臨陂郡 本百濟屎山郡 景德王改名

임피군(臨陂郡)은 본디 백제의 히산군(屎山郡)으로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屎山郡 一云忻文

히산군(屎山郡)은 흔문(忻文)이라고도 한다 



일단 산(山) = 문(文)이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백제 땅에서 문(汶)이 아니라 문(文)을 쓴 것이 특기할 만 한데

아무튼 문(文)은 *more임 뜻은 당연히 메()



그럼 히산(屎山)은 *hemore로 읽을 수 있는데

히(屎) = 흔(忻)이 또 대응하네? 

그럼 재구음은 *heremore가 됨



언뜻 봐서는 무슨 뜻인지 감이 안 잡히지만 여기서 *here-란 바로 희다(白)가 아닐까 싶다

*here- > *horo- > hoy- 의 변화를 거쳤다는 것이지

또 일본어로 '희다'를 뜻하는 しろ(시로)와 동원일 수도?



또 고려사에

臨陂縣本百濟屎山郡 一云忻文 一云所島 一云失烏出 一云陂山

임피현(臨陂縣)은 본디 백제의 히산군(屎山郡)이다 흔문(忻文)이라고도 소도(所島)라고도 실오출(失烏出)이라고도 피산(陂山)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실오출(失烏出)은 *sirona라 읽을 수 있는데 白(siro) + 壤(na) 흰땅이잖아

그래서 white의 뜻을 가진 것 같이 보인다 이거



이 추측이 맞다면 히산(屎山)/흔문(忻文)은 White Mountain 흰메

군산시의 본디 이름은 흰메가 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