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군의 마한 시절 이름은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임

여래비리국 위치가 전북 익산시라는 설도 있던데

재구음 유사성으로 따지면 화순이 타당해보임


여래비리(如來卑離)의 재구음은 *narepere

냇가의 '내'를 뜻하는 고대 국어 *nare와 벌판의 '벌'을 뜻하는 고대 국어 *pere가 붙은 꼴



이 지역이 백제에 정복된 이후 잉리아(仍利阿)로 불리게 되었음


백제 신라는 잉(仍)을 *na로 읽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진잉을(進仍乙) = 진나군(進乃郡)

잉숙(仍宿) = 나숙(乃宿) 같은 예시가 있음



이 잉리아(仍利阿)는 해빈(海濱)이라고도 함

직역하면 바닷가고 ㅇㅇ


또 경덕왕이 잉리아(仍利阿)를 여미현(汝湄縣)으로 고쳤는데

여(汝)는 *na로 읽고 미(湄)는 물가를 뜻함 


그럼 여기서 내(川) *nare의 앞 글자 *na와 뒤에 가(邊)를 뜻하는 한자 미(湄)를 하나씩 따서 지명을 두 글자로 한화한 것으로 볼 수 있지



그럼 잉리아(仍利阿)의 아(阿)가 가(邊)를 뜻한다는 것인데

가(邊)의 중세 국어는 ᄀᆞᇫ(kǒz)이고 이는 고대 국어 *kosi에서 비롯되었다고 재구 가능함

이보다 더 전의 형태는 아마 *kase ~ *kose였지 않았을까 싶다


그럼 잉리아(仍利阿)는 *nareskase ~ *nareskose로 읽어야 하지만 /k/가 /ɣ/로,

즉 유성 연구개 마찰음으로 바뀌어서 *naresɣase ~ *naresɣose로 읽은 듯 이걸 阿로 쓴 거고 ㅇㅇ 




고로 화순(和順)의 옛 이름은

전기 고대 한국어 *nareskase ~ *nareskose

후기 고대 한국어 *nariskosi

전기 중세 한국어 *nariskos

후기 중세 한국어 냇ᄀᆞᇫ(nǎyskǒz)

등을 거치고 현대 한국어 냇가가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