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口郡 本髙句麗穴口郡 在海中 景徳王改名 今江華縣 領縣三

해구군(海口郡)은 본디 고구려의 혈구군(穴口郡)이니 바다 가운데 있다.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은 강화현(江華縣)이다. 영현은 3개다.


穴口郡一云甲比古次

혈구군(穴口郡) 갑비고차(甲比古次)라고도 한다.


기록대로라면 혈(穴) = 해(海) = 갑비(甲比)임. 처음엔 당연히 반도일본어(PenJ)로 보고 갑비(甲比)와 해(海)를 대응 시키고자 고대 일본어로 강(江)을 뜻하는 かは(kapa)를 끌어봤는데 아무리 잘 쳐줘도 甲比는 *kapi(< *k[a]pe)지 *kapa로는 도저히 못 읽는 표기라서 좀 까다로웠음. 마치 아사달(阿斯達)의 아사(阿斯)를 일본어로 아침을 뜻하는 あさ(asa)와 대응 시키기도 하지만 사실 斯는 *si(< *se)라서 불가한 것처럼 ㅇㅇ


그래서 경덕왕이 한화하기 이전의 표기인 혈(穴)과 갑비(甲比)를 대응 시켜 봤는데, 일단 혈(穴)은 구멍, 동굴, 구덩이 등을 뜻함. 그래서 일본어 사전에 甲比 かひ(kapi)와 그 현대어 버전일 かい(kai) 찾아봤는데 유사한 뜻이 하나 나옴. 골짜기를 뜻하는 峽(かい, kai)인데 일본 쪽에서 어원풀이하기를, '교차하다'란 뜻의 交ふ(kapu)의 명사형 交ひ(kapi)에서 비롯되어 뜻은 '서로 교차하는 곳'이라 함. 峽(かい, kai)는 본디 峽(かひ, kapi)였겠지


구(口) = 고차(古次)는 고대 일본어로 입(口)이 *kutui > kuti라서 고차(古次) *koci와는 연관 지을 수 없고 차라리 곶(串), くし(串, kusi)가 어울릴 듯. 그러고 나서 8세기 경덕왕 대에 해(海)로 고쳤는데 이건 잘 모르겠음. 고려 들어서 해(海)를 강(江)으로 고친 거 보면 지금은 사어화한 명사가 있었는지 추측만 할 뿐.


그에 반해 해구(海口) > 강화(江華)의 구(口)가 화(華)가 된 이유는 간단한데, 화(華)는 꽃을 뜻함. 꽃은 LMK로 곶(kwòc)임. 발음 비슷하니까 다른 좋은 한자로 이름 바꿔버린 듯 ㅇ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