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들은 이런거 하지마라 콘)


진작에 적었어야 했는데, 등반하고 나니까 현타와서 지금 씀



변소, 즉 성소는 1지 - 2지 - 3지 이렇게 있고, 생각보다 난이도 갭 차이가 큰 편인데, 좆같음이 커서 그렇다.



근데 뉴비들이 시작부터 하기에는 기반 없는 맨땅에는 많이 난감한 엔드 컨텐츠인만큼 절대 권하지 않는다.


내실 없이 도전하면 1-40 정도에서 갈아마신다.


암튼 지금부터 적는 팁은 변소도 변소지만, 라오를 하면서 필수적으로 가져야하는 부분에 대한것도 있으니까 변소 등반 끝낸 시체나 고인물이나 석유들은 니들이 아는 팁 적어두고 가라



1. 변소는 등장하는 적 정보를 입장 전에 미리 보여준다.


배치를 보여주지는 않더라도, 기본적인 적의 스킬구성은 전부 다 보여준다.


이 스킬구성은 대부분 메인스토리나 이벤트에 나오는 녀석들과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스탯적으로 차이가 나는거 말고는 기본정보는 앵간한건 다 나온다.


이걸로 미리 뭐가 필요한지 대충 정리를 해 놓고 변소 밀 준비를 하자.

(전술교본 봐도 됨.)



2. "해제" 요원은 출격을 안시키더라도 꼭 미리 준비를 해두자.


아주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자.



왼쪽은 칠러, 오른쪽은 아쿠아칙인데, 얘네는 침수상태에서는 스펙이 비상식적으로 올라간다.


칠러는 침수상태에서 라운드 진입시 피해최소화가 걸리고

아쿠아칙은 침수상태에서 라운드 진입시 회피 160%증가가 붙어있다.


칠러는 침수상태일때는 화속성(쉽게말해 불질러) 공격으로 때려야 피해최소화가 꺼지고, 아쿠아칙은 걍 강화해제를 쓰거나 회피강화 해제같은 특수한 스킬을 가진놈으로 패야된다.


이러한 애들을 다 쓰기는 뭐하니 "강화"해제 라는 다소 쉬운 내용물로 대처하는 거다.


이게 아니면 알파같이 고정딜로 패죽이거나.


얘는 오이칙이라 불리는 케미컬 칙 Type-X다.

기본적으로 피해최소화를 깔고 가는 새끼에다, 걸린 디버프도 매 라운드마다 자동으로 풀어버리는 새끼다.

강화해제로 피해최소화가 벗겨지니 그걸로 패죽이거나, 불 지르면 자폭하는 새끼니까 불을 질러야한다.



뉴비, 석유 통틀어서 좆같은 새끼라하면 나오는 2마리다.


왼쪽은 토터스, 오른쪽은 스펙터 계열이다.

토터스는 일단 웨이브 시작하고 3대 쳐맞을때까지 피해최소화가 걸린다. 이게 강화해제로 풀린다.


스펙터 계열은 종류가 많은데

"스펙터" 라고 적힌놈은 "자신" 에게 매 라운드마다 무적 3번을 건다.

스펙터 "BS" 라고 적힌놈은 "자신"에게 매 라운드마다 "무적 3번과 받피감20%"를 건다. 일반 "스펙터" 보다 조금 강하다.


위의 2마리는 자신이 "스킬을 쓸 때" 주변 8칸에 AP 펌핑과 적중+회피 버프를 뿌린다.

스펙터 "MS" 라고 적힌놈은 "자기 포함 주변 9칸"에 매 라운드마다 "무적 2번"을 건다. 특이사항으로는 이새끼는 자기가 "맞을 때" 주변 8칸에 적중+회피+"효저" 버프를 뿌린다.


"양산형" 스펙터 라고 적힌놈은 "자기 주변 4칸(상하좌우)"에 매 라운드 마다 "무적 1번"을 건다. MS와 마찬가지로 지가 맞을때 주변 8칸에 적중+회피+효저 버프를 뿌린다.


좆펙터 새끼가 뿌리는 무적은 강화해제로 풀린다.


3지역가면 지겹도록 만날 새끼인 헌티드 포트리스, 흔히 철트리스 시발새끼 라고 불리는 적폐다.


이새끼는 행열보호 해제불가로 일단 깔아두고 시작하고, 자기 뒤 2칸(4번 기준 5번 6번)을 해제불가 지정보호로 보호를 한다.

그리고 보호받는 새끼들은 속성저항 하한(최소치가 정해짐)이 50%로 고정이 되고, 매 라운드마다 피해최소화를 받는다.


지정보호는 풀지 못하지만, 피해최소화는 강화해제로 뚫린다.



이거만 봐도 알겠지만, 강화해제는 매우 많이 사용된다. 설령 강화해제가 필요없는 배치더라도, 특수한 해제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무조건적으로 쓰이는 애들이 있는데, 그런 전투원들은 메인으로 쓰이는 게 몇 없지만 쓰이면 무조건 최 우선순위로 쓰이니 키워두자.



3. AP 계산은 필수적으로 할 줄 알아야된다.


6-8에 나오는 익스큐셔너, 익큐 새끼 패죽이는 걸 직접 해봤다면 알겠지만, 얘는 타수기믹으로 패죽여야되는 새끼다.


이 타수기믹은 7-8 보스인 네스트에게 반대로 적용되어있다.


이 얘기를 꺼내는 이유는 다름아닌 변소를 등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라오의 전투 시스템에 대해 확실한 이해도가 있어야 된다는거다.


강화해제, 효과저항 이런 거는 잘 하지 않더라도 안뒤지는 수준이면 맞거나 피하면 그만인 경우가 많지만, AP계산과 행동력 조절은 필수적이다.


설령 어떤 변소 등반 공략을 보면서 하더라도, 까딱 잘못해서 터지는 게 변소인 만큼 무지성 오토로 돌리겠다는 생각으로 2지 이상의 변소 고층을 오르지마라.

아무리 빙룡덱같이 무난한 덱으로 간다 하더라도, 삐끗하면 터지기 쉬운게 변소다.


무지성으로 AP계산 대충하고, 행동력 조절 대충해서 터지면 니 자원만 날라가는거다.



4. 변소에서 자원을 아끼는 경우는 저층이나 1지역 뿐이다.


예전에 빙룡덱에서 마키나를 쿠팡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공략을 적은 적이 있는데, 이 공략에서도 전제조건을 건게 있다.


"AP 컨트롤에 자신이 있는" 라붕이들이라면 해보라는거였다.


이 AP컨트롤에 자신이 있다는 얘기는 위에 있는 AP계산과 일맥상통하지만, 마키나와 쿠팡(익스프레스)와는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마키나는 2스킬로 주유가 아닌 적중 회피 공격력 버프를 주고, 패시브로 기동형에게 공격력 치명타 버프, 기동형 지원기에게 AP펌핑, 자기 주변 3칸(위 아래 앞)의 기동형에게 경중장 추뎀 버프를 준다.


쿠팡은 워커홀릭이라는 패시브가 있어서 1스킬의 사용을 어느정도 해야되는 주유버퍼다. 2스킬로 공격력 적중 치명타 버프와 동시에 AP 주유를 해주지만, 패시브로 자기 주변 8칸에 뿌리는 AP 펌핑의 조건은 바이오로이드다.


글은 이렇게 장황하게 적어놓을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플레이를 해보면 쿠팡으로 1스킬을 얼마나 누구한테 맞춰야 하는지, 2스킬 주유는 언제 누구한테 줘야하는지 직접 판단해야된다.



이런 판단을 할 수 있는 정도라면 기본적으로 라오를 하면서 경험이 쌓인 경우에나 유연한 대처가 되는거지, 뉴비들에게는 권하는게 아니다.


괜히 뉴비용 유입 공략 쓰는 애들이나, 저스펙 공략을 올리는 애들이 영상을 올리는 이유는 까딱 잘못하면 전복되기 쉽기 때문이다.



이건 변소에도 확실하게 들어맞기 때문에, 날먹으로 이터니티+레오나 같이 쉬어가는 덱이 아닌이상 세팅이 빡빡하거나, 머리가 정신없는 덱이 대부분이다. 하다못해 빙룡덱도 완전 고층 등반용 장비 세팅을 보면 쉬운 세팅 하나도 없다.


변소에 오를때 스쿼드 1개만 쓰겠다면 그 스쿼드에 쓰는 자원을 아끼지 마라.


엘라나 마키나 같이 패시브나 2스킬을 주로 쓰거나, 레아처럼 유틸로 쓰는 지원기는 노링으로 쓸 수 있다.

(나 역시 2지역 오를때 알바까지 노링 4개 빙룡덱으로 2지 완등했었다.)


하지만, 변소 오를때 서브딜러 포지션의 지원기가 노링크로 쓰이는 경우는 없다.


서브딜러 정도를 노링크로 굴릴려면 굴릴수는 있겠지만, 그 정도 되면 시체나 석유의 여흥 내지는 어떻게든 변소를 오르고 싶다는 의지니까 감탄을 하겠지.


"몸 비틀어서 깨보겠다" 하는게 아니라면 과감하게 준비를 해라.

변소는 새로운 층이 추가된다 하더라도 시간이 오래걸리는 엔드 컨텐츠다.



5. 변소는 오토로 오르는게 아니다. 수동으로 전제된 컨텐츠다.


아무리 스킬 우선순위 선택이 생기고 해서 오토로 더 굴리기 쉬워졌다고 해도 변소는 빅칙실더2를 비롯해서 온갖 오토플레이를 막는 변수가 넘쳐나는 컨텐츠다.


하다못해 챌린지라 불리는 외부통신 역시 오토로 깨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거 오토임?" 이라는 어리석은 질문을 변소 공략에서는 하지 마라.

오토가 되는 공략이면 "오토"라고 분명히 적어놓을거다.




6. 스펙이 딸리고, 자원이 말라서 뒤질거 같아서 좆같다고 포기하지 마라.


분해작인 분해연구를 마치기 전까지 자원이 쪼들리는건 당연하다.


스펙이 딸려서 못 깨는건 그럴수 있다. 이벤트가 아니면 다음에 깨면 된다.


하지만 기초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로 인한 좆같음에 대해서는 머리를 식혀라.


라오는 흔히 통발겜이라 부르면서 하는 오토겜이다.


하지만 스토리를 밀 때 수동으로 미는 경우도 많으니 짜증이 날 수도 있다.


4성작을 해야되는데 시발 스펙이 딸리거나 구성원이 없어서 못했다고 좌절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라오에서 한정 이벤트가 생긴 적은 없다.


스펙이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깰 수 있는 스테이지고, 자연스럽게 4성작을 할 수 있는 구성원이 생긴다.


이렇게 하다보면 분해연구도 끝내고 어느순간 강화비용 연구랑 수복작을 하는 자신을 본다.


이 겜은 남들과 경쟁해서 기록을 쟁취하는 게임이 아니다.



할배들이나 공지 퍼오고, 접속하는걸로 경쟁하는거지, 어디 밀었다고 기록이 세워지는 게임이 아니라는거다.



너무 열이 받으면 그 날 하루는 머리를 식혀라.

변소 오르기 좆같아서 1회차 부계정은 본계정보다 3주 늦게 시작했고, 44층 이후에는 대비 더한다고 1주일 가까이 변소 안돌렸다.



7. 젖이 좋아 왔으면 젖을 만지고, 롸벗이 좋아 왔으면 롸벗을 만져라


"시발 철트리스 좆같네, 닼븐 밀크나 먹으러 가야지"


라고 적는 라붕이도 있고


"시발 철트리스 좆같네, 스팅어 누나 만지러 가야지"


라고 적는 라붕이도 있다.


니가 좋아하는 취향 찾아서 왔다면 그 취향에 맞게 게임하면 되는거다.


게임 굴러가는게 좋아서 왔다면 직접 다른 덱을 짜보거나 공략을 써보면 되고


묘수풀이가 좋아서 왔다면 묘수풀이를 다른 방법으로 풀어보면 되는거다.



8. 철트리스 인트루더 좆같다


나도 그렇다 시발