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여


삼국사기 권 제37 잡지 제6  >   지리 백제  >   고전기에서 전하는 백제

고전기를 살피건대 동명왕의 셋째 아들인 온조가 전한 홍가 3년 계묘년에 졸본부여에서 위례성에 이르러 도읍을 정하고 왕이라 칭하였다. 389년이 지나 13세 근초고왕에 이르러 고구려 남평양을 취하고 한성에 도읍했다. 105년이 지나 22세 문주왕이 도읍을 웅천으로 옮겼다. 63년이 지나고 26세 성왕이 도읍을 소부리로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로 하였다.


고려사 > 권56 > 지 권제10 > 지리1 > 양광도 > 공주 > 연혁

공주는 본래 백제의 웅천으로, 문주왕이 한성에서 옮겨와 도읍하였다. 성왕 때에 이르러 다시 도읍을 남부여로 옮겼다.


고려사 > 권56 > 지 권제10 > 지리1 > 양광도 > 공주 > 부여군

부여군은 본래 백제의 소부리군으로, 사비라고도 한다. 백제 성왕이 웅천에서 이곳으로 옮겨와 도읍하고 남부여라고 불렀다.


소부리를 도읍으로 삼을 때 남부여로 불렀다는 걸 왜 여태까지 몰랐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