松 (so, su) =  村 (시골) =  活 (살다) =   (솥) = 金 (쇠) [중복 훈독]


고대 한국어에는 -ng 발음이 없었기 때문에 -ng 발음을 무시하고 있는 경우가 있었음.


송촌활달의 송(松)은 일단 이 지명의 한자식 표기인 부(釜)와 금(金)에 대응되는데 한국어 '솥' 과 '쇠' 에 대응됨.


한국어 '솥' 은 '쇠' 에서 파생된 단어다.


근데 송(松) 옆에 촌(村)과 활(活)을 같이 표기했는데 이는 이 한자(松)가 지명어에서 중복 훈독임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송(松)을 제외한 나머지 한자를 전부 음독이 아닌 훈독식으로 읽으면 초성 발음이 so, su로 비슷하기 때문이다.


즉, 송촌활달의 송(松)은 촌(村), 활(活), 부(釜), 금(金)에 중복 훈독 대응된다.


송촌활달의 송(松)도 단순한 음독이 아니라 중세 한국어 '솔' 에 대응되는 어휘로 훈독했을 가능성이 있다.


송(松)을 한자어 촌(村)의 훈독 발음으로 대응시킨다면 일본서기 백제어 훈독인 須祇(suki)에 대응되며 중세 한국어 스골(鄕), 현대 한국어 시골(村)에 대응된다.

송(松)을 활(活)의 훈독 발음으로 대응시킨다면 한국어 살다(活)에 대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