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장편

중장편


안녕 라붕이들아


자꾸 까먹어...


그래도 이번편이랑 응용편 적으면


내가 적으려던 대응 메뉴얼은 완성 되는 것 같아서 다행이야.


응용편은 아마 내년 되야 나올 것 같음!



일단 이 글이 처음인 친구들을 위해서 설명하자면


각 철충의 기믹이나 대응법을 간단하게 정리하기 위해 적어보는 글이야


그럼 시작할께



-기동형- 

-지원형 스카우트

기동/지원기


-기믹

1. ㅏ자 범위로 AP를 감소시키고 적지 않은 피해를 주는 미사일을 발사한다.

2. 라운드 개시시 자신을 포함하여 십자 범위로 아군들에게 공격/방어/효과 저항 증가 효과를 부여한다.

3. 이동시 자신을 포함하여 십자 범위의 아군들 공격을 지원하기 시작한다.

4. 2스 사용시 아군 한명을 지정하여 AP를 대량 주유(6)하고 사거리를 1 증가 시켜준다.


상대법
1. 사실 그다지 어려운 상대는 아니지만 비슷하게 생긴 허접한 스카우트들 중에서는 유독 독창적인 능력이 있어서 변수가 될 우려가 있다.

2. 이를테면 라운드 개시시 주변 아군에게 기본적인 효과저항을 부여함으로써 예상 외로 디버프가 안 통하는 경우를 만든다던가.

3. 아니면 범위 AP깍 미사일을 쏘아대며 AP 계산에 변수를 만들겨나 빈칸이 생기면 이리저리 이동해서 공격 범위를 까다롭게 만드는 등이 있다.




-칠러/칠러 HV


기동/공격기


-기믹

1. (칠러) 본인이 침수 상태가 되면 이로운 효과로 피해최소화를 받으며 회피와 행동력 또한 대폭 늘어나게된다.

2. (칠러 HV) 본인이 침수 상태가 되면 이로운 효과로 표식을 받으며 행동력이 대폭 늘어나게된다.

3. 2스를 쓰면 랜덤한 아군 한명을 지정하여 본인과 아군에게 보호막(일반형 1000/HV 1500)/받는피해감소(일반형 15%/HV 50%)/화염저항감소를 부여한다. 특히 주의할 점은 이 버프는 중첩이 가능하다.

4. 침수에 걸린 적을 1스로 명중시키면 행동불가와 강화해제 효과를 부여한다.


상대법
1. 강화형인 HV는 의외로 침수일때 피해 최소화가 없으므로 안심하고 공격해도 상관은 없다.
단, 2스를 서로에게 걸어주거나 둘이서 한녀석에게 집중적으로 걸어주면 순식간에 받피감 100%를 도달해버리므로 받는 피해 감소 무시 딜러를 운용하는게 아니라면 만만하게 볼 상대는 아니다.

2. 1스는 굉장히 치명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일단 대부분 2스를 먼저 쓰는 AI를 가지고 있으므로 섣불리 빠른 속공으로 짜를 필요는 없다.

3. 1스의 모든 치명적인 효과는 해로운 효과이므로 효과저항으로 막을 수 있다. 물론 침수라는 조건문이 붙는 대신에 확률이 확정으로 쓰여있기에 효과저항을 뚫을 확률도 적지 않다는 것이 문제.

4. 침수만 안걸리면 1스의 치명적인 효과들은 뜨지 않으므로 클렌징만 빠르게 해주면 탱커에게 큰 무리가 없다. 철충 측에서 가장 쉽게 거는 침수는 프리더 헤드의 패시브 침수일텐데 그것도 클렌징으로 해제가 가능하다.

5. 방어막 코팅 능력은 의외로 화염저항을 100%나 깍아버리므로 화염저항에 극히 취약해지므로 받피감 100%가 되버린 순간이 아니면 받피감 무시가 아닌 화염딜러로도 착실한 딜링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받피감 무시면 더 말할 필요도 없고)



-라이트닝 봄버 타입-X

기동/공격기


-기믹

1. 기본적인 회피가 매우 높지만 매 라운드마다 30%씩 회피가 감소한다. 다만, 공격을 적중하면 3라운드 동안 회피가 일부 증가한다.

2. 1스는 적중 지역과 한칸 뒤를 함께 공격하는 2칸 짜리 범위 공격이며 회피를 한 이후에 확률적으로 쓰는 2스는 보호 무시 십자 범위 공격을 가한다. 모든 공격은 전기 속성이다.

3. 회피하면 행동력이 증가한다.



상대법
1. 공격 능력은 어마어마하게 위협적인건 아니므로 탱커가 충분히 버틸 수 있다면 이론적으로는 아군측 적중이 낮아도 장기전으로 끌고가도 대처가 가능하다. 2스를 쓰는 조건이 회피를 한 이후로 확률이므로 탱커랑 인접한 아군이 이 녀석 공격을 버틸 수 없다면 적중률이 낮을때 도박하는 것은 금물

2. 회피가 높다는 점 외에도 전기 저항이 기본적으로 높게 측정되있기에 보통 같이 나오는 경우가 많은 프라이어 시리즈랑 비교한다면 프라이어는 전기에 약하지만 이쪽은 전기에 강하므로 그 점에는 유의할 것.




-라이트닝 봄버 타입-S

기동/공격기


-기믹

1. 기본 회피가 어마어마하게 높다.(1000%)

2. 회피하면 해당 라운드 동안 반격을 획득한다.

(회피시 반격과 다르다. 회피시 반격일 경우는 다음 공격에 피격하면 그건 반격을 안하지만 이건 획득이므로 적중된 공격을 맞고 살아있으면 반격을 한다.)

3. 회피하면 2라운드 동안 치명타100%를 획득한다.

4. 1스는 적중 지역과 한칸 뒤를 함께 공격하는 2칸 짜리 범위 공격이며 회피를 한 이후에 확률적으로 쓰는 2스는 보호 무시 십자 범위 공격을 가한다. 모든 공격은 전기 속성이다. 

여기서 한가지 더 강조하자면 반격은 보호무시이므로 보호 가능인 1스조차도 위협 대상이 된다.

5. 반격이 아닌 본인의 공격일 경우 회피가 800% 감소한다.

6. 자신의 공격이 적에게 적중하면 행동력을 80% 얻는다. 라운드마다 행동력이 급격히(20%) 떨어진다.


상대법
1. 일단 섣불리 공격하지 말 것. 정말 작정하고 적중을 끌어올린 케이스가 아니라면 명중 시키지 못한다.

2. 노란 봄버와는 다르게 치명100%를 얻은 뒤 반격하므로 반격 위력이 상당하기에 반격도 조심해야한다.

3. 적중 자체는 높지 않고 받는 피해 감소 무시도 없어서 의도만 보면 딜탱형 반격 딜러를 쓰면 되지만 반격 딜러중에 변소에서 쓸 수 있을정도로 포텐셜 터지는 어그로 탱커는 별로 없어서 AP타이밍에 맞춰서 공격을 한 이후를 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격을 이용할 수 있는 기믹의 덱을 짰다면 상대하기 수월하다. 예를 들면 승급 미호 덱이나 반격 타이런트 덱 같은 케이스.)
4. 개량형 후열 조준기를 쓰거나 극적중 타치를 쓰는 것이 제일 깔끔한 방법이다. 개량형 후열 조준기는 딜러의 능력치 배분을 괴롭게 만들지만 극적중 타치는 적중만 찍었음에도 꽤 높은 치명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그냥 그럭저럭 서브 딜러로 활약이 가능하므로 특히나 타치를 추천한다.

(다른 극적중 인원들은 타 인원의 적중 버프까지 받아야 빨봄버를 상대할 수 있지만 타치는 자력으로 보유한 적중만 가지고도 상대가 가능하다. 심지어 100렙이면 장비중에 하나를 적중 덜 올라가는걸 껴도 괜찮을 정도)

5. 본인이 회피탱을 쓰고 있다면 초반에 기회가 있을때 빨리 이 녀석을 따는 것을 권장한다. 점점 행동력이 떨어져서 나중에 혼자 남았는데 1라운드에 AP1씩 오르고 있다면 화딱지가 오른다.(혼자 남은 경우엔 포격형 공격외에는 대처 방법이 거의 없다.) 피격탱을 쓰고 있다면 자기가 공격할때마다 꾸준히 행동력이 증가하므로 기회는 얼마든지 온다.




-스펙터/스펙터BS/양산형 스펙터/스펙터MS

(4종류나 되면 제발 다른 이미지로 좀 바꿔줘요...)

기동/지원기


-기믹

1. (스펙터, 스펙터BS) 본인이 매 라운드마다 피해 무효화 3회를 얻는다. 2스 사용시 자신을 제외한 주변 8방향 아군에게 피해 무효화 1회를 부여한다. BS의 경우엔 본인 피해 최소화 버프에 낮긴하지만 받는 피해 감소(20%)까지 섞여있다.

2. (스펙터MS) 본인 포함 8방향 아군에게 매 라운드마다 피해 무효화 2회를 얻는다.

3. (양산형 스펙터) 본인 제외 십자 방향 아군에게 매 라운드마다 피해 무효화 1회를 부여한다.

4. (공통) 전투 개시시 150%가량의 높은 회피 증가를 얻지만 라운드마다 점차 감소한다. 이중에서 양산형 스펙터를 제외하면 기본 회피율이 낮아서 적중 시켜볼 각이 나오지만 양산형은 기본 회피율이 높은 상태에서 버프를 받으므로 전투 개시시 회피가 굉장히 높다.

5. (스펙터, 스펙터BS) 본인이 스킬 사용시 자신을 제외한 주변 8방향 아군에게 적중/회피/AP버프를 부여한다.

6. (양산형 스펙터, 스펙터MS) 본인이 피격시 자신을 제외한 주변 8방향 아군에게 최대 3중첩되는 적중/치명/효과저항 버프를 부여한다.



상대법
1. 일단 어느 스펙터건 오래 살려두면 딜 계산하는데에 어마어마하게 방해되므로 신속하게 처리한다.

2. 피해 무효화는 이로운 효과이므로 강화해제가 먹힌다. 따라서 스펙터를 무시하고 하나하나 따는 방향으로 잡거나 스펙터에게 강화해제 걸고 빠르게 잡는 방법 선택에 도움을 준다.

3. 양산형 스펙터는 유일하게 모든 스펙터 중에서 본인을 보호하는 피해 최소화가 없다. 회피가 높긴 하지만 전술했던 라이트닝 봄버와 후술할 스캐럽 H를 대응할정도로 폭넒은 고적중 딜러라면 바로 공격하여 처치할 수 있다.
4. 양산형 스펙터나 스펙트MS 계열을 많은 공격을 통해 잡았다면 주변 철충에 따라 어마어마한 변수가 생겼을 수 있으니 주의할 것. 효과저항은 물론이고 회피탱 덱을 운용하고 있다면 적중 버프가 발목을 잡을 것이고, 슬래셔가 섞여 있었다면 피격탱 덱에서 치명적일 수 있다.

5.당장 놔둔다고 어마어마하게 위협적인 패턴을 구사하진 않으므로 아군측 공격 기회가 적어서 피해 무효를 뚫고 유의미한 공격을 할 수 없다면 대기하여 화력을 모으고 한번에 공격하는 방법도 추천한다.



-스카우트AK

기동/지원기


-기믹

1. 기본적으로 높은 행동력에 3라운드 이하라면 자기 자신에게 30% 행동력버프와 라운드 마다 AP 부여 버프가 있어서 라운드마다 9에 가까운 AP를 습득하기에 매우 빠르게 선턴을 잡는다.

2. 첫 공격은 무조건 2스를 먼저 쓰는데 보호가능한 3x3 범위로 적에게 AP-2/이동불가를 부여한다. 중장형 적에게는 AP 감소가 2배로 적용되며 적들 중에서 중장형을 우선하여 중심축을 잡고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3. 매 라운드 마다 자신을 제외한 주변 8방향 아군에게 행동력/대 중장 피해량 증가를 부여하고, 아군측 개체가 4체 이하가되면 효율이 더 증가한다.

4. 자신이 사망하면 자신을 중심으로 주변 8방향 아군에게 더 많은 행동력/공격력/치명타 버프를 부여하면서 적중은 감소 시키는 버프를 건다.


상대법
1. 본인의 덱이 탱커혼자 표식 받고 고립되어 있거나 행열보호 같은걸로 범위공격으로부터 빵빵하게 보호하고 있다면 굳이 빠르게 처치할 필요는 없다.

2. 만약 보호에 빈틈이 어느정도 있고 자신의 주력이 중장형이라면 신속하게 턴을 잡은 아군측 딜러로 최대한 빠르게 공격하여 처치하는 것을 추천한다.

3. 곁에 슬래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받피감이 높은 피격탱이나 회피탱으로써는 빨리 처치했을때 디메리트가 거의 없는 편이다.

특히 사망시 적중을 깍는 내용은 회피탱에게는 더 없는 기회이다.

4. AP를 감소시키는 것은 까다로운 능력이고 선턴을 잡는게 고깝게 보일 수는 있으나 그거 외에 큰 위협은 생각 외로 없는편이다.



-스캐럽 H

기동/보호기


-기믹

1. 매 라운드 마다 체력이 50% 이상이라면 받는 피해 감소(30%)/방어력(1000%) 버프를 두르며 회피는 대폭(100%) 떨어진다.

2. 현재 라운드가 3라운드 이하라면 모든 속성 저항이 특대폭(150%)증가하고 회피가 특대폭(150)떨어지며
현재 라운드가 4라운드 이상이라면 공격력/방어관통이 증가하고 재공격을 하며 방어력이 극대폭(1000%)떨어진다.

3. 처음 턴을 잡기 전에 공격 받았다면 계속 1스를 쓰지만 공격을 받지 않았다면 2스를 우선으로 사용한다.

4. 1스는 효과저항으로 막을 수 있는 받는 피해 감소 해제와 행보호 해제 효과를 가지고 있기에 피격탱에게 큰 위협이 되며 2스는 아군 한명을 지정 보호하며 대상의 행동력을 약간 증가 시켜준다.



상대법
1. 아군측의 적중이 상당히 여유롭게 조합되었다면 상관없지만 그게 아니라면 반피 이하로 살려두거나 4라운드를 넘어서거나 혹은 둘 다 동시에 만족되면 회피 감소 디버프가 없어지면서 적중컷이 미친듯이 상승하므로 자신의 상황에 맞춰서 딜조절을 하거나 한방에 잡는 것을 추천한다.

2. 적중이 높지는 않으므로 회피탱을 운용하고 있다면 크게 위협적인 상대는 아니다. 회피탱을 운용하는데 타치같이 극적중인 딜러를 운용한다면 신경 쓸 필요도 없다.

3. 받는 피해 감소 해제가 효과저항으로 막을 수 있다지만 100%이거나 그에 준하는 효과저항이 아니라면 종종 뚫릴 수 있으므로 불안한 요소일 수 있다. 피격탱을 운용하고 있다면 빠른 시간내에 처치하는 것이 좋다. 그게 아니라면 해제 불가능한 받는 피해 감소를 주력으로 하는 피격탱을 쓰는 것도 방법이다. 이 분야 최고 존엄은 대표적으로 사라카엘.

4. 라운드 전후 조건부 스킬들은 모두 해제 불가라서 속성딜러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면 4라운드가 넘어서야 유의미한 딜이 박힐 것이다.



-인트루더

기동/지원기


-기믹

1. 라운드마다 점감하는 광역 피해 감소를 아군 전체 고정 범위로 적용한다.

2. 자신이 피격 받으면 아군 전체 고정 범위로 AP를 증가 시켜준다.

3. 자신의 스킬이 적중시 아군 전체 고정 범위로 적중과 회피 버프를 추가로 부여해준다.

4. 라운드 개시시 후열에 가까운 적에게 스킬 위력 감소를 부여한다.

5. 자신이 모든 지정보호 상태일때 사망시 적 전체에 3라운드간 해제 불가능한 스킬위력/적중 감소를 부여하고 자신이 지정보호를 받지 않은채 사망시 적 전체에 AP를 2증가 시키고 해로운 효과를 해제 시킨다.

6. 2스 사용시 자신을 중심으로 주변 8방향 아군에게 적중/치명/사거리 증가 버프를 부여하고 해로운 효과를 해제한다. 그리고 이 스킬도 스킬이 적중한걸로 취급되어 패시브가 발동하여 적중 회피 버프를 추가로 부여한다.

7. 1스 사용시 보호무시로 약간 약한 위력으로 공격하고 공격력 증가해제와 행동력 증가를 해제하고 스킬 적중 여부와 관계 없이 범위 대상의 회피가 자신보다 낮으면 적중 치명타를 추가로 낮춘다.


상대법
1. 광역 피해 감소가 라운드 갱신이므로 신속히 처리하면 광역기를 쓰는데에 문제가 없어진다.

2. 다른 기동 지원기 철충과는 다르게 신속히 처리하지 않으면 1스를 써대며 아군 딜러들의 공격버프와 행력 버프를 해제하며 열을 바짝바짝 올리기 때문에(그리고 탱커가 맞기에 안 아픈 수준이지 보호무시로 딜러들이 바로 맞기엔 매우 아프다.) 표식 탱커를 쓰고 있는게 아니라면 우선순위를 높게 잡으라고 얘기하고 싶다. 

3. 지정 보호 효과를 받는 중에 사망할때 뿌리는 디버프가 모든 보호효과로 기재된 관계로 헌티드 포트리스의 해제불가 지정보호 또한 트리거로 만족하므로 오렐리아를 쓰는 경우를 제외하면 무조건 스킬 위력 감소를 받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신속히 제거해야 하는 대상이지만 헌티드 포트리스 같이 지정보호를 거는 철충 뒤에 있는걸 신속하게 잡았다면 이후의 공격이 광피감이 아니더라도 위력이 약간 감소 했다는 것을 의식하며 플레이하는 것이 좋다.

4. 액티브와 패시브로 적중을 정신없이 뿌리므로 회피탱을 쓰고 있는 경우에도 빠르게 처치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네스트 시리즈

네스트 : 기동/공격기

네스트 가디언 : 기동/보호기

네스트 체이서 : 기동/공격기


-기믹

1. (공통) 매 라운드 네스트의 체력에 따라 본인과 부하들이 추가 버프를 받게 된다. 대표적으로 네스트 체력이 80%이하일때 네스트 체이서가 받는 피해 감소를 무시하기 시작하거나 네스트 체력이 50% 이하일때 네스트 본인도 받는 피해 감소를 무시하고 체이서와 네스트 모두 적중이 증가하는 그것이다.

2. (네스트) 2스를 사용하면 적에게 강화 해제 효과와 함께 사거리 및 공격/방어력 감소와 함께 낮은 확률로 뒤로 밀어버린다.

3. (네스트) 2스 디버프가 묻은 대상에게 1스를 쓰면 어마어마한 추가 피해량이 부여된다.

4. (네스트) 전투를 개시하거나 본인이 3회 대미지를 받은 경우 5회 피해 무효화가 부여된다. 아군이 사망하거나 5회 피해 무효화를 모두 사용하면 해제된다. 3회 대미지 받는 경우에는 1대씩 맞을때마다 5회 피해 무효화 트리거가 되어주는 버프는 받는 피해 감소이므로 피격될때마다 덜 아프게 맞게된다.

5. (네스트) 아군이 사망하면 주변 아군의 공격을 지원하기 시작한다.

6. (네스트 가디언) 2스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데 주변에 약한 방어막과 각종 버프를 준다. 특히 적중50%가 섞여있어 회피탱은 운용할때 주의



상대법
1. 회피탱을 쓴다면 가장 먼저 네스트 가디언들 먼저 처치하는 것을 추천한다. 2라운드 한정이긴해도 중첩 제한이 없는 적중 버프를 계속 뿌리기 때문에 회피하지 못해서 터지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다.

네스트 가디언들을 모두 솎아내는데 성공했다면 이제 네스트는 아무리 날고 기어도 적중이 500%가 한계이므로 여유가 생긴다.

2. 피격탱을 쓰고 있다면 네스트의 체력을 80%이하로 안 떨어뜨린채로 네스트 체이서들을 모두 솎아내야하고 탱커 당사자는 높은 효과저항으로 강화해제 안 당하길 기도해야한다.

3. 피격탱을 쓰고 있다면 네스트의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지면 네스트 자체도 받는 피해 감소 무시를 달게 되므로 50%이하로 깍을 것 같으면 살아남은채로 라운드를 맞이하지 않도록 단번에 죽여야한다.

4. 네스트를 상대하는 제일 좋은 방법은 네스트를 보호하는 네스트 가디언을 죽여버려서 보호 받을 경우의 수를 배제하면서 동시에 피해 무효화 실드를 벗기고 3번의 공격 이내로 33만딜을 꽂아 네스트 부터 죽이는 방법이다.



기동편은 여기까지 작성!


그리고 중장편에서 빅 칙 캐논들 작성 안했길래 추가했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