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에 존재했던 종덕사는 백두산 천지의 출수부인 달문 인근에 있었는데

일반적인 사찰과 달리 팔각형 형태의 법당을 회랑형태의 건물이 둘러싼 특이한 형태의 사찰이었음


종덕사의 건립시기에 대해선 크게 1906년 설, 1928년 설 등이 있음


1. 1928년 설

  장백산보호국 국장 리주철의 1964년 조사기록에 따르면

  종덕사 유적지에 있던 두개의 목비(木碑)중 오른쪽 비문에

  '최씨시현공덕무진 4월 5일 립비' (崔氏时玄功德戊辰四月五日立碑)라고 쓰여있었다.

  비석이 세워진 시기로 미루어 보아, 늦어도 무진년(1928년)에 세워졌고,

  절을 지은 사람은 최시현이어야 할 것이다.

  (从立碑的时间看,此庙最晚建于1928年,建庙人应是崔时玄)

이건 중국 연변박물관의 박룡연, 김철수 등이 1985년 편찬한 안도현문물지(安圖縣文物志)에 실린 내용임.

http://www.zoglo.net/blog/read/liguangren/78001/

하지만 출처 링크에서도 언급된 것처럼 목비는 목비를 세운 것만을 의미하지 종덕사를 지은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는 점

그리고 후술할 기록으로 인해 완전 긍정은 할 수 없음.


2. 1906년 설

  종덕사의 남서쪽 정면에는 '백두산종덕사'(白頭山宗德寺)라는 현판이 있고

  동쪽에는 '호천금궐상제전'(昊天金闕上帝殿)과 '대원당'(大元堂)이라는 현판이

  북쪽에는 백두산대택수종덕사(白頭山大澤水宗德寺)라는 현판이 있다.

  내당의 남면에는 옥황상제천불위(玉皇上帝天佛位)라는 위패가 있다.

  현지인에 의하면 조선인 태극교도(太極敎道)들이 창건해서 수도,은둔 생활을 하던 곳으로

  건축년월은 병오년(1906년) 6월 6일(丙午六月六日)이다.

  마적으로 인해 폐사되어 지금은 인적이 없다.

안재홍(安在鴻)의 백두산등척기(白頭山登陟記)에 실린 내용으로,

백두산 등척기는 1930년 백두산 등반대 일원으로 참가한 안재홍이 서울에서 출발해

백두산 정상에 오르고 다시 서울로 돌아오는 여정을 기록한 기행문임.

이 기행문은 조선일보에서 연재되었고 1931년에 단행본으로 간행되었음.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0090200239204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0-09-02&officeId=00023&pageNo=4&printNo=3471&publishType=00020


그 외에도 일부에선

조선시대 신경준이 그린 고지도인 북방강역도에 종덕사 건물이 그려져 있다고 서술하고 있지만

https://cafe.daum.net/dds1984/2w6v/51?docid=uN6q2w6v5120071207215939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86913

https://tour.jb.go.kr/travel/info/view.do?menuCd=DOM_000000103001000000&contentsSid=139&category_top_id=a&ctnt_id=11753

https://cafe.daum.net/pdrs/6dwL/176

당장 찾을 수 있는 이미지가 저화질이어서 건물 형태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움.


추가적으로, 1974년 혹은 1975년에 연변일보와 길림일보의 기자들이 함꼐 백두산을 올라서

종덕사의 본건물이 그대로 남아있는 것을 봤다는 증언이 있어

1970년대 중반까진 종덕사 건물이 남아있었을 것으로 추정함.

http://www.zoglo.net/blog/read/liguangren/78032/


1986년 발굴된 종덕사 철편조각


종덕사가 폐사된 이후, 장백산사(長白山寺), 숭덕사(崇德寺), 존덕사(尊德寺), 송덕사(宋德寺), 팔괘묘(八卦廟)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이 철편조각이 발견되면서 종덕사라는 이름을 되찾았다고 함.


종덕사의 옛 사진과 현재의 모습

종덕사 주변 바위에 새겨진 여러 글자들


1930년 조선일보에 보도된 종덕사 사진.

앞서 얘기한 안재홍의 백두산 등반 당시의 사진임.


1933년 동아일보에 실린 종덕사 사진.


군산 동국사에서 소장하고 있던 종덕사 사진.

1943년에 촬영된 것이라고  함. 아마 후술할 1943년 백두산 등반 당시 찍힌 사진일 듯





백두산 : 동경제국대학백두산원정대보고(白頭山 : 京都帝国大学白頭山遠征隊報告)에 실린

종덕사의 사진과 평면도


1943년 종덕사와 백두산 천지의 모습

한국 최초의 산악부인 양정고등보통학교의 산악부, 양정산악회의 1943년 백두산 등반 당시의 사진임

뭔가 이 사진과 관련된 정보를 찾다가 당시 양정산악회의 등반 목적이 단순 산행이 아닌 일본군의 군사 훈련을 겸한 것..

이라는 내용의 글도 봤는데 너무 주제와 벗어나서.. 혹시 관심있다면 관련 키워드로 구글 검색해보면 나옴.




얼마 전 이글루스 블로그 문 닫으면서 날아가면서 관련 사진들도 날아갈 위기에 처해서

이글루스의 까마구둥지 블로그에 있던 글의 일부와 신문 기사 등에서 사진을 가져와서 얼추 추스림.


http://web.archive.org/web/20230612114255/luckcrow.egloos.com/2427821

http://web.archive.org/web/20230612114213/luckcrow.egloos.com/2663288


https://segye.com/view/20100319001843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190

https://aucview.com/yahoo/n519662752/

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200100300167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