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가야 제1대 임금 수로왕(首露王)


전에 首露를 *soro로 재구했는데 다른 표기로 首陵(*sore)이 있더라


이거 뫼(山)랑 완전 같은 규칙이라 눈에 확 띔


*morek > *morik > *morih > mwoyh(묗)

*morek > *morok > moro(h)(모롷)


*sore > *sori > swoy(쇠)

*sore > *soro





금관가야 제2대 임금 거등왕(居登王) 


거등왕(居登王)의 居登을 전에 *kete로 재구했는데


후기 중세 국어(LMK) 꼴로는 '긿(kilh)'이라서 더 옛 꼴로 재구하려면 *kirVk으로 재구해야 함

위의 뫼(山)처럼 ㅇㅇ


근데 고대 국어에는 -ŋ(받침 ㅇ)이 없었기에 登의 -ŋ은 날려서 *kete로 재구했는데 잘 생각해보니 *-k(받침 ㄱ)을 표기한 것일 수도 있겠다 싶더라

둘 다 연구개음에 속하기도 하고


그러면 居登(거등)은 당시 발음으로 *ketek이 됨


*ketek > *kitik > *kirik > *kirɨh(道尸) > kilh(긿)

이런 식으로 변한 것이라 보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