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 https://arca.live/b/koikatsu/98079253?category=%EC%A0%95%EB%B3%B4%2F%ED%8C%81&p=1


안녕하세요. 다른 채널에서 취미로 코이카츠 mmd 만드는 mmd 충입니다.

이전 mmdd 설치, 촬영 과정 설명글을 적은 이후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참고해주셔서 2편도 만들어봤습니다.

2편은 mmd 카메라에 대한 적용, 수정 방법입니다.


*카메라*

오늘의 모델은 코이카츠 채널 '뉴비' 님이 배포하신 별이삼샵 설효림입니다.

우선 캐릭터 불러온 후 이전처럼 모션과 카메라를 mmdd로 적용해보겠습니다. 노래는 exid의 hot pink입니다.


일반적으로 모션을 구매하면 모션 제작자들은 카메라를 포함해서 판매합니다.(모션만 혹은 카메라만 파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 파일은 카메라 파일 2개가 포함되어있네요. 모션을 불러와서 캐릭터에 적용해봅시다.


카메라는 보통 하나면 충분하지만 여러개를 불러올수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설명을 위하여 카메라 2종류에 auto follow camera까지 총 3가지를 적용합니다.


성공적으로 불러와졌습니다. main camera가 3가지 보이실텐데 사용하는건 하나씩만 가능하고 언제든 변경이 가능합니다.

카메라 파일과 오토 카메라 각각의 특징이나 수정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해보겠습니다.


1.  Auto follow camera

오토 카메라는 mmdd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화면이 캐릭터를 자동으로 따라가죠. 

별도의 카메라 파일을 구하지 않아도 사용가능하며 스튜디오 화면 조절하듯 마우스로 쉽게 각도나 거리를 수정 할수있습니다.

화려한 카메라를 싫어하지만 고정된 화면은 쓰기 아쉬울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또 영상의 용량이 적어진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제 경혐상 화면 변화가 크고 배경이 화려할수록 용량이 커집니다. 이유는 모르겠네요.)


2. camera data

카메라 파일입니다. 모션제작자나 카메라만 제작하는 사람들이 만든 파일을 적용하는 거죠. 

노래마다 각각의 카메라를 사용하며 인기있는 노래는 카메라만 여러 종류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놈은 설명할게 많은데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우선 현재 적용된 카메라를 보시면 setup과 keys 두가지 버튼이 있습니다.

setup부터 살펴보죠. setup은 카메라의 전체적인 옵션입니다.


2-1. Set up

뭐가 많은데 어려운건 전혀 없어요. 조금만 만져 봐도 어떤건지 알수있으니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camera offset은 카메라의 중심 위치입니다. 일반적으로 캐릭터와 동일하게 좌표를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밑의 버튼 3가지는 편의성 버튼으로 순서대로

Align to selected는 현재 선택한 캐릭터의 좌표로 적용

Offset to current는 현재 스튜디오 화면 좌표(즉 실제 우리가 보고있는 화면)로 적용

reset to zero는 좌표 0, 0, 0 로 적용입니다.


아까 카메라를 불러올때 적용할 캐릭터를 선택했다면 자동으로 적용되어 있을겁니다.(Align to: 에서 선택한 캐릭터로)

적용이 안되었거나 불러온 다음 캐릭터를 이동시켰다면 캐릭터 선택 후 Align to selected 한번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 다음은 camera scale 입니다. 대충 캐릭터 크기에 맞춰 카메라를 적용하는거죠. 

130짜리 어린애 캐릭과 170짜리 어른 캐릭이 동일한 카메라가 적용되면 이상해지겠지요. 그걸 어느정도 조정해줍니다.

위의 Align to selected를 이용해 캐릭터를 고르면 그 캐릭터에 맞게 좌표뿐 아니라 scale도 변경됩니다.


Position scale은 카메라 위치 Distance scale은 카메라 거리 입니다. (높이는 position 거리는 distance로 조절한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이 두개는 보통 동일하지만 밑의 Synchronize position~~~을 해제하면 별도로 조정이 가능합니다.


카메라를 일부 장면이 아닌 전체적으로 조절할때는 이 두가지를 만져주면 쉽게 수정이 가능합니다. 

위 카메라를 아래쪽으로, 거리를 멀리 수정하고 싶네요. 우선 Position을 0.083에서 0.078로 수정해보겠습니다.


많이 내려왔지만 그만큼 가까워졌군요. distance를 0.083에서 0.07로 변경합니다.


이런식으로 원하는 대로 될때까지 수치를 조금씩 만져주시면 되겠습니다.

불러온 카메라에 비해 캐릭터 키가 너무 작거나 커서 어색하면 위 두가지만 조절해주면 됩니다.


만약 피사계심도 기능을 사용하고 있을경우 카메라 이동에 따라 화면이 흐릿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focus correct기능을 이용하여 캐릭터 몸이나 헤드에 초점을 고정시켜주면 배경만 흐릿하게 바꿀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른 공략글을 참고해주세요. 피사계 심도는 글 한편 다 쓸정도로 내용도 많고 이미 코캇채널 정보란에 관련 글도 많습니다. 


2-2 keys

다시 돌아와 Keys 버튼을 눌러보겠습니다.

카메라 파일의 원리는 간단하게 정해진 시간에 카메라를 특정 위치, 각도로 이동시키는 겁니다.


누르면 이런식으로 나오는데 Keyframes의 저 하얀 점이 설정된 좌표인거죠.

위 화면은 78프레임(2.60초)에 화면을 아래 좌표와 각도로 이동시킨다는 뜻입니다. 이런 좌표 설정을 모아둔게 카메라 파일이죠.

카메라의 일부만 조정할때는 저 좌표를 선택해서 수정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위 장면에서 다른건 건들지 않고 중간에 뒤돌아서 카메라가 가까이갈때만 엉덩이를 더 부각시키고 싶네요. 저부분만 좌표를 수정해보겠습니다.


수정하고 싶은 좌표의 시점을 클릭해줍니다. 빨간색으로 변하면 선택된겁니다. 

밑의 좌표를 직접 수정할수도 있고 스튜디오 화면을 직접 마우스로 옮겨도 바로 적용이 됩니다.




위 화면을 마우스로 직접 옮겨보겠습니다.



위치를 찾은후 Register 버튼을 눌러주시면 저장이 됩니다. 수정하고 싶은 부분의 처음과 끝을 적당히 저장해주면,



중간의 뒤돌아서 가는 부분만 수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실수로 잘못 수정하거나 없앤 좌표들은 하단의 Revert 버튼을 이용하면 쉽게 되돌릴수 있으니 마음편하게 수정하시면 됩니다.

왼쪽의 R 버튼을 누르면 해당 시점의 수정사항을 다시 원상복구 시켜줍니다.


마지막으로 Smooth 카메라와 일반 카메라의 차이입니다. 

일반 카메라는 저장된 좌표에서 다음 좌표로 이동하는 식이라 한번씩 끊기는 느낌이 듭니다.

반면 Smooth camera는 말 그대로 화면이 부드럽게 이동합니다. 

저장된 좌표와 좌표 사이를 이동하는 카메라가 어떤 원리로 부드럽게 이동 할수있는걸까요?


정답은 1~3프레임(대충 0.05초?)마다 좌표를 지정한겁니다. 장점은 부드러운거고, 단점은 일부분 수정하기 어렵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일반 카메라랑 큰 차이는 없게 느껴져서 수정하기 편한 일반판을 자주 사용합니다.


-----------------------------------------------------------------------------

카메라는 사실 만져보면 어려울게 크게 없는데 설명하다보디 쓸데없이 복잡해졌네요.

캐릭터에 맞춰서 setup의 camera offset과 scale만 조절해도 훨씬 자연스러워집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