윷놀이의 부여 기원설은 꽤 유명합니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요?


일단 가장 큰 문제는

부여 기원설의 아무런 문헌적 민속학적 자료가 없다는 것에 있습니다

부여 기원설은 주장한 사람들은

신채호와 정인보 등인데

이들이 딱히 문헌적 자료를 제시한 바가 없습니다

윳가락이 네 개

부여의 사출도

여기서 기인하여 추리한 것으로 보이는데 ....


문제는

과연 애초에 윷모가 네개였을까 하는 점입니다

윷놀이를 할 경우 나올 수 있는 여섯개입니다

도-개-걸-윷-모

에 뒷도

이렇게 6개이지요

이는 원래 윷가락이 네 개가 아니라 5개였을 것으로 짐작하게 할 수 있는 방증자료이지요

5개면

하나 넘어지기 - 다섯게 다 넘어지기

그리고 다섯개 반대로 넘어지기

이렇게 판을 짤 수 있어

원래 윷가락은 다섯개였으리라 보입니다

그런데 그게 조선 후기쯤 네 개로 줄어들고

네 개로 줄어드는 대신 경우의 수 여섯을 만들고자

뒷도를 추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모가 다섯이 되면 4출도에서 기인한 부여 기원설이 힘을 잃게 됩니다


두 번째

사출도에서 기원하여

이름이 붙었다고 하는데

보통

저가-도 구가 - 개 우가 - 윷 마가 - 모

이렇게 대응하는데 ...

일단 걸에 해당하는 양이 없네요 ..

그리고 윷 즉 소와 걸 즉 양은

한국어로는 매칭이 안 됩니다

양에 해당하는 우리 고유여는 염이고 걸은 매칭이 안 됩니다(염소의 염이 양이라는 의미입니다)

소와 윷 역시 마찬가지고요 

언어학적으로 뭔가 삐그적거립니다


세 번째

도-개-걸-윷-모 중

도-개-걸까지는

확인이 가능한데 ...

중국의 저포 놀이의 첫 세 패 발음이

독-개-걸에 가깝고

헤이안 시대 일본에서 행해졌던 저포놀이에서도

독-개-모는 확인 가능합니다

이로 보면

삼국시대 삼국이 모두 저포놀이를 했고

기본적인 규칙을 공유했다고 짐작가능하고

기록상 중국이 빠르기에

중국-한반도-일본 순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저포 놀이 자체는 서약에서 발생한 것이라

중국도 서역에서 시작했다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포는 본시는 주사위 놀음이었고 나올 수 있는 수가 6가지였습니다

그런데 중국에서 주사위가 아닌 나무 모로 바뀌었고

그것이 한국과 일본으로 전해진 듯 합니다

바뀐 이유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중국에서 주역으로 산가지 점을 치는 풍습이 있었고

저포 역시 점치는 도구로 사용된 흔적이 있다 하니

아마 산가지 점과 결합되면서 나무모로 바뀐 듯 합니다

그리고 그대로 동북아에 이식되었고

그게 한국식으로 변형된 것이 윷놀이 아닌가 짐작 가능합니다


물론 현재까지 추정 가능한 것은 여기까지고요 ...

중국 또는 서역이 기원이라도 어차피 이제는 우리의 것이 된 이상 .....

한국의 놀이라 해도 무방하리라 여겨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