八谿縣 夲校草八兮縣 景徳王攺名 今草谿縣

팔계현(八谿縣)은 본디 초팔혜현(草八兮縣)인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은 초계현(草谿縣)이다.



원래 이 지역은 초팔국(草八國)이 있던 자리인데 파사 이사금이 쳐서 병합시킨 곳으로 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임

그리고 이름을 초팔혜현(草八兮縣)으로 바꿨는데 다른 이름으로는 사팔혜(沙八兮)가 있음


한화 이후인 후삼국시대에 그곳에 위치한 성이 다시 초팔성(草八城)이라는 이름으로 나옴

비록 경덕왕이 공식적인 이름을 팔계현(八谿縣)으로 한화하여 바꿨지만 고대 사회나 행정력이 그렇듯 백성들이나 관리들은 한화 이전 이름으로 불렀겠지


여기서 초(草)와 사(沙)가 서로 맞물리는데 초(草)는 훈차, 사(沙)는 음차한 것임

삽량성(歃良州)의 다른 이름이 초라성(草羅城)인 것을 보면 초(草)의 훈이 *sa인 것을 알 수 있지



이건 풀을 뜻하는 또 다른 말인

는 후기 중세 한국어(이하 LMK)에서 새(sǎy) 상성(上聲,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소리)임

그럼 얘는 *sa(C)i에서 자음 탈락 이후 sǎy가 된 것


는 지금은 거의 사어(死語)지만 곳곳에 숨어 있음


푸새 풀 + 새

억새 억 + 새

속새 속 + 새 이두 표기로 省只草 束草 崔只草

박새 박 + 새 이두 표기로 箔草 朴草 朴鳥伊

등등 풀에 속하는 명사에 붙어 있음



이건 '고사리'의 '사리'와 동원이지 않을까 싶음

'고사리'의 LMK는 kwòsàlí(低低高) 즉 [고\ 사\ 리/]임

sàlí[사\ 리/]에서 sǎy[사이V]가 된 거라면 성조도 맞고 뜻도 맞음

고사리 외에도 실사리, 구슬사리, 아구사리 등이 있는데 얘들도 이에 속하는 것 같음




그럼 초팔혜(草八兮), 사팔혜(沙八兮)는 *sari-pat(V)ke겠지

이 뒤의 *pat(V)ke으로 보임

밭은 LMK에서도 밭(pàth)인데 다들 알다시피 한국어의 ㅋㅌㅍㅊ는 ㄱㄷㅂㅈ에 ㅎ이 붙어서 생긴 거잖아

*pat(V)ke의 k이 h로 약화해서 t + h > th가 된 거지

이 단어는 일본어로 밭을 뜻하는 畑(はたけ, 하타케)와 동원임



그렇다면 초팔혜(草八兮)/사팔혜(沙八兮)는 *saripatake > *saripatoke

*saripatoke는 현대어로 재구하면 새밭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4884bc958854c6ba283b4d84476e659

마침 사전에도 존재함


여기가 옛날에 좀 우거진 곳인가 싶어서 구글 지도 찾아봤는데



분지네

뭐 이름값하는 지형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